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유 Jan 14. 2022

02. ESG 경영이 뭐라고?

어느 대학생의 마케팅 일기 


요즘 ESG 경영, ESG 추구 기업이라는 소리를 종종 듣게 된다. 홍보 광고학과 수업에서는 매번 빼먹지 않고 듣게 되는 경영 트렌드(?)다. 오늘은 ESG 경영이 무엇인지, ESG 경영 사례에는 어떤 게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ESG 경영?

최근 중기부(중소벤처기업부)에서 올해부터는 '대·중소기업 혁신 협력관계(파트너십)' 사업 지원분야에 ESG를 넣는다고 밝혔다. 또한, KB 금융, 우리금융 뿐 아니라 신세계, SK케미칼까지 ESG 경영이념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 혹은 뉴스를 자주 보는 사람이라면 지나가다 한 번쯤 ESG 경영이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ESG 경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ESG 경영이란,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로 기업 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경영이념을 의미한다.



ESG 경영이 왜 중요한 걸까? 

ESG 경영은 이전까지의 경제발전으로 인한 불평등, 환경 오염과 같은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더욱 주목 받는 개념이다. 이전까지 기업은 사회에 대한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연탄 봉사나 후원과 같이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이런 CSR은 보여주기 식의 소극적인 경영에 그칠 뿐이었다. 이에 따라 ESG 경영에 대한 요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경영은 앞으로도 계속되는 기업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환경에 대한 문제는 우리 모두가 적나라하게 느끼고 있는 사회 문제 중 하나다. 지구온난화와 각종 자연재해, 질병 문제로 인해 환경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에 퍼지고 있는 가운데, 기업은 이러한 사회의 요구에 따라 지속가능한 경영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더불어 세계적으로 2050 탄소중립 선언을 하고 있는 정세에 따라 기업의 ESG 경영이념은 필수적일 것이다. 


MZ세대 소비자를 잡으려면 ESG 경영은 필수이다. 

MZ세대는 1980년대에서 1990년대 태어난 '밀레니얼(Milennial) 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Z세대'를 나타내는 말로, 10대 후반에서 30대까지를 MZ세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MZ세대는 약17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35%를 차지한다.(통계청, 2020)

이러한 MZ세대는 개인의 신념을 중요시 하는 세대로 기업이 친환경적인지, 사회적인 책임을 지는지 등에 따라 소비를 고려한다. 더불어 MZ세대는 윤리적으로 어긋나는 기업에 한해서는 불매 운동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와 미래의 소비자의 마음을 잡기 위해서는 ESG 경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기업의 ESG 경영은?

2021년 기준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  'ESG 준비실태 및 인식조사'를 실시했고, 이에 따라 ESG에 대한 최고경영진의 관심도는 66.3%(매우 높다 36.6%, 다소 높다 29.7%)로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고 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과 같은 다른 국가에 비해 ESG 경영의 실천사례가 적기는 하다. 오늘은 우리나라에서 ESG 경영을 잘 실천하고 있는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나라 기업이 ESG 경영을 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전략 수립과 실천으로 높은 ESG 등급을 받은 SK케미칼

SK 케미칼은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가 실시하는 21년 ESG 평가에서 지난 해에 비해 2단계가 상승한 종합 BBB 등급을 받았다. MSCI의 ESG 등급은 세계적인 금융 기업인 MSCI가 2019년부터 매년 전 세계 상장기업들을 업종별로 구분하고, 환경(Environment), 사회적 책임(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분야를 영역별로 35개 핵심 이슈에 대해 평가하는 것으로, 그 결과에 따라 CCC에서 AAA까지 7단계로 등급이 나뉜다.  SK 케미칼은 아마존과 에스티로더 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과 같은 등급을 받음으로써 국내 화학사 중에서는 최고 수준의 등급을 받았다. 


SK 케미칼은 E-S-G에 따라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음은 2020 SK 케미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정리한 내용이다. (자세한 내용은 SK 케미칼 홈페이지를 참고 바란다.)



우리나라 기업이 ESG 경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1.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와 지배구조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변화를 보여야 한다! 
2. 경영 트렌이기 때문이 아닌 진정한 ESG 경영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 
3. 최고 경영자가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며, 이를 내부 구성원들과 공유하며 기업의 책임 활동으로 나타나야 한다! 










작가의 이전글 01. 마케팅이 뭐라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