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반고 Mar 17. 2024

응원의 편지


돌돌이가 훈련소로 떠난 후, 해병대 가족을 위한 온라인 카페에 가입했다. 도움이 될 만한 물건을 보내려고 찾아보니, 아무거나 보내면 안 된다는 안내가 있었다. 과자, 음료, 껌은 불필요 물품이라 보낼 수 없고, 커터칼, 가위는 날카로운 물건이라 안 되며, 장신구, 전기제품도 반입 금지였다. 훈련소에는 책, 신문같이 인쇄 매체는 들여올 수 없어서 군인을 응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손편지라는 글이 특히 많았다. 나는 틈틈이 엽서, 카드, 편지를 써 두었다가 서류 봉투에 넣어 일주일에 한 번씩 포항으로 붙였다. 명절에 만난 부모님과 형제들에게도 응원의 메시지를 적어달라고 부탁하여 같이 보냈다.      


돌돌이는 토요일에 전화를 걸 때마다 편지 잘 받았다는 고마움을 표하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했다. 내가 열심히 편지를 쓰긴 했지만, 이런 소소한 내용이 아들의 관심사일까 반신반의하며 보냈기에 살짝 물어보았다.

「엄마 편지에 특별한 내용은 없잖아. 그래도 도움이 되는지 궁금하네. 편지를 받으면 어떤 점이 좋아?」

「여기선 바깥세상이 돌아가는 소식을 알기가 어려운데 편지로 그런 걸 접하게 되니까요. 훈련 교본 이외의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문화생활이 돼요. 그리고 글 속에 내가 아는 사람들, 가족 이야기가 있으니까 힘이 나요」


아들 말로는 자신이 받은 편지를 생활반 사람들과 편지를 같이 읽는다고 했다. 다 읽은 편지를 내려놓고 다음 걸 읽고 있으면 동기들이 “읽어봐도 돼?” 하고 물어본다고. 편지를 한 장도 받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는 걸 알게 된 후로는 돌려봐도 좋다고 했단다. 챙겨주는 사람 없어도 씩씩하게 생활하는 장병들과 자신이 받은 글을 타인과 공유하는 돌돌이. 20대 초반에 고된 훈련을 받으며 국방의 의무를 하는 이들이 모두 아들 같이 여겨졌다. 


나는 병사에게 훈련소 금지 품목을 보냈다가 생활 반 전체가 기합을 받는 일은 없어야지!라는 생각으로 편지를 주로 보냈는데, 그 와중에 젤리를 받은 사람도 있었다. 군인에게 꼭 맞는 간식(?)을 준비한 한 병사의 센스 있는 여자 친구 덕분이었다.

「동기가 박카스 젤리를 많이 받아서 같이 먹었어요. 그게 비타민 계열로 분류되어 괜찮은 거래요. 저는 편지가 많으니 돌려보고, 다른 사람은 젤리를 나눠주고 그런 거지요」 


실무지로 가기 전 돌돌이는 입도 위로 휴가를 받아 집에 왔다가 그간 받은 편지를 두고 갔다. 이 글을 쓰면서 편지 뭉텅이를 살펴보다가, 호링이가 형에게 보낸 카드를 발견했다. 쓸 말이 없다던 청소년의 옆구리를 찔러서 받아낸 거였는데, 꽤 근사한 응원 메시지가 있었다. 

「형, 몸 다치지 말고 열심히 훈련받아서 또 성장하길 바라! 형은 정말 멋진 사람이고 꼭 성공할 거야. 언제나 고마워!」  


돌돌이는 실무지로 간 지 2주가 지나고 처음으로 소포를 보내달라고 했다. 필요한 것은 텀블러, 세안용품, 건조기용 섬유 유연 시트 등 생활용품이 대부분이었다. 전화를 끊기 직전 아들은 한 가지를 추가했다.  

「아 맞다, 혹시 집에 남는 탁상 달력 있으면 하나만 보내주세요. 생활 반에 두고 같이 쓰면 좋을 것 같아요」 

개인 소지품이 아니라 공용 공간에 필요한 물품을 챙기는 걸 보니 어느 정도 군 생활에 익숙해졌구나 싶었다. 돌돌이가 적응하는 동안 나도 아들을 군대에 보내면 엄마가 어떤 심리 변화를 경험하는지 알게되었다. 돌돌이가 제대하고 호링이가 입대할 때는 지금보다 더 단단한 엄마가 되어있을 것이다.    

  

Photo Credit: https://www.pexels.com/ko-kr/photo/7319305/

작가의 이전글 엄마 사용법을 아는 아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