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인드해커 Jan 07. 2023

모임에서 사람들이 나를 무시하는 이유

질문만 하지 마세요. 평서문으로 이야기하세요.

"새로운 모임에 참석했어요. 모임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이 저를 투명인간 취급하는 것 같아요."


김 대리는 대화 실력도 쌓고 새로운 인맥도 만들 겸 인터넷을 통해 맛집 모임에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김 대리는 지인들 모임보다 오히려 새로운 모임에 가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집니다. 왜냐하면 김 대리를 오래 알던 지인들은 김 대리가 말수가 적고 사교적이지 못한 걸 알고 있지만 새로운 사람들은 김 대리에 대한 편견이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드디어 모임날.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모임에 참석한 김대리.

모임장: 김 대리님 안녕하세요. 모임에 참석해 주셔서 감사해요. 간단한 소개 부탁드려도 될까요?
김 대리: 안녕하세요. 저는 K전자에 다니고 있는 김 대리라고 합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모임장: 반가워요. 모임에 참석한 느낌이 어떤가요?
김 대리: 다들 친절하시고 맛집을 잘 아시는 거 같아요. (...) 모임은 언제부터 시작된 건가요?
모임장: 모임은 시작한 지 1년 정도 됐어요. 처음에는 제 지인들끼리 맛집공유하는 모임에서 시작해서 이렇게 규모가 커지게 되었네요. 
김 대리: 아 그렇구나.. (침묵) 지인들끼리 시작하셨군요?
모임장: 네. (...) 맛집 찾아다니는 걸 좋아하는데 아무래도 혼자서 맛집 찾아다니기는 좀 그렇고 다양한 분들을 모임에 초대하다 보니 색다른 맛집들도 많이 알게 되었어요. 이런 정보를 또 인터넷에서 나누다 보니 금세 모임에 참석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났고요.
김 대리: 아 네.. 
A양: 우와. 모임장님 대단하시네요. 인터넷으로 모임을 키우실 생각도 하시고. 저는 맛집도 좋지만 특이한 음식을 좋아하는데 특히 우즈베키스탄 음식을 좋아해요. 옛날에 우즈베키스탄에 장기간 출장을 갔었던 경험이 있거든요. 
모임장: 우와. 우즈베키스탄 음식은 뭐가 있나요? 딱 떠오르는 건 양고기 정도만 떠오르는데. A양님 앞으로 잘 부탁드려요.
김 대리: (침묵)
A양: 김 대리님은 평소에 말수가 적은 편이신가요?


김 대리는 모임에 참석하기 전 다짐과는 다르게 대화에서 점점 소외되어 갑니다. 그리고 '나는 새로운 모임을 가도 주목받기 어렵구나'라는 생각을 또다시 하게 되고요. 왜 이런 악순환이 계속 반복되는 걸까요?

근본적으로 김 대리가 '다른 사람의 눈을 너무 의식한다'라는 심리적인 원인이 가장 크지만 심리적인 내용은 뒤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고 대화 내용에서 김 대리가 소외가 될 수밖에 없는 가장은 이유 2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김 대리는 무의식적으로 모임에서 주목받는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상대방에 대한 질문으로만 말을 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질문하는 건 대화를 위해 필수적이지만, '네'나 '아니오'로 답할 수밖에 없는 단답형 질문만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가 왜 김 대리가 소외되는 원인인지 듣는 사람입장에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모임장은 사교적인 사람입니다. 하지만 사교적인 사람이라도 처음 본 사람과 대화하는 것은 어느 정도 긴장되는 일일 것입니다. 모임장은 처음 본 김 대리에게 친절하게 대하며 김 대리에게 많은 스레드를 주고 있습니다. (스레드란?: https://brunch.co.kr/@kjh31102/3)

하지만 김 대리는 질문에 대한 대답에 새로운 스레드를 담지 않았습니다. 단순히 상대방의 말만 반복하며 단답형 질문만 하고 있을 뿐이죠. 물론 김 대리는 부끄러움이 많아 주목받기 싫은 마음에 상대방에게 연달아 질문만 함으로써 주목받는 상황을 피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행동은 아마 김 대리의 무의식 차원에서 이루어졌을 것입니다. 

한편 사교적인 A양은 모임장의 말에 호응을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스레드 (우즈베키스탄, 출장)을 자발적으로 던짐으로써 상대방이 말을 받아치기 쉽게 해주고 있습니다. A양 같은 사람이 모임에 있다면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은 침묵이라는 불편한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됩니다. 그 결과 A양에게 호감을 느낄 수밖에 없게 되죠. 하지만 김 대리와 대화를 할 때면 항상 내가 침묵이 생길 때 그 침묵을 메꿔야 된다는 부담감을 떠안게 됩니다.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김 대리와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이 힘들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김 대리 입장에서는 나를 무시하는 것 같은 사람들의 태도가 스스로를 힘들게 합니다. 결국 김 대리 스스로가 불러온 상황이지만요.


자, 그러면 대화를 잘하기 위한 해결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평서문으로 이야기하세요. 

사교적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잘 관찰해보면 거의 질문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지루한 질문한 하는 대신 본인이 경험한 것, 새로운 이슈에 대한 본인의 생각 등 평서문으로 가득 채울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사교적인 사람들의 대화습관을 따라 하면 사람들이 더 호감을 보이는 것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두 번째, 닫힌 질문을 하지 말고 열린 질문을 하세요.

닫힌 질문을 받는 당사자는 '예'나 '아니요'밖에 대답할 수 없습니다. 대화를 이어나가기도 힘들어지고요. 평서문을 쓰지 않을 거면 차라리 열린 질문을 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대화를 잘하기 위한 기술적인 부분 2가지에 대해서 다뤄봤습니다. 하지만 김 대리가 모임에서 조용한 근본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앞으로 그런 근본적인 이유를 어떻게 바꿔야 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대화소재를 찾으려면 XXX를 사용하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