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늘의 간호사 Oct 05. 2022

사직도 책임감 있게 하려던 것뿐이었는데,

그저 호구 소리만 들었습니다..






"책임감 없다고 너희 부모님은 자기 딸이 사직하려고 하시는 거 알기는 하시냐고 불효녀 소리만 계속하시더라.

 그런 불효녀 대신해 줄 인력 없다고-."



"...... 부, 불효자요?"

반응하기 어려웠다. 무슨 마음으로 이 말을 내게 전달해주신 건지 몰라서, 어떤 반응을 해야 하는 걸까.


"어-." 네가 듣는 그 내용이 사실이라는 반응. 부서장님의 단호하고도 짧은 그 대답에 잠시 내 미간이 찌푸려졌지만 정신을 놓지 않았다. 그냥 '허허-.' 웃고 작게 조린다.




"부모님은 관두라고 하시는 걸요-." 하고 뒤를 돈다. 이미 엄청난 스크래치를 내게 주었지만, 정신 차려. 이성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나는 지금 상처받을 시간이 없다.





.

.

.




몇 명의 선생님들은 내게 사직이 부럽다고 말하셨다. '이유 있는 사직'을 한 살이라도 어릴 때 하겠다고 하는 나보고 부럽다고 말하셨다.



"근데, 너 호구냐. 너 관두고 다른 사람 독립하는 거 보고 나가겠다는 건 또 뭐래."

"그, 그런 거예요..? 3개월보다 빠르지 않을까요..? 저희 사번도 한 달만에 독립했는데.."






"에휴, 바보야. 애초에 널 대신해줄 인력을 넣어 줄 리가 없잖아."



아, 아차···. 생각 못했다.

난 책임감이 넘쳐흘렀다고 생각했는데-.




또 다른 선생님은 내게,

"선생님, 그냥 관두기 싫었던 거죠?" 하며 '푸훕-'하며 웃었다.


나는 억울함에 동공이 지진했다.




 





이후로 몇 달간은 부서장님께 사직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명확한 답변은 받지 못했다. 그리고 사직 면담 이후 오히려 마음이 홀가분해져 업무 능력이 향상했던 나는 어쩌다 보니- 일에 적응해버렸다.



어떤 선생님은, 특히나 유독 나를 별로 안 좋아하시던 선생님은 내 작은 실수에도

"야. 네가 마음이 뜬 건 알겠는데, 일은 똑바로 하고 떠나야 될 거 아냐."라고 했다.

사실 사직 면담을 하기 전엔 더한 실수도 잦았고 그 실수에 따르는 혼남은 버겁기도 했지만, 지금은 사실 너무나도 작은 실수라고 느껴졌다.



한 마디로 낮아진 역치. 내가 마음에 안 드는 정도의 역치가 낮아져서, 사소한 것들도 너무 거슬리게 되는.



뭔가 그랬다.

선생님 입장에선 그렇게 느껴지겠지. 라며, 내 마음을 단단히 다져보려 했다.


쟤가 관두는 마당에 크게 뭐라고 하기도 에너지 낭비인데- 아는데, 그렇다고 하나 안되어 있는 게 괜히 관두려 한다고 일을 막하는 것 같아서 괘씸하게 느껴져서 한 마디 정돈해야겠는.




'그런 게 아닌데···. 나는 오히려 더 좋은 모습으로 떠날 수 있겠단 자신감이 들 정도인데···.'

나는 선생님의 이해가 되다가도 괜스레 억울하기도 해서 고개를 푹 숙여 남몰래 가슴 한편을 토닥인다.



어찌 되었든 간에, 시간이 지날수록 부서장님은

나라는 사람의 사직에 대한 기다림,  마음을 외면하시고 피하려 하시는 게 느껴진다.


그리고 '마음이 떴다.'는 이야기 역시 점점 사그라드는 것을 느낀다.



결국 난,

마음에 사직서를 품고 있는 상태로 마음 졸여가면서도 오히려 일에 적응해버린 호구.




.

.

.



입사 전엔 '일단, 일단은 6개월은 무조건 버티자.'였다.

그리고 3개월까지는 '어-? 생각보다 괜찮아서 어쩌면 오래 다닐지도 모르겠다'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3개월에서 6개월 사이, 이곳에서의 미래가 보이지 않던 나는 결국 나를 위한 길을 걷기로 결심했지만

결국, 묵살당했다.


6개월에서 사직전까지 나의 첫 직장은 

'여차하면 관둘 곳', 하루하루가 시한부 같았다.

때로는 조금은 긍정적으로 생각해보자며 쥐어짠 것은   '내가 커가기 위해 거쳐가는 첫 시발점'. 딱 그 정도.



그렇게 나는 호구 짓을 한 대가로,

안정적인 직장을 '나를 가장 불안하게 만드는 곳', 하지만 나는 그곳에서 책임감을 다해 일하며 마음 다지기를 하고 간호사로서는 커가고 있다고.

우울함과 단단해짐을 키워나가야 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