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야모 Nov 14. 2019

Business plan 쓰는 방법(1)

비즈니스 초기 단계에서

무언가 큰 일을 시작하기에 앞서, 우리는 모두 "계획"을 짠다. 

성공적인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좋은 '비즈니스 플랜'을 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비즈니스를 처음 시작할때, 어떻게 계획해야할까? 종이로 뿌려준 내용인데 아까워서 정리했다.


1. Executive summary

 Executive summary은 단순히, 전반적인 비즈니스 플랜의 줄거리를 요약한 것이다. 서론, 비즈니스 플랜의 큰 제목, 고려해야 할 점과 야기할 점 등을 적어놓은 것으로, 상세한 정보는 적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더 흥미롭게 요약할수록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잘 쓴 비즈니스 계획이구나, 생각하게 한다. 

executive summary는 그저 전반적인 계획이기 때문에 독자들은 그 비즈니스의 키워드와 주요 사항들만을 빠르게 읽어낼 수 있고, 자신의 업무와 연관시켜 생각할 수 있다. 


2. Situation analysis

 비즈니스의 현재 퍼포먼스를 과거에 설정해놓은 목표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새로 생긴 비즈니스인 경우, 기업가는 그 비즈니스가 처음 목표한 바에서 얼마큼 진행되어 왔는지 점검하게 된다.  또한 현재의 비즈니스 상황이 어떻게 실현되었는지 요약하면서, 사업의 내, 외부 경험을 통해 얻은 data도 포함시킨다. 


경우에 따라, 이 data에는 타깃 마켓에 대한 구성, 현재 마케팅의 전략과 목표, 비즈니스 트렌드, 그리고 판매와 이익 실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기업가로 하여금 비즈니스의 현재 임무를 파악하게 하고 목표와 비전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엔 재점검하여 수정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기업의 현재 상황과 실적에 대해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동시에 실적이 어떻게 측정될 수 있을지, 그 적절한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아야 할 것이다.


3. SWOT analysis

SWOT는 strength, weakness, opportunities, and threats의 약자이다. 

 SWOT를 작성함으로써 비즈니스 모델이 경쟁 사와 비교해서 장점과 강점을 파악할 수 있고 약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강점을 실현할 수 있는 전략을 짤 수 있도록 해준다. 당연히,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라면 강점이 약점을 훨씬 앞설 것이다. 한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존재할 기회들엔 어떤 것이 있는지 파악하고, 그 기회를 어떻게 잡을지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즈니스를 하면서 직면할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risk의  순위를 매겨서 중요한 것부터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을 점검할 때는, 비즈니스 내, 외부의 요소를 둘 다 고려해야 한다. 

내부적으로는 기능적인 것 = 경영, 재무, 회계, 마케팅을 점검해보고, 

외적으로는 경제, 정치, 법과 제도, 경쟁사, 기술적 동향, 사회, 문화적  요소들을 파악한다. 


이러한 내, 외부로부터 비즈니스에 가해지는 힘들의 평형점을 예측하고, 차후에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시사할 점은 무엇이 있을지도 함께 고려한다. 워낙 급변하는 사회이기 때문에 경영진은 이러한 변화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

SWOT는 이렇게! 


SWOT 분석은 단순한 구조와 함께 보다 넓은 시각으로 비즈니스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 덕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정한 타깃 마켓에 대한 장점과 약점을 분석하면서 정량적, 정성적 요소들 모두 고려되는데, 비즈니스는 장점과 기회들에 집중하여 이윤을 내고, 약점과 위험요소에 늘 대비해야 한다. 따라서 각 카테고리별로 요소별 영향력을 고려해 플랜을 짜면, 훌륭하다! 


SWOT

비즈니스의 장점과 약점, 도대체 어떻게 파악할까? - Strength, Weakness


장점과 약점은,

기업 내부

기업과 공급자, 판매자, 소비자와의 관계

에서 모두 존재한다.


장점은 그야말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소, 더 잘하는 것 들을 말하며, 장점은 언제나 경쟁자와 상관이 있다. 자본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나 소비자 및 판매자와 더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거나, 독특한 상품, 전략적인 위치 등이 장점이 된다. 이러한 장점은 그 기업만의 것이고, 다른 경쟁사와 공유하는 것들이 아니다. 만약 모든 경쟁사들이 낮은 가격의 상품을 판다면, 그 가격은 더 이상 장점이 될 수 없다. 


약점은 비즈니스의 전략에서 특정한 선택을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요소들이다. 기업의 사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이미지도 약점이 된다. 사실 가격이 높더라도 가격만큼의 다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으면, 높은 가격은 더 이상 약점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즈니스 플래너는 어떠한 약점이 기업의 경쟁에 있어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비즈니스의 전략을 세우는 상황에서 기술과 능력을 키우고 이러한 것들을 잘 강조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장점과 약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장과 상품의 실적을 수치적으로 파악하고 과거 실적과 기대되는 실적을 비교한다.


SWOT

비즈니스에서의 기회와 위험요소는? - Opportunities and Threats


SWOT의 두 번째 파트는 비즈니스가 작동하는 환경의 외부적 요소, 즉 기회와 위험에 대한 분석이다. 외부적 요소란 말 그대로 기업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요소이다. 


기회란, 장애물을 없애고 보상을 제공하여 비즈니스가 성공 궤도를 달릴 수 있도록 해 주는, 좋은 조건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소비자 집단

    더 낮은 원가의 재료

    새로운 기술

    상품 판매 시장의 범위를 확대하거나, 경쟁자의 시장 접근성을 제한하는 새로운 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기회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에는 성공으로 이끌 가장 잠재력이 높은 순서대로 배치하면 된다. 


위험요소란, 기업이 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방해하는 조건들을 말한다. 예를 들면,

경쟁사가 새로운 상품을 출시하는 경우

사업을 제한하는 법 제정

낮은 원가의 재료를 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경제 불황

등이 있다. 


기회와 위험요소에 대한 분석은 기업의 내부적 강점과 약점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 정치, 기술, 경쟁사, 사회, 경제적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가올 미래에 기업에게 해가 될지, 이득이 될지 두고 봐야 하는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사과하는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