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륫힌료르 Dec 25. 2022

화진에 대하여

'나주에 대하여(김화진)'를 읽고


 어느덧 열두 해 전이 된 2011년 2월의 어느 날, 대학교 새내기로서 네 친구를 처음 만났어. 네 친구와 나는 새터에서 같은 조였고 우린 급속도로 친해졌지. 갓 상경해 모든 게 낯설던 내게 같은 학교에 합격한, 그것도 첫날 같은 조로 묶인 수도권 출신 여자애는 뭐랄까? 어서와! 서울은 이래, 하고 안내해주는 이정표였고 나의 기댈 곳이었어. 나는 유쾌하고 털털한 성격을 지닌 내 친구가 좋았어. 그리고 너는, 그런 내 친구와 어릴 적부터 늘 함께하던 절친이야.

 내가 너를 처음 알게 된 건 내 친구이자 너의 절친(아, 내 친구이기 이전에 너의 절친이라 말하는 게 더 맞겠다)인 A를 통해서야. 싸이월드, 페이스북, 그리고 인스타그램에 이르는 십수 년 간의 SNS 역사 속에 나는 늘 A와 연결돼 있었고 그녀의 게시물 속에는 꽤 자주 네가 등장했어. 왜 있잖아. 누군가와 친해지면 그 사람의 절친 이야기를 하도 많이 들어서 마치 그와 직접 아는 사이인 것 같은 착각이 드는 거. 나 역시 그랬달까. 너는 나를 알까 싶었지만 나는 너를 스무 살때부터 서른둘을 앞두고 있는 지금까지 늘 알고 있었어. 너는 몇 년 전 A와 함께 영국 여행을 다녀왔고, 글이 좋아 출판사에 입사했고, 공사다망한 중에도 꾸준히 글을 써서 단편소설 '나주에 대하여'가 작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는 쾌거를 누렸어. 그리고 등단 후에도 부지런히 글을 모아 두어 달 전 첫 단편소설집을 출간했지. 이 모든 소식을 알게 된 것도 역시 A의 인스타그램을 통해서였어.

 그때부터였을까. 그저 친구의 친구였던, A의 SNS 속에나 존재하던 네가 내 머릿속을 헤집어놓은 게. 내 손가락은 어느새 네 소설집을 주문했고 내 눈은 네 문장을 토씨 하나 안 놓치려 덤벼들었고 내 입은 너의 뛰어난 필력에 와, 하고 있었어. 그리고 평온하던(혹은 지루하던) 내 가슴은 정말로 오랜만에 쿵쿵, 반응했어. 네 글에 흠뻑 빠져있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내 손가락은 A에게 "네 친구 정말 대단하다"며 카톡을 보내고 있더라. 무슨 이유에선지 그런 평이 너에게 닿길 바라면서. "내 친구가 네가 쓴 책 읽고 대단하다고 칭찬했어"ㅡ 뭐 그런 말로라도 너에게 내 존재를 알리고 싶었던 건지.






 너는 '작가의 말'에서 "좋은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다보면 못생긴 마음들이 찌꺼기가 되어 남는다"고 했어. 그 못생긴 마음들을 글로 쓸 때 행복하다고도. 그리고 그 말을 증명하듯 '못생긴 마음'을 8편의 단편소설로 멋지게 풀어냈어. 너의 문장은 매우 섬세하고 어떤 면에선 날카로워서, 사회적 인간의 범주에 속한 사람이라면 속으로 삼키고 말 법한 마음들을 하나하나 건드렸어. 마치 데자뷰처럼 소설 속 주인공의 상황을 내가 겪어본 것 같은 착각이 들었지. 사실은 상황이 아니라 소설 속 인물들이 느꼈던 감정들을 나 역시 경험한 거였지만. 네가 동갑내기 작가여서 더 그랬을까, 소설 속 인물들이 그토록 나 같아서 더 흡입력 있었어.


 좋은데 싫은 마음, 아무렇지 않은 척하지만 사실 요동치는 마음, 축하를 빙자한 질투... 뭐 그런 것들도 네가 말한 못생긴 마음들에 속한다면, 고백하건대 나 역시 너에게 그런 못생긴 감정들을 느꼈어. 아마도 그건 내 꿈이 너처럼 글 쓰는 사람이 되는 거여서. 유일한 버킷리스트가 언젠가 내 이름으로 된 책을 내는 일이어서. 그리고 네가 대단한 유명인이 아니라 그저 내 친구의 친구여서. 실제 너와 말 한 마디 나눈 적도 없고 A의 SNS 속에서나 어깨너머로 접했을 뿐이지만, 고작 그런 이유들로 내 못난 내면은 본 적도 없는 너를 깎아내리기 바빴어. 책을 주문한 것도 사실 '그래봤자 내 삶의 궤적과 크게 다르지 않을 31살 동갑내기가 잘 쓰면 얼마나 잘 썼겠어?' '그래도 어떻게 썼는지 궁금은 하네..' 그렇게 배배 꼬인 마음에서 비롯된 거였으니까. 그래서였을까, 처음엔 좀 약오르더라. 8편의 단편소설을 한 편씩 읽을 때마다 어, 이거 내가 쓰려고 했던 주제인데? 하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었거든. "이건 언젠가 써야지! 난 정말 창의적인 인간이야!" 들떠서 글감들을 신나게 메모했는데, 네가 "내가 먼저 썼지롱!" 하는 느낌.

 하지만 인정할 수밖에 없었어. 책장을 넘길 때마다 네가 나보다 몇 발짝이나 앞서있단 것이 뼈 아프게 와 닿았어. 먼저 꿈을 이룬 사람들은 그럴 만한 자격이 있다는 것도. 나는 글감들을 메모해두는 데 그쳤고, 너는 내 메모장에 잠들어있는 글감들을 맛있게 요리해 소설이라는 그릇에 담아냈으니까. '나주에 대하여' 속 주인공처럼 출판사 SNS에서 너의 모습을 훔쳐보고 폭풍검색으로 너의 발자취를 좇으면서 깨달았어. 내가 질투했던 건, 어느 날 운이 억세게 좋아 소설집 출간까지 후루룩 해치운 내 상상 속 너라는 걸. 실존하는 너는 늘 책을 가까이했고, 글이 좋아 출판사에 입사하기까지 했으며, 언제나 글의 곁에 맴돌면서 한 우물만 파는 1만 시간을 보냈다는 걸. 그것도 여러 번을. (그래서인지 '꿈과 요리'가 내겐 베스트 작품이야. 솔지가 나 같고 수언이 너 같고 그렇더라고. 겉으로 드러내지 않았을 뿐 너는 수언처럼 늘 좋아하고 하고 싶은 일 가까이서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민해왔을 테니까.)



 그런데 있지, A에게 보냈던 카톡 ㅡ "네 친구 정말 대단하다" ㅡ 은 진심이었어. 비록 그 속엔 너를 대단하다 인정해버리면 못난 마음을 가졌던 나의 초라한 내면이 조금은 체면치레를 할까, 뭐 그런 생각도 한 스푼 있었지만. 그리고 책을 덮은 지금은 너에게 진짜로 고마워졌어. 내가 느낀 못난 마음들이 유별난 건 아니구나 안도할 수 있게 해줘서. 그 감정을 인정하고, 지금 이 글처럼 내가 감히 그랬었다고 고백하는 용기를 갖게 해줘서. 그리고 건방지게 들리겠지만, 무엇보다도 '나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해줘서. 평범한 듯 보이는 네가 먼저 꿈을 이루는 걸 보면서, 동시에 특별할 것 없는 내 일상에도 글감은 항상 존재한다는 사실을 실감했어. 일하느라 글 쓸 시간이 없다는 허울 좋은 핑계 역시 출판사 일을 계속 하면서 작품활동을 하는 너로 인해 보기 좋게 찌그러졌고. 나는 이제 너의 발자취를 따라 책도 열심히 읽고 글도 꾸준히 쓸 거야. 그러니 너의 다음 한 발짝도 살풋 기대해볼게. 기회가 된다면 이토록 섬세한 감성을 지닌 너와 SNS 너머 친구의 친구가 아니라 자질구레한 수식어가 필요 없는 진짜 친구가 돼보고도 싶다. 열렬히 응원해. 김화진 작가님!

매거진의 이전글 92년생 동생의 눈에 비친 '82년생 김지영' 언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