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행국 Dec 19. 2023

사람과 사물을 보는 방법

사람을 혐오하고, 사람을 그리워하는 우리를 성찰하다.

우리가 사람과 사물을 보는 방법에는 4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째는 관찰이다. 그야말로 사람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 주의하여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다. 초등학교 때 학교에서 내주는 완두콩 관찰일기를 쓰라는 숙제를 하면서 완두콩이 어떻게 자라는지 하루하루 들여다보고, 그 관찰한 내용을 공책에 적는 것이다. 들여다보는 것에 그치고, 그 이상의 생각을 더하거나 자신의 시각을 갖는 것은 하지 못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고찰이다. 생각하여 살피는 것이다. 고찰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자세히 보는 것에서 좀 더 나아가 자신의 생각이나 철학을 덧붙이는 것이다. 대학에서 내주는 과제는 단순한 관찰로는 부족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철학을 더하여 사람 혹은 사물에 대해 들여다보는 고찰의 과제이다. 이러한 고찰의 시간을 통해 한 인간의 가치관이 형성된다.


셋째는 통찰의 단계이다.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보는 것이다. 한 분야를 10년 이상 파게 되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자신만의 보는 눈이 생긴다. 그러면 하나의 사물을 통해, 한 명의 사람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기도, 인생의 큰 지혜를 깨닫기도 한다. 


넷째로 성찰의 단계이다. 성찰은 현재뿐 아니라 과거까지 돌이켜보고 깊이 살피는 것이다.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살피며, 미래를 예비하는 것이 성찰이다. 이러한 성찰을 통해 만물과 인간을 이해하고 교감할 수 있다. 성찰의 단계에 이르러야 시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성찰은 자기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민, 공감이 있어야 가능한 단계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사람들은 저마다 아픔을 안고 살아간다. 나의 아픔이 가장 아프기에 타인의 아픔을 돌아볼 겨를이 없다. 그래서 더 외로워진다. 타인의 감정에 신경 쓰고 싶지 않고, 사람이란 존재에 대해 혐오하지만, 결국 그 사람이 내 곁에 없어서 외로워하고, 힘들어하고, 슬퍼한다. 이런 아이러니란!


내가 원할 때만, 내가 원하는 사람만 만나 지지 않는다. 내가 원하지 않는 때라도, 원하지 않는 사람도 최소한의 인간에 대한 예의를 갖추어 대하여야 한다. 인간에 대한 혐오를 하기 시작하면 그 혐오는 한없이 커진다.

아무리 혐오스러운 사람이라도 너무 혐오하진 말기를. 그 혐오가 결국 나에게도 미칠 테니...


작가의 이전글 운칠기삼(運七技三)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