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쌩긋 May 23. 2018

정규직이 되고싶었을 뿐인 MBC 비정규직 아나운서

그들에게 "적폐"라고 이름붙일 권리는 누구에게 있나

2008년 MBC에는 계급이 있었다. 목에 걸고 다니는 출입증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색깔이 달랐다.

MBC아카이브팀은 통상적으로 문헌정보학과 출신들에게 지급되는 임금보다 아주 살짝 높았기 때문에 문정인들이 주로 보는 채용공고 사이트에서 인기가 높았다. 그리고 그들은 그 사실로 자신들의 정치적 올바름을 증명하려 했다.
나도 안다. 같은 월급쟁이 처지,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일에 그들이 뭐 그리 크게 관여할 수 있었겠나. 그리고 그정도의 임금 수준이라도 책정하기 위해 그들이 기울인 노력이 거짓이 아니었을 것도 안다. 하지만 아무리 업계보다 높아봤자 한달에 90만원도 쥐지 못하는 사회초년생 비정규직에게 생색낼 정도까지는 아니지 않을까.

그때 MBC는 바야흐로 "마봉춘"이라 일컬어지며 잘나가던 시절이었지만 우리가 일했던 아카이브실은 지하에서 밖에 비가 오는지 햇살이 비추는지 알 수가 없는 골방 한켠에 불과했다. 마봉춘에 근무하는 듯, 근무하지 않는 듯 근무했었던 우리. 반면 우리팀을 관리하는 부서는 10층에 있었다.

 



MBC정상화를 놓고 보무도 당당하게 되돌아온 그들은 왜 아직 같은 모습일까. 백일이 넘게 파업을 하고, 입사 능력과 경력과 무관한 곳으로 발령받는 치욕을 겪고, 해고투쟁을 하고, 견디기 힘들어 스스로 떠나기도 하고 소중한 동지를 잃기까지 했으면서도 왜.

지금쯤은 근본적으로 이 사회의 열악한 노동조건, 즉 경쟁과 통제를 강화하는 신자유주의적 시스템에서 비롯된 어려움이라는 것을 알아챘어야 하지 않은가. 현장 안의 정규직 노동자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공동의 적은 노동자를 쥐어짜는 국가와 자본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를 부역자로 낙인찍고 내치기는 쉽다. 하지만 결국 그들 삶의 결을 면면이 살펴보는 작업을 하지 못한다면 당신들은 민주노조의 방향성도, "마봉춘"으로서의 갈 길도 잃은 것이다.

2017년 9월, 교육공무직본부가 집단교섭투쟁 승리와 근속수당 완전쟁취를 놓고 전국동시다발 확대간부 경고 파업을 벌인 날,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우리는 <공범자들>을 함께 보았다. 그리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전하러 온 MBC피디는 파업투쟁에서 승리하고 MBC로 돌아가 세상의 가장 약하고 아픈 곳을 찾아 진실을 전하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금 당신들의 가장 가까운 곳에 그 약하고 아픈 모습이 있다.

당신 곁의 그들은 그리고 8개월 전에 만난 우리는, 교육청의 협박과 교장의 재량권과 관리자의 희망고문에 혹시 내가 해고될지 몰라 떨 수 밖에 없는 힘없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다.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2830

매거진의 이전글 더불어민주당의 더불어하지 않고 민주적이지 않은 공천유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