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벼룩 Aug 24. 2023

여름 밤을 걷는 당신에게

두 번째 작업일지

블로그도 그랬던 것 같은데... 한 편 보내고 작업일지를 쓰기로 스스로 약속해놓고 결국 다음 편을 보내고 쓰게 되었다. 사실 미리 써둔 것이 있는데 그 글은 너무 부끄러워서 올리지 못할 것 같아 다시 썼다.


이 프로젝트는 사실 <Homage to Jonas>에 참여해준 친구들에게 작게나마 보답하기 위해 4주간 글을 보내기로 한 것이었다. 물론... 원하지 않는 친구도 있을 것이지만 그래도 나의 글을 조금은 좋아해주지 않을까 하는 사심이 섞여있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언젠가 세상에 공개될 글을 미리 몰래 맛본다는 즐거움(물론 자신의 메일함에 편지가 오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는 친구들이 꽤 되지만)을 선사하고 싶은 마음(그것이 가능 또는 기능한다면), 그리고 무자비한 세상에 공개하기 전에 미리 부딪혀보는 안전한 냉혹함에 대한 실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실험은 절반 정도 왔지만 개인적인 의미에서라면 아주 성공적인 것 같다. 그것은 수신거부의 아픔을 겪은 것과 더불어(나는 낯두껍게도 일일이 찾아가서 이유를 묻고 다시 구독해달라 부탁하고 많관부를 외쳤다) 한 명의 소중한 독자를 발견한 데 있다.



앞서 말했다시피 사실 이 글의 독자 모두가 내 친구다. 그 중 단 한 명만이 내가 몰랐던(지금은 조금 아는) 사람이다. 4주가 끝나기 전까지는 일종의 프라이빗한 프로젝트로 기획된 것이기 때문에 나는 아무데도 홍보를 하지 않아서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 전혀 알 수가 없었다. 신벼룩을 찾아온 사람이 고른 경로도 '검색'이라 의아할 따름이었다.


그 사람의 후기.

첫 질문에 대한 대답은 간결했지만,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아주 길었다.


'처음 읽을 땐 당신의 일상을 상상하며 읽어내었다면 두번째, 세번째 읽을 때는 마치 잊고 있었던 소중한 것을 찾은 듯한 마음으로 한 문장 한 문장 담아내듯이 읽기 시작'했다는 그는 내가 여름밤을 걸은 글을 보고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시선들이 주는 압박감 때문에 무언가를 얻는데에 급급하여 그 단순하지만 확실한 진리를 잊고 있었나'보다고 했고, '처음엔 단순한 흥미 때문에 참여해보게 된 이 프로젝트가 큰 영향을 줄거라곤 생각도 못하고 있었는데 신기하'다며 이 경험이 '찬란한 여름의 기억 중 하나로 강렬히 남'을 것 같다고 마무리했다. '몇번의 클릭을 통해 마주할 수 있는 세상에 태어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한다는 말도 잊지 않고 남겨 주었다.


종이도 무엇도 아닌 전자메일이라는 형태로 전송된 소설도 시도 에세이도 아닌 듯한 이상한 글을 읽고 누군가 어떤 생각을 하고 무엇인가 느끼고 있었다.


내 글을

읽고

있었다. 누군가 내 글을 읽는다는 감각. (잠시 감격)


친구들은 내가 썼기 때문에 읽어주었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구독해주고 그래서 후기를 쓰는 정성까지 다해준다는 것도. 그것이 아주 애를 많이 써야 한다는 것도 모를 수 없다. 읽고 싶지 않은 글을 읽는 것만큼 고역인 일도 없으니까. 두 가지 감사와 두 가지 사랑이 가득해서 더 좋은 글로 보답하고 싶었지만 바로 다음 편부터 그렇게 하지 못했다. (반응은 아주 냉혹했다)


최근 이 프로젝트를 친구들에게 좋은 피드백을 듣고 싶어 하는 것 같기도 하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적어도 대놓고 욕하지는 않을 것 같아서, 그럼 내게 솔직하게 말해 줄 친구가 없는 것인가 갑자기 걱정되기 시작하지만) 그래도 아무튼 이 낯설고 처음인 기쁨을 남기고 전하고 싶어 늦게나마 작업일지를 쓴다. 고맙습니다.



신벼룩의 둠둠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68405


신벼룩의 둠둠다 독자 후기 보러가기 : https://www.instagram.com/p/CvvqCk0P3CQ/?igshid=MzRlODBiNWFlZA==


매거진의 이전글 광화문 광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