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딩하는 수학쌤 May 09. 2023

엄마가 공부를 시작하셨다.

어버이날이라서 저녁에 엄마에게 전화를 했는데 통화가 안된다. 아버지께 전화를 드렸더니


 "아들, 너네 엄마 요새 많~~이 바쁘시다~"

 "왜요? 친구분 만나러 가셨나?"

 "아이다. 요새 공부 시작했데이."

 "어? 무슨 공부요?"

 "요양보호사 자격증 공부 시작하셨다. 바쁘시다~"


 한 30분 후 걸려온 엄마의 전화.

 "아들, 전화했네?"

 "아이고, 엄마! 공부 시작하셨다면서요!"

 "어, 요양 보호사 자격증 공부시작했데이. 오늘은 일정 안내만 받고 왔고. 앞으로 밤에 2시간씩 강의 듣을끼라."

 "아이고~ 우리 엄마, 고마 대학생이네 !"

 "뭐라카노. 그런데.. 뭔가 배운다니까.. 괜히 좀 설레고 글타! ㅎㅎㅎ"

(사진/서울종합데이케어센터)


 평생 배우고 싶은 욕구를 참고 사셨던 우리 엄마. 시골에서 아들만 공부시키는 집에 태어나셔서.. 중학교 졸업하시고는 간호학교라도 보내달라고 그렇게 부탁했건만 그 당시 시골에서는 이룰 수 없는 꿈이었다. 결국 홧병이 나서 한참을 앓았다는 엄마는 결국 꿈을 꺾으셨다. 현실에서 이룰 수 없다는 걸 아시고 아들만큼은 원하는만큼 공부할 수 있게 해주고 싶다는 꿈이 생기셨지.


포항공대 지곡회관의 모습. 여름휴가에서 늘 이곳을 들르셨던 부모님. (사진/포스텍 복지회)

 그렇게 공부에 한이 생기셨던 엄마는 내가 정말 가고 싶어했던 포항공대에 합격했을 때 나보다 훨씬 더 좋아하셨다. 가슴의 응어리가 풀려서일까.. 내가 대학을 졸업하고도 동해안을 놀러가시면 일부러 포항공대 들러서 나를 추억하셨단다. 어쩌면 포항은 나보다 부모님에게 더 특별한 곳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20살의 꿈을 이룬 곳이기도 하지만, 20년보다 더 오랜 기간동안 부모님의 가슴에 시리게 묻어있던 배움의 한. 국민학교 이 후 학교를 떠나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셔야만 했던 아버지와 중학교 이 후 학교를 다닐 수 없었던 엄마의 배움의 한을 한 방에 날려버린 곳. 비록 아들은 머리 싸매며 교수님들 수업 따라기가 벅차서 바득바득 공부하느라 너무 고생한 곳이지만, 그런 곳이기에 부모님의 마음의 한을 더 날려버린 지도 모르겠다.


 엄마는 결혼을 일찍하셔서 둘째인 나를 무려 23살에 낳으셨다. (형은 21살에. 졸지에 49살에 할머니가 되셨다.) 지금 생각해보면 내가 대학 입학했을 때 엄마는 지금의 내 나이와 비슷한, 아니 나보다 한 살이 어리신 한창 젊으신 나이셨다. 나는 지금도 대학원을 다니며 내가 배우고 싶은 거 배우고 공부하는데, 나보다 한 살 어리셨던 젊은 우리 엄마는 아들 대학 공부시키느라 꿈을 미루시고, 뒤에 아들 결혼 시키느라 꿈을 또 미루셨다. 그러다보니 세월이 많이 흘렀다. 


 오늘 통화를 나눈 엄마의 살짝 상기된 목소리. 수강료 내고 수업 듣는게 그렇게 좋으시단다.. 내가 다닌 학교의 등록금, 학원비 등 그렇게 많이 내셨으면서 정작 당신을 위한 학비는 이번이 처음인 것 같다.. 57년 닭띠로 몇년 후 칠순을 바라보시는 연세이신데...


수강료 내드린다니 한사코 거부. 대신 용돈과 이번 주말에 찾아가서 효도라도.. 돋보기 안경이라도 새로 맞춰드리고 싶어졌다..

매거진의 이전글 탁월함과 능숙함의 사이 어딘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