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양갱 Sep 03. 2023

선생님이 이런 것도 안 해주면 누가 해줘요?

다그치는 부모, 영어교육의 방향(3)

이건 영어교육이라기보다는 전반적인 교육에 관한 것이긴 하다. 하지만 국어와 사회도 가르쳐 본 입장에서 유독 영어선생님에게 학부모는 더 야박했고, 바라는 바가 많았으며, 성취도를 다른 학생과 심할 정도로 많이 비교를 하였다, 그뿐일까. 사소한 아이 돌봄 노동부터 당연하게 생각하고 '영어선생님'이니까, 언어를 가르치니까, 다른 선생님보다 아이들과 더 가까워야 하고 그러니까 이 정도는 당연히 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몬스터학부모가 10명 중 8명은 되었다. 아이의 나이와 관계없이. 어리면 어릴수록 더욱더.


이번 편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영어' 선생님과 학생과의 관계와 학부모이다. 괴물 같은 학부모들은 어차피 자기 아이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자신의 아이와 선생님이 '특별한' 관계를 형성하여 '특별한' 혜택을 누리길 마음을 가리지 않고 내비친다. 선생님과 한마디라도 더 하기 위한 아이들의 열정으로 이해한다면 정말 아름답고 성공적인 그림일 것이다. 하지만 책 한 권도 스스로 고르지 않고 '선생님이 골라준 책'을 가져오길 바라고, 수업시간에 발표를 할 때도 자기 차례에 하기보다는 자기가 손을 들 때마다 선생님과의 특별한 ‘교감’으로 다른 아이의 기회가 없어지더라도 자신의 아이에게 기회가 오길 바란다. 선생님들도 자신들의 쉬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 역시 신경 쓰지 않는다.

부수적으로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독서를 하고 독서록을 작성하게 되는데, 그 독서록조차도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영어로' 표현하고 '따로' 칭찬받기를 바란다. 혹은 부족한 부분을 '개별적으로' 케어받기를  바란다. 독서록은 자율적인 활동이라 스스로 하고 선생님은 레벨에 맞는 책이나 독서록의 형식을 조언해 줄 수는 있지만 이렇게 매번 매장도움을 줄 수는 없다고 정중히 거절을 하였더니 그 어머님은 나에게 정말 어이가 없다는 듯 물어봤다,

선생님이 이런 것도 안 해주면 누가 해줘요?

  

 선생님은 모든 것을 해주는 사람이 아닙니다. 아이가 어리다고 숙제를 대신 적어주는 사람이 아니라 영어를 가르치는 사람인데 "영어로 숙제를 적으니 아이가 못 따라가서 숙제를 다 못 적어와요. 숙제는 항상 문자로 따로 보내주세요"라는 문자를 11시쯤 받을 때는 내가 누구를 가르치는지 자괴감이 든다. 가장 어린 초등학교 1학년을 가르치더라도 숙제가 처음일 경우 적는 시간을 10분가량 주고 있다 (그리고 문장이 아니다!! 페이지 쪽수이다!!! 숫자!!! 숫자가 더 많다!). 아이들은 그저 본인들이 할 수 없었던 일에 대해서 어려워서, 혹은 선생님 때문에 라는 변명을 하고 몬스터학부모들은 아이들의 말만 100% 믿고 본인이 괴물이라는 인식 없이 당연하게 왜 아이를 혼냈는지 선생님부터 추궁하고, 왜 아이들이 못했는지 고민 없이 선생님들이 충분한 시간을 주지 않았을 거라는 생각에 여린 아이마음에 상처가 생겼을 까봐 노심초사부터 하게 된다.


자신의 아이가 언어를 가르치는 선생님과 특별한 유대관계를 맺는다는 것에 사활을 걸고 오늘 무슨 이야기를 '특별히' 나누었는지, 다른 아이들보다 어떤 점을 '특별히' 케어해 줬는지, 지긋지긋하게 보고를 요청당한다. 사노비가 따로 없다.



오히려 아이가 알아서 하고 있다면 선생님이 먼저 다가가게 된다. 혹시 아이가 레벨에 맞지 않는 책을 고르진 않을지, 쉬는 시간이라도 지나가다가 보이면 한 번이라도 더 눈길이 가게 되고 독서록을 내는 아이와 책에 대해서 한마디라도 더 나누게 된다. 그리고 선생님의 위치에서 당연히 더 눈에 예쁜 아이가 있어도 절대 티를 내지 않는 게 원칙이다. 이 당연한 것도 지키지 않을 것을 요구하며, 호의로 해주는 일들을 권리로 착각하며 내가 해야 하는 일들을 강제로 확장당하는 것은 결코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없으며 최선을 다해 할 수도 없었다. 특별한 관계 맺음은 분명 가능하다. 하지만 영어는 억지로 시켜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언어이기 때문에, 언어라서, 더욱 자율적으로 두어야 아이의 입이 열리고 마음이 열릴 수 있는 것이다. '오늘 몇 마디 했어!'가 답이 아니라 '내일은 무슨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가 답이 되어야 할 차례이다.

작가의 이전글 몬스터학부모, 그들이 낯설지 않은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