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혁신 Apr 20. 2022

350만 ‘ 리멤버 ’ PD Life Cycle 분석

Product Development Life Cycle



대부분의 프로덕트는 공통적으로 총 아래의 5가지 과정을 거친다. 


1. 기회 포착 및 계획

2. 솔루션 디자인

3. 솔루션 구축

4. 솔루션 공유

5. 솔루션 평가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어플리케이션 '리멤버'에 대한 PDLC를 분석해보려고 한다. 

각 단계별로 리멤버가 가졌던 문제와 솔루션들을 정리해봤다.


리멤버



촬영 한 번으로 손쉽게 명함을 관리할 수 있는, 일명 직장인 필수 명함 앱이다. 이용자는 총 350만명이고 초기에는 수기입력을 기반으로 명함을 앱에 저장했지만 현재는 문자인식기술으로 자동화하고 인식하지 못하는 예외적인 상황에만 수기입력을 사용한다. 또 이직, 승진 등 최신 명함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하고 직장인 커뮤니티라고 불리는 어플리케이선 '블라인드'와 마찬가지로 커뮤니티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1. 기회 포착 및 계획

회사가 발견한 가장 큰 기회는 무엇인가


대한민국에서 직장인 생활을 하면 누구나 공감할테지만, 첫만남에 '명함'을 주고 받는다. 특히 한국에서 취업하면 매일 나눠줄 명함과 받을 명함을 보관하는 명함집을 사는게 통과의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막상 받은 명함이 필요할 때 보면 없거나 혹은 그동안 받은 명함이 너무 많아서 찾거나 사용하기 불편했던 경험이 있지 않은가?


리멤버는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모바일을 활용한 온갖 기술이 앱으로 등장하던 때 "손으로 명함 정보를 직접 입력해 정확도를 높인 수기 명함 관리 앱" 으로 주목을 받게 됐다.


(1) 회사의 비전 

당시 리멤버를 만든 최재호 드라마앤컴퍼티 대표에 따르면 리멤버의 꿈은 "아시아의 링크드인" 이었다. 링크드인은 전문직업인 인맥 (professional network) 서비스로서 현재 200여개 국에서 5억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포르투칼어, 스페인어, 터키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로 제공되고 있다.



(2) 핵심 고객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는가

리멤버가 앱시장에 진출한 당시, 여러 경쟁사와 마찬가지로 리멤버는 광학적 문자 판독(OCR)을 할 정도의 데이터가 쌓이지 못해  OCR의 정확도가 떨어졌다. 리멤버는 데이터를 쌓기 위해 수기로 직.접 명함을 입력하는 방식을 택했다.




2. 솔루션 디자인

회사는 어떻게 문제를 정의했고, 어떻게 해결했는가


리멤버는 앱 내 명함 판독의 정확성을 높이고 직장인 커뮤니티 조성 나아가 

채용 제안등의 서비스로 영역을 확대했다.


국내 명함 관리앱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가 있었다.


첫 번째는 스마트폰 스캔 정확도가 낮고 앱 내 관리자가 수기 입력을 하면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문제이고 

두 번째는 국내 명함 앱은 특별한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3. 솔루션 구축

회사는 정의된 문제와 해결책을 어떻게 구축했는가



리멤버는 앱 내 명함의 판독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을 유능한 타이피스트 채용을 통해 수기로 직접 명함을 앱 내에 등록하면서 명합 입력 속도를 높였다. 또 타이피스트 일감에 검수용 명함을 끼워 넣으면서 

정확도를 높이는데 성공했다. 


앱 이용자 수가 증가해 명함 수가 많이 쌓이자 앱 내 DB를 기반으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적 문자 판독)을 도입해 속도는 더 줄이고 정확성을 보다 높이는데 성공했다. 

현재는 하이브리드로 OCR이 못 채우는 부분만 수기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국내 명함 관리 앱으로 수익화에 성공했다. 예컨대 직장인 커뮤니티 앱이라고 불리는 블라인드처럼 ‘커뮤니티 기능’도 추가해 유저들이 리멤버 플랫폼 안에서 전문가의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됐다. (앱 내 체류시간 증가) 현재는 '기업' 명함 관리 서비스나 헤드헌팅 제안 서비스 등과 같은

 B2B 사업 확장에도 성공했다.




4. 솔루션 공유 (마케팅)

회사는 만들어진 제품을 고객 및 시장에 어떻게 알리는가?


앱 이용자를 명함 스캔 '정확도'로 모아 총 2억장의 명함을 확보했다. 유저들을 충성고객을 만들기 위해 앱 자체 '커뮤니티' 기능을 조성했다. 이미 가지고 있는 350만 유저들을 충성고객화 하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리멤버는 솔루션 공유를 위해 복수의 브랜드 채널을 두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널로 유튜브 , 테크 블로그 , 페이스북 , 네이버포스트 , 네이버블로그 총 5개가 있다.




5. 솔루션 평가

회사는 솔루션에 대해 어떻게 성공 혹은 실패를 판단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는지?


국내 타 명함관리앱 서비스가 단순히 명함을 저장해주고 동기화 기능에 그친다면 리멤버는 

명함 관리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는 명함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재풀 혹은 헤드헌팅 제안도 한다. 

리멤버가 명함앱 시장 초기 진입 당시 직면한 명함 스캔 정확도 문제를 다소 무모할지라도 

'수기'라는 방식을 택하며 DB구축에 성공하여 현재는 350만의 유저를 확보했다. 

국내 명함 관리 앱으로서 시장에서 선두를 달릴 수 있었던 좋은 솔루션이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기업 단위 명함 관리 서비스 출시와 채용 제안 서비스로의 확장이 곧 이용자 개인정보를 

돈벌이에 이용하는 것이라는 식의 문제가 제기됐다. 이에 리멤버는 헤드헌터의 채용을 돕는 

서비스의 경우  JD를 입력하면 인공지능으로 DB내 알맞는 후보를 추려서 추천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며 즉 헤드헌터 기업에 유저의 개인정보를 직접적으로 넘겨주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처럼 리멤버는 문제의식이 생기면 그때그때 피드백하고 새로운 수익구조를 만드는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어제보다 내일이 더 기대되는 회사이다.



참고자료

리멤버는 2억장의 명함을 어떻게 관리할까?

직장인 필수 앱, 리멤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