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지원 Sep 13. 2020

난장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1

'난쏘공'과 '기생충' 사이 - 난쏘공 다시 읽기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현실에 대한 세부적, 사실적 묘사를 바탕으로 소외된 계층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도시 빈민의 고통과 좌절을 압축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입주권을 사들인 부동산업자와 철거민 사이의 갈등 관계가 형상화되어 있다.’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에 대한 국어 교재의 문제들 중 하나다. 우리는 70년대의 가난, 도시 빈민을 상징하는 작품으로 난쏘공을 배운다. 한 편으로는 이런 안도감이 든다. ‘지금은 이런 세상이 아니라서, 나에게는 몸 뉘일 따뜻한 보금자리가 있어서 다행이다.’ 그리곤 친구와 우리나라가 얼마나 부자 나라가 됐는지에 대해 너무 쉽게 얘기한다. “요새 돈 없어서 배곯는 사람이 어디 있냐?”


과연 21세기 한국에는 배곯는 사람이 없을까? 기본적인 의식주가 해결되지 않아서 고통받는 사람은 제3세계 만의 얘기일까. 아니다. 우리는 서울역 앞을 지나칠 때, 냉장고에 쉰 김치만 남아 있었다는 어느 가족의 비극을 마주할 때 ‘굶어 죽음’을 목격할 수 있다. 어디 굶어 죽는 것뿐일까. 요즘의 가난은 일상의 가난, 상대적 빈곤의 모습으로 존재한다. 부부, 아들, 딸 네 식구가 반지하 투룸에서 다달이 세를 지불하며 산다. 일주일에 세 번쯤은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아이들에겐 급식 카드가 지원된다. 이들은 적어도 배곯지 않으니, 충분한 삶을 누리고 있는 사람들인가? 지방에서 상경한 취준생이 1.5평 강남 고시원에 머물며 김밥으로 끼니를 때운다면, 가난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들의 가난은 우리 눈앞에 잘 드러나지 않는다. 멀쩡하게 옷을 입고 나와 비슷하게 사는 것처럼 보이는 평범한 주변 사람으로 존재한다. 우리의 무관심과 안도, 재개발과 같은 국가의 폭력에 의해 가난은 ‘비가시화’ 되어 왔다. 21세기의 가난과 가난한 자의 육체노동은 숨겨야 할 치부로, 능력 없음의 상징으로, 냄새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게 요즘의 가난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채로 우리 곁에 존재한다. 심지어 가난은 게으른 자의 말로로 여겨지도록 교묘하게 변질되어왔다. 70년대의 가난의 상징인 이 책과 요즘의 가난의 상징인 영화 ‘기생충’을 비교해 보면 그 차이가 뚜렷하다.


난장이는 끊임없이 일한다. 채권 매매, 칼 갈기, 고층 건물 유리 닦기, 펌프 설치하기, 수도 고치기 같은 힘들고 위험한 일을 매일 같이하며 열심히 살아왔다. 영수, 영호, 난장이의 아내도 공장에 나가 죽은 듯이 일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족은 고기를 먹지 못한다. 그때의 가난은 땀 흘려 일하지만 결국 극복할 수 없는 것, 끈질기게 대물림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KBS '난쏘공'


반면 영화 ‘기생충’의 아버지 기택은 일하지 않는다. 몇 번의 사업이 실패한 후로 그의 가족은 전원 백수다. 그들은 노동을 하지 않으면서 잘 살아갈 궁리를 한다. 겨우 부업 수준인 피자 박스 접기를 하는데, 그마저도 대충 해서 불량품을 만들고 만다. 결국엔 부잣집에 기생하며, 그들의 삶을 시샘하며 좀 먹는다. 평창동 부잣집의 지하, 보이지 않는 곳에는 빚쟁이들에게 쫓겨 스스로를 가둔 채 살아가는 더 가난하고 몰염치한 빈대마저 존재한다. 영화 ‘기생충’ 속 가난한 자들은 제각각의 이유로 일을 관두게 됐지만 결국 그 상황에 굴복하고 무전취식하려는 존재로 그려진다. 감독의 의도가 어떻든 간에, 사람들은 극장을 나서며 불합리한 사회 구조를 논하기보다, 가진 게 없는 자들의 뻔뻔함에 혀를 내두른다.


지금, 21세기의 가난은 일종의 죄악이자 게으름의 표식이다. 마트에서 시식 알바를 하고 있는 학생을 보며 자신의 아이에게 “너도 공부 안 하면 저렇게 돼!”라고 말하는 주변의 모습에서 알 수 있다. 공부를 안 하고 노력하지 않은 사람은 번듯한 직장을 갖지 못하고 시급에 의존하는 육체 노동자로 산다는 사회적 인식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40년 동안 더 나아지지는 못할망정, 가난은 왜 죄악이 되어 버렸을까. 난쏘공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이유가 보인다. 난장이 가족이 계층 상승의 다리라고 믿었던 것들이 결국 가진 자들의 입맛에 맞게 재편되어 왔기 때문이다.



영화 '기생충' 중 기택 가족

어떤 것들이 재편되어 왔는가는 '난장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2'에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