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은하 Jan 05. 2024

멘탈헬스코리아, 청와대에서 대통령을 만나다!

정신건강 비전 선포식 | 피어스페셜리스트 발표


대한민국 정신건강 혁신을 위한 우리의 도전!


멘탈헬스코리아의 김도원 위원장(대한민국 청소년 정신건강 위원회)이 12월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멘탈헬스코리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발표를 하다!



우리는 지난해 #대한민국청소년정신건강위원회 조직을 신설해 정신건강 선진국으로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 교육, 서비스에 대해 말하며 다양한 도전을 해왔습니다.



리의 첫 혁신보고서는 2022년 10월, 보건복지부 마음투자정책포럼에서 20분 간 발표되었고,


*우리가 바라는 4가지 혁신


: 교육혁신, 문화혁신, 병원 밖 커뮤니티 혁신,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





멘탈헬스코리아의 <대한민국 청소년 정신건강 위원회>는 보건복지부 정책 포럼에서 혁신 보고서를 20분 간 발표했다.



올해 9월에는 피어스페셜리스트 4명이 김건희 여사와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나 자신의 경험을 나누며, 리더십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을 촉구하였습니다.



김건희 여사, 보건복지부 장관과 피어스페셜리스트들



그리고 오늘, 우리는 대통령을 만나 정신건강을 국가 최우선순위 비전으로 선포해주기를 강력하게 요구했습니다. 멘탈헬스코리아에서 2019년도부터 활동한 김도원 피어스페셜리스트는 윤석열 대통령, 한동훈 법무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한 이 자리에 온 사람들에게 청년을 대표에 국가 리더십의 선언과 결단이 정신건강 혁신에 얼마나 중요한 지 강조하는 메세지를 발표하였는데요,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에게 메세지를 직접 전달하였습니다. <멘탈헬스코리아 김도원 리더>



조직행동학자들은 한 국가, 조직의 오랜 culture는 쉽게 바꿀 수 없지만, 대신 climate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즉, 몇 백년 동안 깊게 내린 뿌리(컬쳐)는 쉽게 바꿀 수가 없지만, 이 나무가 사람이라고 하면 climate을 바꿔줘서 이 사람이 느끼는 감정이나 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멘탈헬스 climate을 한국말로 하면 정신건강 감수성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우리나라의 정신건강 climate을 변화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는 5가지입니다. 


바로 그 첫번째가 각 조직의 리더들이 조성하는 분위기입니다.  이 말은 각 조직장들이 정신건강의 중요성에 관해 변화의지를 선포하고 실제 액션을 통해서 climate을 아주 빠르게 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통령의 선포, 기업 CEO들의 선포, 대학의 경우는 학과장이나 교수님들이 되겠죠, 학생이라면 학생회나 각 학급의 학급회장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며 이들의 결단이 매우 핵심적입니다. 


정신건강 혁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으로 아주 많이 논의가 되고 갖춰져 나가야 하겠지만,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대통령이 정신건강을 국가 어젠다로 삼겠다고 선언하고, 직속 혁신 위원회를 운영하며 적극 해결하겠다고 선포한 것은 분명 의미있고 강력한 발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 대통령들이 해온 것처럼 말이죠!)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선포식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더이상 개인의 문제로 두지 않고 주요 국정 어젠다로 삼아 적극 해결하겠다”면서 “임기 내 정신건강 정책의 틀을 완성하고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설치해 새로운 정책을 발굴·기획하며 인프라와 재정 투자를 총괄하는 거버넌스를 확립하겠다”고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김도원 피어스페셜리스트 발언 내용 중


“대한민국의 정신건강 문제는 특정 중증 정신질환에 해당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저, 대통령님, 그리고 우리 모두의 문제입니다.



이를 위해선 정신건강에 대한 편견과 낙인을 줄여야 하며, 오픈하고 도움을 구하는 것이 더 건강한 사회 문화로 형성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국가 리더십의 역할과 선포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통령님,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공식적으로 선포해주시고, 정신건강에 대한 국가적 문화변화가 우리가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강력한 메세지로 말씀해주십시요.



그렇게 함께 노력하면 분명히 더 나은 세상에서 젊은 세대들이 삶의 가치를 찾아내고, 용기를 내서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모두 함께 정신건강에 대한 문화를 변화시킵시다.”



멘탈헬스코리아 최연우 대표와 한동훈 장관



정신건강 정책 대전환,


오늘의 행사 제목처럼 2024년에는 진정한 변화가 시작되길 바라며, 멘탈헬스코리아도 함께 열심히 뛰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멘탈헬스코리아, 응급실 의료진 대상 강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