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Twenty minutes behind you





여섯 번째 단편 <Light>를 읽는다. 


“You’re scared to die, even at your age?”

Olive nodded. “Oh Godfrey, there were days I’d have liked to have been dead. But I’m still scared of dying.” The Olive said, “You know, Cindy, if you should be dying, if you do die, the truth is – we’re all just a few steps behind you. Twenty minutes behind you, and that’s the truth.” (128) 


아픈 신디를 찾아온 올리브. 그녀 역시 죽음이 두렵지만 사람들이 외면하는 신디를 찾아와 말동무가 되어준다. 이렇게 나이 든 자신 역시 죽음이 두렵노라 말해준다.  


죽음을 어떻게 대면할 것인가,를 자주 생각한다. 다음 달이 되면 시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2년이 된다. 맞은편 신호등에 시아버지 키에 시아버지 체격의 어르신을 발견하면 아직도 움찔하고 놀란다. 시아버지가 중환자실에 계실 때, 하루에 두 번씩 매일 면회를 갔다. 시아버지의 임종을 보았고 입관에 참석했고 화장터에 함께 갔다. 수목장에 모시는 모습을 직접 보았다. 그런데 아직도 시아버지의 죽음을 실감하지 못한다. 


시아버지를 모신 수목장에 도착하면 시어머니가 말씀하신다. 여보, 우리 왔어요. 애들이랑 같이 왔어요. 도련님이 말한다. 아버지, 저희 왔어요. 시아버지는 여기 안 계시는데 지금 뭐라고 하는 거지? 여기 안 계시는데 지금 무슨 말을 하는 거지? 시아버지는 어디 계신가. 내가 찾는 것은 무엇인가. 시아버지의 실체인가. 실물로서의 시아버지인가. 시아버지의 생명활동이 완벽하게 멈춰지고 그분이 한 줌의 재로 돌아갔다는 걸 두 눈으로 보았는데, 여기 바로 이 자리에 묻히는 것을 직접 보았는데, 나는 무엇을 찾고 있는가. 나는 시아버지의 무엇을 찾는가. 내가 찾는 것은 시아버지의 마음인가. 나를 예뻐해 주셨던 마음인가. 남편에게 남아있는 시아버지의 정갈함인가. 간곡히 부탁하셨던 그때의 그 말씀인가. 나는 무엇을 찾는가. 



죽음 자체가 두렵지는 않다. 죽음이 찾아오기 직전이 두렵다. 생존을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상태, 다른 사람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태에 처하는 것, 그런 것이 두렵다. 몸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그런 상황이 두렵다. 내세를 믿는 사람이니까, 내게 죽음은 단절과 종말이 아니라, 다른 세계로 향하는 문일 뿐이다. 죽음 자체가 두렵지 않다.   



요즘에는 더 자주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친구들 때문인 것 같다. 노쇠한 부모님을 돌보는 친구들의 이야기 속에는 어떤 책에서도 읽은 적 없었던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하지만 대화를 나누던 중에 ‘이젠 돌아가셔야지’라고 그녀가 말할 때, 그 순간만큼은 동의할 수 없다. 이해할 수 없는 게 아니라 받아들이기 어렵다. 너는 그 상황을 겪어보지 않아서 모르는 거야. 그 상황이 얼마나 고달픈지 몰라서 그래,라고 말할 때 그 말이 맞다는 걸 알지만, 암담한 마음만은 어쩌지 못하겠다. 탄생만큼 신비한 죽음이, 이렇게 이해되는 게 서글프다. 나 역시 죽어야만 하는 존재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은 나의 죽음에 대한 예언이니까. 





존경하고 애정하는 유시민 작가님이 ‘알릴레오’에서 이 책을 추천하셨다. 도서관에서 얼른 대출해왔고, 마지막 단원을 (내가 알고 싶은 건 바로 그곳에 있을 것을 아니까) 가열차게 읽었다. 



춥고 황량한 우주를 향해 나아가려면 웅장한 설계도 같은 것은 잊어야 한다. 입자에게는 목적이 없으며, ‘우주 깊은 곳을 배회하면서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궁극의 해답’ 같은 것도 없다. 그 대신 특별한 입자 집단이 주관적인 세계에서 생각하고, 느끼고, 성찰하면서 자신만의 목적을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상태를 탐구하는 여정에서 우리가 바라봐야 할 곳은 바깥이 아닌 내면이다. 이미 제시된 답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적인 존재의 의미를 찾으려면 내면으로 들어가야 한다. 물론 과학은 바깥 세계를 이해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다. 그러나 과학을 제외한 모든 것은 자신을 성찰하고, 자신이 할 일을 결정하고, 이야기를 들려주는 인간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들의 이야기는 짙은 어둠을 뚫고 소리와 침묵에 각인되어 끊임없이 영혼을 자극할 것이다. (459쪽) 



‘세상의 시작과 진화 그리고 그 끝’을 말해주겠다던 브라이언 그린의 마지막 문장이다. 내면으로, 더 깊은 내면으로 들어가라는 것이 이 책을 지은 과학자의 결론이다. 그리하여, 이 우주에서 더는 발견될 수 없는 고유하고 특별한 원자의 조합으로서 내가 할 일은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야기를 읽는 것. 소설을 읽는 것. 올리브를 읽는 것. 이것이야말로 필멸의 존재인 나 인간이, 예정된 죽음을 이해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그 방법을 써보려 한다. 다시, 올리브를 읽는다.











작가의 이전글 올리브를 읽는 시간이 좋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