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온혜윰 Oct 19. 2023

대화시간을 확보하자!

대화 속에 저절로 쌓여가는 문해력


일을 하며 아이를 돌보기란 쉽지 않아요. 그래서 친정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죠. 두 아이는 집보다 친정 근처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고, 일을 계속했기 때문에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모두 친정 근처로 보내게 되었어요. 그랬기 때문에 방학에도, 휴직기간에도 직장은 아니더라도 매일 친정으로 출퇴근은 해야 했죠.


어떻게 매일 그렇게 라이딩할 수 있냐며 주위에서 많이 물어요. 너무 먼 거리도 아니지만, 가까운 거리도 아니거든요. 밀리지 않으면 20-30분, 밀리면 1시간도 걸리는 거리예요. 그래서 아이들은 매일 1-2시간은 차를 타야만 하죠. 눈 뜨면 대충 아침을 먹고 차를 타고, 큰 아이는 학교로 작은 아이는 유치원으로 이동을 해요. 차 안에서 음악도 듣고 이야기도 나누지만 아침부터 꾸중 듣고 혼날 때도 많았어요.


그러다가 아이 친구 엄마들과의 대화 중에 큰 아이, 작은 아이 모두 또래보다 ‘말’을 잘한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말’을 잘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서 물으니,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다고 하더라고요. 특히, 작은 아이는 적재적소에 알맞은 말을 사용하며 어른과도 이야기가 된다고 했어요. 또, 큰 아이 학교에서 벌어지는 사소한 일들을 알고 있으니 집에 와서 학교이야기를 스스로 하냐며 말을 안 해준다고 궁금해하는 엄마들도 많았어요. 그런 이야기를 들으니 다른 아이들과 어떤 다른 점이 있을까 궁금하더라고요. 그 차이점은 차를 타며 보내는 시간에 있었어요.


많은 육아서에 아이와의 대화가 중요하다고 언급되어 있어요. 그래서 대화를 시작해보려 하는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감이 안 와요. 그런데 대화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우선 절대적으로 대화의 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브루타 교육에서도 식사시간의 대화가 중요하다고 말하는데, 밥 먹을 때는 가족이 함께 모이고 그 시간만큼은 다른 미디어를 시청하지 않는 한 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에요. 우리나라에서도 밥상머리 교육이라고 하죠. 저와 아이들에게는 라이딩 시간이 그런 시간이었어요.


하루에 1-2시간, 한 공간 안에서 억지로라도 함께 있는 그 시간은 아이들과 저에게 주어진 대화의 시간이 되었어요. 매번 대화를 하진 않았어요. 음악만 듣기도 했고, 아이들의 행동에 화가 나 침묵의 시간이 되기도 했어요. 그렇지만 화가 난다고 멀어질 수도 없고, 지루하다고 다른 행동을 할 수도 없는 시간이니 서로 적응해 나간 거 같아요. 화가 나도 진정되면 화난 이유와 감정을 말로 표현하며 이해하게 되었고, 지루하면 일상의 일들을 이야기하며 하소연도 했어요. 또, 음악을 들으며 가사에 대해 표현에 대해 질문도 하면서 그 시간들을 보냈어요. 물어보지 않아도 먼저 말해주고, 궁금한 걸 질문하면 바로바로 해결되는 그런 시간이 된 거예요.


처음부터 라이드 시간에 ‘대화의 시간’을 만들어야지 했다면 지금과 같이 자연스러운 대화가 이뤄지지 않았을 거예요. 아이의 마음을 알아야지, 궁금한 거 물어봐야지, 훈육해야지 했으면 아마 반발심에 매번 침묵의 시간이 되고 멀어졌을지도 몰라요. 하지만, 이제는 서로 적응되고 당연히 함께하는 시간이라는 생각 해서  제가 약간의 의도를 갖고 질문을 던져도 괜찮아요.  아이도 아는 거죠. 이 시간만큼은 엄마도 우리에게 집중한다는 것을요.


보통 집에서는 각자 해야 할 일이 많아 대화를 나누기 힘들어요. 어쩌다 쉬는 시간이 생겨도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쉬고 싶어 하죠. 무언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말을 꺼내도 짧게 끝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서로 피할 수 없는, 말을 할 수밖에 없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요.


어떻게 그런 시간을 만들 수 있을까요? 마주 앉아 진지한 대화를 나눈다면 가장 좋겠지만 쉽지 않다는 걸 다들 알잖아요. 라이드 시간에 전 운전을 하느라 다른 행동은 할 수 없지만 대화는 나눌 수 있었고, 아이들은 창 밖만 쳐다보다가 심심하니 말을 꺼낼 수밖에 없었어요.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게 되는 경우를 생각해 보니 ‘산책하기’가 있었어요. 산책을 하다 보면 앞을 보며 걷지만 옆 사람과 두런두런 얘기를 하게 되잖아요.


 아이와 산책의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운동 삼아 동네 한 바퀴 걸으며 우선 눈에 보이는 것들로 시작해서 대화를 하다 보면 여러 이야기들이 나올 거예요. 한 번으로 끝나지 말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면 아이들도 대화를 이어나가기 위해서 이런저런 말을 하게 되거든요. 중요한 건 엄마가 궁금한 걸 묻기보다 아이가 궁금한 걸 답해주는 시간이 많아야 해요. 이 시간은 엄마의 질문시간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시간이기 때문이에요.

매거진의 이전글 글과 삶을 읽고 해석하는 문해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