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류희 Dec 08. 2022

대학교 신입생들을 위한 5가지 조언

너무 아무것도 몰랐던 신입생 시절의 나에게 주는 조언

1.과외 source

옥스퍼드 대학교 방문 시 옥스퍼드 대학생들은 (원칙적으로는) 학기 중에 돈을 버는 일을 하면 안 된다는 학칙이 있다는 것을 들었다. 당시 1학년 끝자락에 있던 나는 이건 학교가 학생의 자유를 침범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4학년 끝자락에 와서는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학생은 돈을 안 버는 것이라는 것에 동의하게 되었다. 학생 때 버는 돈은 내 시간을 팔아서 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돈을 벌기 시작하면 공부하는 게 재미 없어질 수 있다. 공부는 수익이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학생 때는 내 몸값을 높이는 것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 도움이 된다는 걸 대학교 2학년 때쯤 깨달았다.(아무것도 안 하고 쉬더라도 그것도 몸테크다)


그래서 과외 추천을 하자면, 줌+영어+뇌운동 최소화+가까운 곳+영유아,초등학생의 조합, 또한 단순노동보다는 길게 봤을 때 몸값을 올릴 수 있는 일들을 추천한다.


한국에 지인이 많이 없던 나는 초반에는 국대모, 강남, 목동 맘 카페 등에서 과외를 찾았다. 과외를 하면서 느낀 점은 부모님들이 단순히 과외 선생님들의 실력을 보는 것보다도 내 자녀들과 어느 정도의 친밀도를 가지고 있는지, 좋은 언니, 롤 모델이 되어서 장기적으로 좋은 영향력을 주는지를 더 신경 쓰시는 것 같았다. 첫 과외를 찾는 게 어렵지 한번 시작하면 이후에 보통 소개, 소개해서 과외가 계속 들어온다.


공부할 의지가 없는 학생, 수업 시간에 땡깡 부리는 학생들에게는 지금 당장 네가 하고 싶은 게 없는 건 당연한 거지만 미래에 네가 하고 싶은 일들이 분명히 생길 건데 그럼 그때 성적이 네 앞길을 막게 내버려 둘 거냐, 이제 120 세대인데 지금 조금 힘들다고 쉬면 나머지 인생도 계속 편할 것 같냐, 지금 쉬는 게 정말 쉬는 거라고 할 수 있냐, 너의 마음은 지금 편하냐 식으로 타일렀던 게 기억난다. 주변에서도 보면 위기의식을 느낀 순간부터 다들 알아서 잘 하는 것 같다.


2.다양한 경험을 해보라는 말의 뜻.


40살까지 군인을 하다가 영화감독이 된 중국인 감독이 있는데(이름을 까먹었다, what a reliable source I am) 인터뷰이가 결국 돌고 돌아 영화감독이 되었는데 조금 더 일찍 이 길로 들어설걸, 그동안 군인으로서 보낸 세월이 아깝지 않냐라는 질문에 아니다, 군인을 해봤으니 이 길이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되었으니 아깝지 않다는 대답을 했다고 한다.



나랑 찰떡궁합인 passion 하나를 찾는 게 아니라 나랑 안 맞는 것들을 리스트에서 제외해 나간다고 생각하면서 경험을 쌓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 Ex. K-Pop 교차편집 영상 보기를 좋아해서 내가 춤에 관심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춤 레슨을 몇 번 받은 후 나는 사실 디테일이 많은 옷을 감상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3.심리 상담 받기


심리 상담이 사회에 나오면 가격이 너무 뛰기 때문에 대학교에서 무료로 해줄 때 한 번은 꼭 받아보라는 말을 고등학교 선배로부터 들었다. 또 이대를 포함한 서울 대부분의 대학교에서는 심리 상담 신청 경쟁률이 치열해서 성공하더라도 몇 개월은 대기해야 하는데 이대 기숙사생 심리 상담 슬롯은 오히려 너무 남아서 문제라는 말을 듣고 신청해 보았다.


심리 상담에 대한 나의 첫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징징이가 되어서 한 사람에게 내 마음의 짐을 다 던지는, 정작 문제 해결에는 진전이 없는 시간 낭비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받아본 결과, 단순히 친한 친구한테 속 터놓고 말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정교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인생에서 굉장히 큰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모든 사람은 한 번쯤 심리 상담을 받아봐야 한다’라는 sentiment 또한 이전에는 동의하지 않았지만 한번 나랑 잘 맞는 상담사와의 대화 이후에는 크게 동의를 하게 되었다. 문제 해결은 절대로 해주지 않는다. 그건 각자의 짐이다. 하지만 복잡한 실마리를 어떻게 푸는지를 가르쳐 준다.


또 나는 지인들의 심리상담사 역할을 해줄 수 없다는 것도 배웠다. 흔히 이도 저도 할 수 없는, 해결하기 쉽지 않은 문제를 Knife in the throat라고 한다. 일반인에게 심리상담사 역할을 위임하는 것은 이 칼을 지나가는 행인1한테 뽑아주라고 부탁하는 것과도 같은 일이다.


4.사진 한곳에 모아두기


나는 고등학교 때 페북-스냅챗-인스타 3개가 다 애매하게 걸쳐진 세대여서 고등학교 때 사진들이 어디 하나에 딱 정리되어 있지 않은 게 많이 아쉬웠다. 대학에서는 사진들을 잘 정리해놔야지 싶었는데 구글 포토도 뒤엎어졌다. 사진들을 어디 한 곳에 시간대별로 정리해두면 나중에 추억 간직용으로도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사진들을 신뢰 할 수 있는(강조) 클라우드나 USB 한 곳에 시간대별로 정리해두면 나중에 추억 간직용으로 좋을 것 같다.


5.두번째 탯줄 자르기. 가장 좋은 관계는 거리가 있는 관계.


한 면접에 들어간 적이 있는데 지원 동기를 묻자 “제 엄마가 여기 나오셨는데 여기에 꼭 들어가라고 하셨어요.”라고 밝힌 지원자가 있었다. 다른 주제로 질문을 돌려도 그 지원자의 이야기에는 계속 그의 엄마가 나왔다.


이 문제는 특히 엄마와 유대감을 더 많이 쌓는 딸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것 같다. 부모는 살면서 두 번 탯줄을 자른다고 한다. 처음에는 아이가 태어났을 때, 그리고 자녀가 정서적 독립을 할 때이다. 이전에 인터뷰한 정신의과 교수님께서 가족과는 조금 친한 남이라고 생각하며 사는 것이 베스트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다. 이 말을 듣고 갑자기 go rogue하라는 말이 아니다. “난 이제부터 정서적 독립을 시작할 거야!” 하고 대뜸 선고식을 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만약 부모님이 먼저 이 탯줄을 자르려고 하고 있지 않다면, 내가 우선 자르는 시늉이라도 해보는건 어떨까.

작가의 이전글 나의 교생 일지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