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설 Sep 25. 2023

지역축제의 활성화 방안은?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축제'라고 한다면 대부분 대학 축제나 '흠뻑쇼', '워터밤', '랩비트' 등의 페스티벌이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이것들보다 가장 먼저 실행했던 축제는 바로 '지역축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지역축제란 지역 내에서 지역민들이 공유하고 있는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프로그램화하여 표현하는 지역 중심의 행사를 말한다. 보령 머드축제와 같은 것이 바로 지역축제 중 하나이다.


한국관광공사에서 공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2년 21개 축제 분석 결과 충제기간 총 방문객 수는 19년에 비해 19.7%, 일평균 방문객 수는 31%, 일평균 소비액은 2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에는 총 1,129개의 지역축제가 개최 및 개최 예정이며, 이는 작년 944개보다 약 19% 증가한 수치이다.


지역축제의 개최 의의는 단순히 '지역의 문화 공유'에 그치지 않고 지역 내 상권 활성화 등, 지역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2023년 1,129개의 축제 개최에 사용 및 사용 예정인 예산은 총 9,045억 8,800만 원(국비 지원 131억 7,000만 원)으로, 국비 지원금 제외 평균 7억 8,950만 원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예산을 각 지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감당을 해야하고, 대부분의 축제는 적자를 피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축제를 통한 브랜드 가치 향상, 경제 유발 효과 등을 고려했을 때 단순히 '적자'를 축제 성공과 실패의 척도로 나눌 수는 없으나 일부 축제는 그저 '홍보성 축제'로 전락, 결과적으로 약 8억의 예산이 사용되었지만 이에 맞는 차별점이 없다는 점이 지역축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만들고 있고, '지속 가능 경쟁력' 있는 축제라고 판단할 수 있는 축제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약 2년 동안 정상적으로 개최되지 못했던 축제가 정상적으로 개최된 첫 번째 해였다는 점을 2019년 대비 2022년 축제 방문객 수의 급진적 증가 원인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과, 2023년 경제 위기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심리 위축을 고려했을 때 2023년 지역축제 방문객 유치에는 큰 리스크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지역축제를 활성화할 방안은 없는가? 우리는 현재 지역축제가 가진 가장 큰 문제를 '차별성의 부재'와 '축제 노출 부족으로 인한 참여자의 관련 정보 부족'으로 판단하였고,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획안을 작성하고 있다.


가장 첫 번째로 해야할 일은 '지역축제의 참여 여부' 조사라고 판단하였고, 이를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분이 채 걸리지 않는 짧은 설문 조사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자만과 오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