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현명한 투자자 Dec 19. 2021

머니 게임, 어떻게 하는 건가요?

The 20 Rules Of Money

20가지 돈의 규칙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Patrick-Bet David는 자수성가한 미국 기업가입니다. 이란에서 이민후에 아메리칸드림을 이룬 사람이죠. 그의 자산은 2021년 기준 150 Million 달러라고 합니다.(https://wealthygorilla.com/patrick-bet-david-net-worth/) 그는 322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Valuetainment 채널을 운영하는 유튜버이기도 합니다.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오늘 소개해드릴 동영상은 누적 조회수 530만을 기록한 영상입니다. 2017년에 나왔죠. 꽤 지난 영상이지만, 아주 좋은 내용이라고 생각해 공유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여러분은 한 번 생각해보신 적이 있나요? 지금까지 살면서 얼마나 많은 돈이 내 주머니를 거쳐갔을지 말이죠. 아주 많은 돈이 지나갔을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당장은 돈이 없죠. 왜 그럴까요?


패트릭은 우리가 머니 게임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친절하게도 머니 게임의 규칙을 알려줍니다.

그럼 지금부터 20가지 머니 규칙을 알아봅시다!




1. 돈은 게임이다. 게임을 많이 할수록 더 잘하게 된다!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그는 이 개념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돈은 게임입니다.

모든 게임은 계속할수록 더 잘하게 됩니다. 그리고 게임은 누구나 배울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부루마블을 1000번 해봤고, 저는 처음 해봤다면 게임은 당연히 여러분이 이길 것입니다.

규칙을 배우고 많이 해본다면 누구나 게임을 잘하게 됩니다. 기억하세요. 돈은 게임일 뿐입니다.


2. 돈을 싫어하지 마세요.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최영 장군의 말씀 받들자~

어렸을 적,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이라는 노래를 자주 불렀죠. 우리는 아주 어릴 때부터 돈과 멀어지도록 교육을 받고 있었던 것이죠.ㅋㅋ


하지만 패트릭은 말합니다.

당신이 돈을 싫어하면, 당신은 절대 돈을 얻을 수 없다.

여러분은 끌어당김의 법칙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한다고 생각하기만 해도 그것이 나에게 온다는 것이죠.

돈을 좋아하세요. 그럼 돈이 찾아올 겁니다.


3. 돈은 더블 게임이다. 당신의 돈을 두배씩 늘려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우리는 모두 부자가 되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는 목표액을 정하죠.

그런데 그 목표까지 몇 번이 남았는지 헤아려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그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당신의 돈을 두배씩 늘리세요. 돈은 더블 게임입니다.

얼마나 빨리 당신의 돈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나요? 이것이 게임의 핵심입니다.

단위 : 만 원

더블 게임을 한다면, 10번 후에 100만 원이 10억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게임의 속도는 어떻게 결정할까요? 그는 다음 두 가지에 따라 결정하라고 합니다.


1. 당신의 위험 허용도 (Risk Tolerance)

2. 당신의 시간 지평 (Time Horizon)

예를 들어 10년 안에 10억을 만들겠다고 결심을 했다고 하죠.

그럼 우리의 시간 지평은 10년입니다. 72의 법칙에 따라 우리는 매해 72%의 복리 수익률로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때 우리의 위험 허용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 되겠죠.


4. 돈은 유혹을 원합니다.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그는 우리에게 말합니다.

돈을 유혹하세요. 돈이 당신을 유혹하게 하지 말고, 당신이 돈을 유혹하세요.

당신이 돈을 유혹한다면 돈은 사방에서 당신을 찾아올 겁니다.


5. 돈을 쓰거나 줄이는 타이밍을 알아채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그가 말하는 타이밍은 마켓타이밍이 아닙니다. 테슬라를 사야 하는 타이밍 같은 것이 아니죠.

언제 지출을 줄일 것인가?

돈을 언제 쓸 것인가?

돈을 언제 투자할 것인가?

언제 현금을 확보하고 있을 것인가?

언제 움직일 것인가?

그는 타이밍을 자신이 알려줄 수는 없지만, 경험을 통해 이러한 타이밍을 배워야 한다고 말합니다.


6. 돈은 지루함을 싫어한다.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돈은 지루함을 싫어합니다. 그러므로 돈은 반드시 움직여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월급을 받은 다음에 가만히 그 계좌에 두기만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가만히 있는 돈은 일을 하지 않죠. 이때 돈은 엄청나게 지루해합니다. 그리고는 쌩하고 다른 사람에게로 옮겨갑니다. 자기를 유혹하는 다른 사람에게 말이죠.

명심하세요. 돈은 항상 당신을 위해 움직여야 합니다.


7. 항상 위기상황을 준비하는 비밀 계좌가 있어야 한다.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그는 당신이 비밀 계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부모님, 아내, 형제, 친구들 등등 그 누구도 모르는 비밀계좌를 말이죠. 비밀 계좌란 바로 '위기를 대비하는 계좌(Crisis Account)'입니다.


회사를 운영하게 되면 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때를 대비하여 따로 돈을 비축하는 계좌가 'Crisis Account'라고 설명합니다.

위기가 발생하면 이 계좌에 있던 돈을 사용해서 회사를 구하고 사업을 지속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죠.


위기 계좌는 사업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가정에서도 이런 계좌를 만들어서 위기에 대비할 수 있겠죠. 군사력이 강한 나라는 정규군뿐만 아니라 예비군도 강력하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8. 100억 원을 갖기 전까지 비행기 1등석을 타지 마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미국은 땅덩이가 넓어서 다른 동네를 가더라도 비행기를 타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인인 패트릭은 1등석을 타지 말라고 말하죠. 그 돈을 아껴서 다른 곳에 쓸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은 단 한 번도 일등석에 타지 않았다고 합니다. 100억 원($10 million)이 있다면 일등석을 타던 개인 제트기를 사던 알아서 하라면서요.

우리나라의 상황이라면 저는 10억 원을 모으기 전에 외제차 타지 말라고 하고 싶네요.ㅋㅋ


9. 보상 계획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Compensation Plan은 우리말로 보상 계획이라는 뜻입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보상 계획이란 회사의 사업 전략, 운영 목표, 직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는 계획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경영자가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말하죠.


하지만 패트릭은 우리가 받는 보상을 설명합니다. 사업을 운영하는 사람이 받는 보상 계획을 말이죠.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세금'입니다.

절세, 환급 등의 세제 혜택을 공부하라고 합니다. 그것이 우리에게 주어지는 보상 계획 중에 으뜸이라고 하면서요.


워런 버핏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자신의 비서보다 높은 세율의 세금을 내는 사업가는 없다."라고 말이죠. 패트릭 또한 사업가가 되면 상당한 세금 혜택을 받으므로 당신도 사업가가 되라고 주장합니다.


10. 세상이 끝났다는 사고방식을 역이용하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우리가 아는 모든 언론은 '위기'를 팔아서 돈을 법니다. 세상이 망할 것 같은 자극적인 뉴스들로 도배를 하죠.

패트릭은 이런 일이 벌어질 때,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온 세상의 90% 사람들이 끝났다고 생각하는 위기가 찾아왔을 때마다 수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됩니다.

모든 것이 세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때 부자가 되는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이때를 준비하며 미리 현금을 보유하고 있던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위기'에 대응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위기가 언제 올진 모르죠.

하지만 앞으로 20년 안에는 반드시 일어날 것입니다.

그리고 패트릭은 자신 있게 말합니다. "I'm ready for it!"


11. 정치를 공부하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그는 우리가 정치인들의 철학을 공부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번 정부의 철학이 우리에게 강한 세금을 매기는 것이라면 여기에 적응을 해야겠죠.

반대로 세금을 줄여준다면 그에 또 맞춰서 움직여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정치인과 정부의 철학을 알지 못한다면 이런 움직임에 대응하지 못할 것입니다.


12. 뛰어난 투자자들을 연구해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패트릭은 뛰어난 투자자들의 책을 읽고 연구해서 그들의 사고방식을 배우라고 말합니다. 다만 무작정 따르지는 말라고 하죠.

'생각에 관한 생각'을 읽어보면, 우리의 뇌는 투자를 못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훌륭한 실력을 갖게 된 사람에게 배워야만 합니다.

그래야 실수를 줄일 수 있겠죠.


13. 남과 비교하지 말고 당신만의 게임을 하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패트릭은 우리 자신만의 더블 게임을 하라고 합니다. 남과 비교하지 말고요.

더블 게임에서 우리의 목표는 다음번 더블입니다.

단위 : 만 원

우리가 만약 5번에 위치하고 있다고 해보죠. 우리의 목표는 6번으로 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친한 친구가 8번에 위치했다는 이유로, 나도 곧바로 8번을 가려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 순간, 내가 하는 게임의 규칙이 '2배 게임'이 아닌 '8배 게임'으로 바뀌게 됩니다.

결국 똑바른 의사결정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게임에서 패배할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패트릭은 말합니다.

당신의 게임에 집중하세요.

당신의 전략에 집중하세요.

당신의 시간 지평에 집중하세요.

당신의 위험 허용도에 집중하세요.

그리고 이에 따라서 게임을 하세요.


14. 인덱스를 이기려 하지 말고, 당신의 목표를 이기는데 집중하세요.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시장보다 초과수익을 얻길 원합니다. 시장과 같은 수익률을 원한다면 인덱스 펀드에 투자를 하면 됩니다. 그래서 많은 펀드매니저, 트레이더 들의 실력을 평가할 때 시장보다 초과수익을 냈는지를 기준으로 하죠.


하지만 패트릭은 시장을 이기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가 원하는 것은 시장을 이기는 것보다는 자신의 목표를 이기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앞에서 그는 자신만의 게임을 하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목표한 시간에 더블 게임을 성공시켰는가가 더욱 중요한 것입니다.

시장 수익률을 2%p 초과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15. 머니 메이커들과 친구가 돼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이런 말이 있습니다. "부자가 되고 싶으면 가장 가까운 5명을 부자로 만들라."

패트릭 또한 같은 맥락으로 설명합니다.

"만약 돈을 만들어 낼 줄 아는 사람들로 주변을 채운다면, 당신도 돈을 만들어내게 된다."


16. 분산투자는 겁쟁이들을 위한 것이다.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그는 우리가 겁이 많고 매우 낮은 위험 허용도를 갖고 있다면 분산투자도 괜찮다고 말합니다.

다만 우리가 진정으로 부를 창출하려면 분산투자에 대해 생각을 바꿔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죠.


우리가 72세이고 자산이 충분해서 많은 위험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분산투자가 적절한 방법이겠죠.

하지만 우리가 10억 원을 목표로 빠르게 더블 게임을 원한다면 분산투자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죠.


'집중 투자(출판사 : 에프엔 미디어)'라는 책을 보면,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 그리고 존 메이너드 케인즈 등의 저명한 투자자들은 모두 소수의 종목에 집중 투자하여 부를 일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7. 모든 것은 레버리지입니다. 모든 것을 활용하세요.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렛대라는 뜻으로, 금융에서는 주로 대출을 활용한 투자를 표현하는 말이죠.

패트릭은 자신이 설명하는 레버리지가 위와 같은 의미는 아니라고 합니다.

그는 '기간(period)'에 대한 레버리지(활용)를 말하는 것이랍니다.


어떻게 하면 당신의 사업을 성장시킬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지원을 얻을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더 많이 팔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사업을 더 크고 빠르게 확장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고객을 더 빨리 모을 수 있을까요?


결국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기간을 줄이는 방법을 찾아내면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입니다.

모든 수단과 방법을 활용(레버리지)해서 말이죠.


18. 포지셔닝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Positioning은 위치 선정을 말합니다.

우리는 회사에 노동력을 제공하고 급여를 받습니다. 이때 우리가 회사의 주식을 갖고 있다면, 내가 제공하는 노동력은 회사의 가치를 높이게 되고 그 가치가 주가에 반영되어 다시 나에게 이익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훌륭한 위치 선정이죠.


그러나 단순히 노동력만 제공하고 만다면, 나는 급여 이외에 다른 이득이 없습니다.

좋은 포지셔닝은 아니게 됩니다.


저는 포지셔닝에 대한 설명을 듣고 로버트 기요사키의 현금흐름 사분면을 떠올렸습니다.

어디에 위치할 것인가. 그 위치에 따라서 돈은 우리에게 각기 다른 방법으로 찾아올 것입니다.


19.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라.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패트릭은 사업을 하면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라고 말합니다.

의도적으로 사람들과 파트너십을 맺어서 돈을 벌면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와 같이 일하고 싶어 하겠죠. 그러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전략적 파트너십은 돈을 버는 것의 가치를 높이는 행위입니다.


20. 보너스(BIG CHECK) 증후군을 주의하세요!

출처 : https://youtu.be/D9cPAuZIigs

패트릭은 'Big Check' 신드롬이라고 표현을 했는데요. 저는 '보너스 증후군'으로 바꿔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대기업에서 보너스로 1억 원을 받았다고 해보죠.

이때 많은 사람들은 자신들의 월급이 1억 원인 것처럼 행동하게 됩니다.

1억 원을 12개월로 나누면 833만 원임에도 말이죠.


또 다른 예를 들어보죠. 최근, 저희 지역 아파트 가격도 많이 올랐습니다. 그러자 저와 가까운 동료 2명이 모두 차를 벤츠로 바꿨습니다. 우리 회사의 월급을 생각하면 말도 안 되는 행동입니다. 박봉이거든요.

동료들은 보너스 증후군에 빠진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가치관의 차이죠. 하지만 벤츠를 사는 만큼의 소비가 발생한 것이고요. 그만큼 재투자하지 못했다는 말이 됩니다. 더블 게임의 속도가 느려지거나 심각하면 후퇴할 수도 있는 것이죠.

패트릭은 이런 상황을 경계하라고 말합니다. 이 증후군에 걸려서 망한 사람을 많이 봤다고 하면서요.




지금까지 20가지 돈의 규칙에 대한 패트릭의 영상을 글로 풀어보았습니다.

글을 읽으신 분들 모두가 머니 게임을 이해하고 부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의역과 오역이 있으니 잘못된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저도 많이 배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Good!"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