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직장인 Oct 06. 2019

퇴사하고 싶을 때 대처하는 법

마인드 컨트롤 인간관계 편

퇴사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직장인이라면 한번 이상 꼭 드는 마음일 것이다. 필자도 가끔 울컥할 때가 있지만  그때마다 카드 고지서를 보며 힘을 내곤 한다. 같은 처지의 직장인이 있다면 함께 힘내고자 버티는 노하우를 공유한다.



퇴사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 일 것이다. 첫 번째는 단연코 사람 문제이고 두 번째는 연봉, 복지 등이 포함된 회사 문제 일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사람 문제에 대해 논해보고 다음에 회사 문제에 대해 논해보자.


사람 문제

1. 상사일 경우

오늘도 이대리는 혼이 난다. 매일 하루에 한 번 욕을 먹지 않으면 일을 하지 않은 것 같은 수준까지 왔다. 다른 사람에게는 그냥 넘어가는 문제인데 유독 A상사는 이대리에게 엄격하다. 상사와의 문제. 돌이킬 수 있을지조차 이젠 판단이 안 선다. 퇴사할까 싶어 채용 공고를 찾는다. 마침 적합한 경력직 공고가 있다. 고민이 깊어지는 밤이다.

이대리와 같은 경우는 누구나 겪는다. 필자도 겪었다. 필자는 사람과의 관계가 틀어지면 원상복구를 잘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래서 안 틀어지게 노력하는데 사람 마음은 마음대로 안된다고,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 틀어져버리면 답이 없다. 필자는 지나갈 때까지 견뎌냈다. 어떻게 견뎌냈는지는 아래에 서술하겠다.


회사와 나를 구분한다

회사에서의 일은 회사에서 털어낸다

회사 외에 다른 일에 집중해본다

상사의 입장에서 이해해보되, 죄책감은 너무 크게 가지지 않는다

 

필자는 회사와 나를 구분하여 견뎌냈다. 이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회사에서 생긴 일은 퇴근과 동시에 문을 열면서 모두 잊는다. 그리고 회사 외의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해본다. 가령 이 브런치를 쓰는 것처럼 글을 쓰거나 영화를 보는 등 다른 집중할 만한 것을 만든다. 취미를 갖는 것과 유사하다. 다른 것에 집중하면서 우리는 회사에서 생긴 일을 보다 빠르게 잊을 수 있다. 우리에게 망각의 능력이 있는 것은 참 다행이다.


또한 회사와 나를 구분하여 회사에서 내가 아무리 비참하더라도 퇴근과 동시에 내가 얼마나 소중한 사람인지를 재 상기하였다. 이는 나로 하여금 우울한 기분에서 건져내는데 도움이 되었다. 왜냐면 나는 무능한 사람은 아니고 잠시 지나가는 풍파에 멘탈을 단련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기 때문이다. 동시에 회사에서 생긴 일을 집으로 가지고 오지 않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이었다.


마지막으로 상사 입장에서 이해를 해보았다. 손뼉은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고 모든 것이 다 내 잘못일수도  상사 잘못일 수도 없다. 그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보면 그 또한 불안정한 인간인지라 실수를 할 수 있다. 다만, 너무 감정 이입을 해서 내가 나쁜 사람이라는 결론에 이르면 곤란하다. 그를 이해하되 동조하진 말자.


2. 후배일 경우

 이번에 새로 들어온 김사원은 시원시원하게 뱉는 성격이다. 무엇을 시켜도 하기 싫다는 표정은 기본이고 항상 프로젝트의 중심에 서지 않으면 대충대충 하고 인사도 먼저 해야만 그때서야 한다. 내가 꼰대인 건지 김사원이 문제인지 이젠 판단이 안 선다. 오늘도 두통약을 먹는다.

위의 과정도 누구나 일하다 보면 겪는 일이다. 부하직원과의 소통이 잘 되지 않고 그가 원하는 바가 충족이 되지 않으면 일어나는 일이다. 그때 필자는 다음과 같이 견뎌냈다.


공적으로 대한다.

업무 지시는 가능한 메일로 진행한다.

그의 입장에서 이해해본다.


공적으로 대하면서 사적인 부딪힘을 줄이면 업무로써 대하는 것 외에는 충돌이 있을 수 없다. 상대방이 감정적으로 나오더라도 내가 공적으로 업무 대 업무로써만 대하면 서로 얼굴을 붉힐일은 적다. 경험상 후배 외에도 업무 하다 보면 감정적인 경우가 될 수 있는데 이때마다 이를 되새겨보면 도움이 된다.


업무지시를 메일로 진행하는 것은 불통을 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다. 면대면으로 대화를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분노가 일어날 때가 있다. 그럴 때 메일로 소통하면 보내기 전에 글로써 정리를 한번 하기 때문에 서로 감정이 상할 수 있는 말은 안 할 수도 있으면서 내 의견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의 입장에서 이해해본다. 사람은 완전한 사람은 없고 누구나 불완전하다. 그 또한 완전해지는 과정에 나를 만나 서로가 불완전하다 보니 힘든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직장인들 모두에게 행복하게 일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작가의 이전글 석사의 의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