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oon Jul 18. 2024

살림의 적, '습도'에 관하여

장마철을 맞아 적는 단상

이 말에 동의하는 주부들, 계실까요? 


살림의 적은 다름 아닌 '습도'다 


이건 저의 뇌피셜이긴 합니다만, 실제로 평균 습도가 매우 다른 나라들에서 살림을 해 본 결과 몸으로 느껴본 교훈이기도 합니다. 쨍하고 건조한 미국 서부에서 5년, 고온다습한 홍콩에서 4년을 살았거든요. 달라도 이렇게 다를 수가 없습니다. 


극과 극인 곳들.. (이미지: Unsplash.com)

미국 캘리포니아에 살 때 - 평균 습도 60% 수준, 오후 습도 40%대 

- 화장실 청소: 세면대나 욕조에 물 뿌려서 청소한 뒤 환풍기 돌리지 않아도 몇 시간 지나면 바짝 말라 있음

- 깜박 잊고 먹다 만 김을 식탁 위에 올려둬도 며칠 지나도 바삭함 

- 이불 빨래하고 몇 시간만 널어놔도 뽀송함 

- 모기 없음, 곰팡이 없음 


홍콩에 살 때 - 름철 습도 에브리데이 90% 이상, 100%도 찍음   

- 더위 때문이 아니라 습기 때문에 1년 300일은 에어컨 가동해야 함 

- 화장실 팬 365일 24시간 가동해도 꿉꿉함 

- 옷장마다 습기제거제 꽉꽉 채워놔도 가죽 가방, 의류에 곰팡이 파티 

- 제습기는 방마다 필수, 여름철엔 매일 두세 번씩 물통 가득 참 

- 빨래 안마름. 말랐다가 다시 습기 머금어서 젖는다는 게 학계의 정설.. 

- 김은 뜯는 순간부터 축 처지기 시작함. 건조식품 보관 매우 주의해야 함 

- 여행 갈 때 일주일을 집을 비우더라도 에어컨 약하게 틀어놔야 함(그럼에도 불구하고 변기물에 곰팡이 핌) 

- 외출 시 내 몸에서 모기와 샌드플라이가 잔치 벌임


(이렇게 적어놓고 보니 홍콩 디스 하는 것 같지만, 홍콩 역시 매우 사랑하는 1인입니다. 순수히 '살림'의 차원에서 본 것임)


습기제거제를 자주 바꿔주는 것도, 제습기 물통 비우는 것도, 곰팡이 청소하는 것도 살림 부담이 늘어나는 것이니 살림의 적은 습도 아닐까요? 



더 더워지면 더 습해진다 

그런데 주부들에게 슬픈 소식. 기후변화가 진행되며 대기가 머금은 습기의 양이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어쩌고 저쩌고 방정식(정확히는 Clausius-Clapeyron 방정식)에 따르면 대기의 온도가 1도 올라갈 때마다 7% 더 많은 습기를 머금을 수 있다고 하거든요. 이미 지구 표면의 평균 기온은 1도 이상 올랐으니, 절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증기가 대기 중 머무른단 소리죠. 


그 말인즉슨, 지구의 물 순환이 더 강해진단 소립니다. 한 번 비가 올 때 왕창 와서 물난리가 나고, 건조한 지역은 바싹바싹 더 많이 증발하여 가뭄이 심해지죠. 그렇다고 물난리와 가뭄이 똔똔(?)이냐 하면, 그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는 총강수량이 더 많아지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거든요. 특히 문제는 호우가 잦아진다는 겁니다. 한 번에 하늘에 구멍 뚫린 듯 왕창 쏟아지면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인프라로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새로운 치수 정책이 절실해지지요. 


물론 이게 우리가 느끼는 '꿉꿉함'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건 아닙니다. 습도는 절대습도와 상대습도가 있는데, 우리가 보통 얼마나 쾌적한지 느끼는 정도는 상대습도와 관련이 있거든요. 대기에 수증기가 더 많아진다 함은 절대습도를 말하는 건데, 땅과 바다가 수분을 증발시키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상대습도는 오히려 살짝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는 지역도 있다고 합니다. (근데 왜 이리 꿉꿉하죠)


하지만 살림과 관계없이, 지구에게는 분명 큰일입니다. 아니, 지구에게 큰일이 아니고 인간에게 큰일이에요. 최근 중국 남부에 70년 만의 가장 큰 홍수가 나서 '전시상황'이라고 칭할 정도로 비상입니다. 지난달에는 방글라데시와 아프리카의 코트디부아르에서 발생한 대규모 홍수도 연이어 보도되었었고요. 점점 익스트림해져 가는 날씨 뒤에는 이렇게 온도와 습도 상승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말 나온 김에, 홍콩 침수 (이미지: Unsplash.com)

게다가 폭염이 찾아올 때, 같은 온도라도 습도가 높으면 건강에 더 치명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폭염이 찾아온 날 온습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건데요, 빨간 그래프는 폭염으로 인한 사망이 보고된 경우입니다. 습도가 올라가면 더 낮은 온도에서 같은 위험에 직면함을 알 수 있지요. 

이미지: Mora et al. (2017)



아무튼 그래서.. 온도도 문제지만 습도도 문제입니다. 살림을 넘어서 건강에도 치명적이니까요. 습하고 꿉꿉한 장마철, 기후 위기와 우리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가 진짜 1도 모르는 것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