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시로 Oct 26. 2023

우리의 연결 고리

<밝은 밤>을 읽고 

엄마에게 딸인 나는 일명 ‘대나무숲’ 같은 존재다. 누군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속상한 일이 있거나, 자랑하고 싶은 이야기 등 많은 이야기를 나한테만 전한다. 크고 작은 일로 소녀 같은 엄마가 아프지 않도록 잘 들어주곤 하는데, 엄마의 가장 아픈 손가락은 바로 외할머니였다. 할머니가 병원에 입원하셨어, 코로나에 걸리셨어, 우울증에 걸리셨나봐 등 할머니의 건강함을 바라지만, 나이듦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쇠약해져가는 모습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엄마는 너무나 힘들어 했다.


지난 추석, 오랜만에 할머니 댁에 다녀왔다. 10년 전 증조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5년 전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뒤로 할머니는 줄 곧 혼자 살고 계셨다. 오랜만에 우리 가족과 할머니랑 둘러 앉아 점심 식사를 하는데 할머니는 식사도 안하시고 내 얼굴을 한참 보셨다. 전화도 자주 안하고, 명절에 잠깐 찾아 뵙는 못난 손녀가 뭐가 그리 예쁜지.. 예쁘다 하시면서, 살이 많이 빠졌으니 더 먹으라는 이야기도 함께 했다. 그러다 툭 할머니의 진심을 꺼내셨다. 


“나는 네가 항상 생각나고 보고 싶었는데. 너는 나 안 보고 싶었지?”


책 <밝은 밤>에는 ‘증조모-할머니-엄마-나’로 이어지는 4대의 삶을 그리고 있다. 증조모의 외모와 ‘나(지연)’이 닮았다는 이야기, 관계가 소원해져 왕래가 없음에도 게임을 좋아하는 취향이 같은 할머니와 엄마까지. 그들은 한 공간에서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없지만, 그들의 유전자가, 이야기가 그들의 삶을 관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할머니가 떠올랐다. 엄마는 늘 할머니가 종갓집 맏며느리로 평생 고생만 하셨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런 이야기 때문인지 쇠약해진 할머니가 더욱 마음이 쓰였다.


요즘 엄마를 보고 있으면 젊었을 적 할머니의 모습이 보인다. 그럴 때면 엄마한테 “엄마, 할머니랑 엄청 닮았다..”라고 할 때마다 엄마는 “할머니 딸이라서 그렇지”라고 답한다. 가끔 가족 모임에 나가면 친척 어르신들이 나에게 엄마 젊을 때랑 똑같다는 이야기를 하신다. 우리 3대 모녀도 우리의 유전자가, 이야기가 우리를 관통하고 있음이 느껴진다. 

작가의 이전글 실행과 기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