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문득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den Aug 15. 2020

게임하는 남자

  안방에서 남편과 아이들이 컴퓨터 게임을 하고 있다.


  예전 같으면 아마 왜인지 모르게 속이 답답했을 거다. 애들이랑 밖에서 공을 차고 놀아주거나 집에서 영어책을 못 읽어줄 망정 왜 저러고 있나 한심하게 느껴졌을 수도 있다. 지금은 그저 아이들과 남편의 웃음과 편안한 대화가 새들의 노랫소리처럼 들린다. “올~아빠 왜 이렇게 잘해?” 큰 아이의 놀라워하는 소리가 들린다.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지만 내적 환호를 참는 남편의 미소가 눈에 선하다. 저 모습은 부녀지간이 아니라 마치 남매들 같다. 남편 생일에 큰 맘먹고 게임용 책상과 의자를 사 준 게 참 잘한 일 듯하다.


  우리는 장거리 연애를 했고 그래서일까 그때는 남편의 게임사랑이 얼만큼인지 잘 몰랐다. 대학 때 기숙사에서 친구들과 교대근무(?)로 24시간 게임을 돌렸다는 이 남자. 신혼 때에는 이 사람이 굉장히 많은 시간을 게임에 쓰고 있구나 알고 나서 실망감과 속상함이 있었다. 나는 게임이 재미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참 시간 낭비라고 생각한다. 도대체 눈도 아프고 앉아만 있으니 허리도 아프고 뭣에 좋은지 모르겠는 게임. 모니터 안에 있는 캐릭터들을 아무리 키워 놓아 봤자 실생활에 눈곱만큼도 보탬이 없는데 참 부질없고 의미 없다고 생각한 나는 신혼 시절 남편과 부딪히기 시작했다. 매사에 이성적이고 효율을 강조하는 이 공대 남자는 왜 게임이 전혀 그렇기 못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걸까. 사실 남편은 자기 할 일을 다 하고 집안 일도 반 이상 하는 모범 남편이었기 때문에 나는 뭐라고 할 수도 없었다. 답답했지만 쿨한 척 넘어가고 싶은 쿨병과 더 이상 간섭하기 싫다는 방관으로 그 시절을 지났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 보면 나는 남편의 그 여가시간도 내 맘대로 하고 싶었나 보다. 꼭 나와 함께 보내야 한다기보다는 내가 이해할 수 있는 것들로 그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잠이라던가 운동이라던가 하는 것처럼 말이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남편은 내가 무엇을 하던 간섭하지 않고 오히려 응원해 주었다. 죽 끓듯 변덕이 심한 내 취미의 역사들을 두 눈으로 다 보아오고도 지금 내가 또 새로운 무언가에 열중한다면 그것 또한 응원해 줄 남편이다. 그런 천사 같은 남편의 유일한 취미를 내 기준에 안 맞다는 이유로 못마땅하게 생각했다니.


  문득 남편이 부러워졌다. 저렇게 행복할 수 있는 취미가 있다는 것이 부럽다. 나는 그런 취미가 있는지 돌아보게 되었다. 정말 슬프게도 인생의 매 순간마다 나름대로 최선을 다 해 왔다고 생각했던 나에겐 그것이 없다. 부지런하게 이것저것 취미라고 건드려 본 분야가 많은데도 말이다. 그림, 수영, 코 바느질, 사진 찍는다고 샀던 dslr 카메라, 심지어 재미있겠다고 대학 때 플래시를 독학해서 홈페이지도 만들어 봤다. 순간순간의 호기심과 바로 해 보는 행동력을 가진 나는 참 많은 취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 어떤 것도 남편의 게임처럼 나를 오랜 기간 질림 당하지 않고(?) 지켜준 취미는 없었다. 자기 꿈이 무엇인지를 아는 사람이 부러운 것처럼, 자기의 ‘인생 취미’가 무엇인지 아는 남편이 너무 부러웠다. 게임을 할 때마다 천사처럼 밝고 맑게 웃음 짓는 그의 미소가 정말로 아름답게 보이기 시작한 건 이런 부러움을 느끼기 시작했을 때부터였던 것 같다. 


  내가 아는 남자 중에 또 한 명의 게임과 관련된 이가 있는데, 그건 바로 우리 아버지였다. 평소에는 바둑을 좋아하시지만 바둑 둘 상대가 항상 있을 수는 없는 법. 아버지는 남편처럼 컴퓨터로 총 게임이나 스토리가 있는 게임을 하시지는 않았다. 컴퓨터에 기본으로 깔려있는 지뢰 찾기나 카드게임이 아버지의 주 종목이었다. 아버지가 게임을 하실 때에는 남편이 게임을 할 때 보이는 그런 소년 같은 미소는 없었다. 마치 캠프 가서 불을 피워 놓고 멍 때리는 것 같은, 그런 멍한 표정이셨다. 머릿속으로 지뢰의 추정 위치를 계산하고, 펼쳐져 있는 카드판을 주도 면밀하게 계획해 내는 아버지의 게임을 대하는 태도는 비장함과 나른함 그 사이 어딘가에 있었다. 엄마와 말다툼을 하시고 난 후나, 직장에서 안 좋은 일이 있었을 때, 혹은 좋은 일이 있었을 때에도 지뢰 찾기와 프리셸은 아버지가 머릿속을 정리할 시간을 함께 해 주는 친구였던 것 같다. 어렸던 나는 아버지의 그 모습이 그리 좋지만은 않았다. 게임하는 동안만큼은 대화를 단절하고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있는 아빠를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어린 나로서는 당연했다. 그러고 보면 게임은 세상 쓸모없고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는 나의 생각은, 이런 내 성장과정의 한 페이지와도 관련 있을 수도 있겠다.


  어른이 되고 나니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아버지의 게임. 거기에 환호는커녕 미소조차 없었어도 그것은 아마도 아버지의 성취감의 목마름을 해갈해 줬으리라. 상하 복종관계가 뚜렷한 직장(아버지는 직업군인이셨다)에서 가족을 위해서 열심히 버티고 난 후, 누구에게 하소연조차 하기 귀찮고 싫은 힘든 날 그것은 아버지의 고단한 마음을 어루만져 줬으리라.  


  문득 궁금하다. 게임 말고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고작 40년 정도밖에 안 되는 내 인생의 경험들로 인해 나로부터 과소평가받고 오해받고 있는 것들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