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온초 Jun 23. 2023

피해자지만, 극복 못했습니다.

극복 못했습니다. 그런데 "극복하지 않았다"라고 말하고 싶어요. 

 미디어에 나오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자신의 역경을 극복했다. 그들은 매일같이 내게 속삭였다.


 "힘든 상황에서도 노력하면 이겨낼 수 있어요."


 그 말은 이기지 못한 나를 항상 멍들게 했다. 왜 나는 극복하지 못했을까? 왜 나는 비교적 괜찮은 조건을 갖고 있지만 여전히 아파하고, 여전히 무기력하고 여전히 나에게 확신이 없을까. 내 존재의 가치는 뭘까.

회의감이 밀려올 때마다 이렇게 글을 쓰는 가치가 없다는 생각조차 들었다. 내가 뭐라고 내 이야기를 하는 걸까. 


사람들은 하나같이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기 원한다고 생각했다. 나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나 같은 사람이 하는 말보다는 비즈니스적으로, 정서적으로, 감정적으로 우월한 위치에서 어떻게 하면 괜찮아질 수 있을지 말하는 사람의 말을 믿을 것 같았다. 


그리고 그들이 말하는 불행한 과거들은 그들의 노력과 성공을 돋보이게 하는 잠시의 시련이기 때문에 말하는 게 약점이 되지도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지금의 내가 하는 내 감정과 폭력적인 아버지 이야기는 내 약점으로 보일 게 뻔해서, 그래서 나도 성공한 다음에야 내 이야기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었다.


그렇지만 견디지 못했다. 

그렇지만 참을 수 없었다.

내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내 삶이 정말로 무의미해질 것 같아서,

잠시동안이라도 살아있으려면 글을 써야 했다.


그러다가 내게 고맙다고 하는 사람의 댓글을 읽었다. 그 댓글을 잊을 수가 없어서 오래 보았다. 

그리고 생각했다.


어쩌면 다른 사람들도 극복하지 못했으면서 넘어갈 수밖에 없었던 건 아닐까.


예전에 나는 "나만 그렇다"라고 생각했고 나아가 "나같이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겠지"까지 생각하게 되었지만, 이렇게 대부분이 그럴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건 정말로 처음이었다. 

어쩌면 미디어에서 자신감 있게 말하는 그 사람들도 나와 같을 수도 있지 않을까.



친구에게 내 이야기를 털어놓을지 말지 오랫동안 고민하면서, "피해자성"에 대해서 생각했었다.

감정적으로 표현하면 동정받을 게 뻔하고, 덤덤하게 이야기하니 별 거 아니라고 제멋대로 해석하기도 해서 어떻게 전달할지 정말 난감했다. 실제로 "별 거 아닌 것" 취급을 받으니 고통스러운 나 자신이 바보 같았고, "동정"받으니 자존심 상했고, 나아가 "약점"이라도 잡은 것처럼 희롱거리로 삼으니 지쳐버렸다.


어쩌면 TV에 나오는 소위 "극복한 사람"들은 그래서 일부러 태연한 척했을지도 모른다. 별 거 아닌 건 아니지만, 현재의 내 약점이 아니라 "극복했다"라고 지난 것처럼 말할 수밖에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들도 나와 같다면, 최대한 덤덤한 척을 할 뿐이라면 우리는 우리에게 너무 못할 짓을 하고 있는 것 아닐까.


TV에서 비슷한 역경을 딛고 오히려 성장했다고 나는 더 이상 가해자가 무섭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이 사실은 괜찮지 않은 거라면, 혹은 그 사람도 이제 벗어나야만 한다는 사회적 압박을 받고 있었다면, 그리고 그게 다시 다른 사람에게 저 사람은 괜찮아졌다는데 너도 이겨내야 한다는 짐이 되고 있다면... 

같은 일을 겪은 사람끼리 서로에게 상처만 주고 있는 것 아닐까.


어쩌면 최대한 덤덤한 말을 고르고 골라 쓴 이 글도 누군가에게는 압력처럼 작용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 자리에서 바로 말하고 싶다.


알고 있겠지만, 나는 아직도 힘들어요.

나는 아직도 아버지 생각을 해요.

아직도 무서워요.


나는 아버지를 피해서 집을 나온 지 꽤 됐는데도 아직도 괜찮지 않아요.

그리고 아마도 집을 나왔다고, 경제적으로 성공하게 된다 해도, 아버지가 돌아가신다고 해도

완전히 괜찮아지진 않을 것 같아요.


회복은 시간 따라 되는 게 아니라 제가 노력해야 겨우 될 것 같고, 그래도 흉터는 남을 것 같아요. 







작가의 이전글 의외로 정신과 의사가 말해주지 않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