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nya May 01. 2024

09. STROKE

Unfortunately....

어떡해... 여보! 제발 죽지 말고 살아만 있어 줘요.. 제발.....


- 지난 편과 이어지는 글입니다 -


몇 시간 사이 너무 많은 일이 있었다. 충격과 공포, 피가 말리는 시간들...

캄캄하고 고요한 밤. 내 머릿속엔 닥친 사건들이 뒤엉켜 메아리쳤다. 

아들의 소식을 들은 시어머님의 비명소리. 핸드폰 속 사위의 모습을 본 엄마의 경직된 외마디. 아빠의 한없이 굳은 표정... 의식을 잃어가던 남편의 마지막 모습... 시각과 청각이 마비되는 것 같았다. 까맣게 어둡고 적막한 새벽이라 그런 게 아니었다.


눈물이 하염없이 흘렀다. 심장이 쪼여오는 듯한 고통으로 핸드폰을 계속 바라보지만 아무 반응이 없었다. 

시간이 흐르고 있긴 한 걸까? 

'태양아(태명), 미안해. 놀랬지? 미안해... 아빠 위해 기도하자...' 긴장으로 딱딱해진 배를 매만지며 뱃속아이를 위로해 보지만 불안감은 더 커져만 갔다.


2020년 9월 8일 새벽 1시 50분. 

드디어 핸드폰 쪽에서 불빛이 비췄다. 밀라노 병원 담당의사가 보낸 문자였다. 



모든 시술이 잘 끝났고, 안정을 되찾았다고.


"아------ 하나님. 감사합니다..."

"의식이 돌아왔대요!" 

"됐다. 됐어... 괜찮아." 안도의 깊은 한숨이 그날 밤 새까만 어둠을 모두 밀어낼 듯 뿜어져 나왔다. 




당시 남편은 40대 초반이었다. 농구를 좋아하고 각종 스포츠에 능했던 건강한 남편. 몸이 악기인 성악가였기에 술, 담배는 당연히 안 했고, 자기 관리에 열심이었다. 서로 떨어져 있던 5개월 동안에도 건강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며, 영양가 높은 현미밥을 먹으라고 오히려 날 챙겼던 사람이었다. 요리를 잘했던 남편은 시장에서 사 온 싱싱한 채소들로 건강식을 해 먹으며 인증사진을 찍어 보내기도 했었다.  


STROKE. 

그런데... 남편에게 급성 뇌경색이 온 것이었다.  


매일 영상통화, 보이스통화를 했었다. 쓰러지기 며칠 전엔 친구와 산에도 다녀왔다며 사진과 동영상들을 잔뜩 보내왔었다. 전조증상? 이상증상? 전혀 느끼지 못했다. 도대체 왜?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까? 고혈압? 혈압은 오히려 내가 더 높았다. 도저히 남편이 쓰러진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얼마 뒤 남편 담당의사로부터 다시 메시지가 왔다.   

unfortunately......

Lee can't speak and move right limbs. 


unfortunately.... 남편은 뇌졸중 골든타임을 놓치고 말았다... 








매거진의 이전글 08. 제발, 죽지 말고 살아만 있어 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