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야미야니 Nov 22. 2023

밥이 보약이다

집밥은 특효약

이제 음식을 단순 입으로만 들어가는 것 이외의 얘기를 하려 한다. 딸이 매일 잠들기 전 하는 인사말이 있다. “엄마 내일 아침은 뭐야?” 다음 날 아들, 딸이 합창한다. 아침 등굣길에 문 열고 나서면서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그전에 하는 말은 “오늘 저녁은 뭐야?”
 우리 세대의 부모님들의 눈 만 마주치면 하루에도 수십 번 전화를 하루에도 몇 통씩 하시면서도 매번 똑같은 말씀 “밥은 먹었니?”와 같은 맥락이 아닐까? 함께 하는 식사의 메뉴를 묻고 답하며 메뉴를 정하는 것은 소통의 시작이다. 가족이라는 단어로 지내면서 하루 혹은 일주일 내내 한자리에 앉아 함께 할 시간이 없다는 건 어쩌면 그 정도의 함께 할 시간이 없다는 건 그 정도의, 그만큼의 관심도 없다고 해석하고 싶다. 제발 먹고살기 바빠 죽겠는데 라는 말은 말자. 그 먹고살기라는 문장에 1번이 바로 내 사람들 내 가족과 함께 잘 먹고 잘살기 위함 아니던가? 내 자녀가 좋아하는 음식, 내 부모가 잘하는 음식, 가족이 이런 행사에 차려내는 음식, 생일에는 꼭 시키는 요리, 일 년에 한 번 보는 친척 집 방문에는 꼭 대저 하는 음식 등등 그들만의 음식 문화가 크고 적게 자리 잡고 있게 마련이다. 그러니 가장 기본인 가족 구성원의 매일 혹은 적어도 한 주에 2~3회 이상은 서로가 함께 자리할 시간을 마련하여 함께 할 메뉴를 정하며 각자의 시간을 가족 구성원에 맞춰 내 시간을 할애하고 맞추는 것에 당연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게 가족이고 식사다. 이미 청소년을 가진 가족이 함께 주 3회 저녁을 먹는 가족이 그렇지 않은 가정보다 비행 청소년이 될 확률이 현저하게 낮다는 논문도 발표된 바 있다. 밥도 함께 먹을 애씀도 없으면서 성적이 떨어지면 그제야 ‘앉아봐!’ 학교에서 문제가 생기면 그제야 ‘도대체 뭐가 문제니?’ 어느 날 갑자기 부모 노릇 하겠다고 갑자기 다가오면 너무 불편한 거다. 반대로 용돈이 필요하다고 갑자기 말 많고 애교 많은 자식이 되면 또한 불편한 거다. 평소에 서로의 식사와 하루를 묻는 가족이 소통되는 법이고 서로에 놓지 않는 관심으로 문제를 덜 일으킬 수밖에 없다. 그러기엔 너무 작지만 소중하고 간단명료한 오늘의 식사 메뉴가 제격이 아닐까? 소통의 원활하니 만병통치약의 원천은 또 음식이 되는 것이다. 그 첫 번째에 특효약으로 가족 구성원이 좋아하는 메뉴를 알고 있고 함께 정하고 챙겨줄 수 있는 집밥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것은 집밥 하면 ‘엄마의 몫’인가?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집에서 먹는 배달 음식이 될 수도 있고 할머니가 해주시는 오래된 집안 전통 음식일 수도 있고 아빠가 해주는 일품요리가 될 수도 있다. 엄마가 해주는 밀키트 요리도 될 수 있고, 아들이 해주는 분식이 딸이 해주는 젤리비스킷버거가 될 수도 있다. 가족 구성원이 함께 모여 함께 맛보고 즐기고 씹고 뜯는 모든 것들인 음식을 나누는 그 시간을 말한다. 그러면서 몸에 안 좋은 음식이 나올 땐 이 앞전 글들을 보여주며 ‘음식이 약이다.’ 한번 읽어주면서 말이다. 그렇게 음식은 몸과 마음을 모두 안정시켜 주는 안정제인 것이다. 소통의 조미료 이면서

작가의 이전글 음식이 정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