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구 Jul 09. 2017

파주의 7월, 들꽃 부케

동네 공터에 원추리가 피기 시작했다. 개망초도 한창이다. 장마가 지나고 나면 수크령과 부처꽃이 피어날 것이다. 같은 시기에 핀 들꽃들은 어떻게 잡아도 서로 잘 어울린다. 잠깐 비가 그친 사이, 동네를 한바퀴 돌며 원추리와 개망초, 강아지풀을 잘라 왔다. 이름을 찾지 못한 덩굴 종류도 조금 잘랐다. 여기에 집에 남아 있던 클레마티스와 시계초를 더해서 부케를 만들었다.




밑둥이 뚱뚱한 이 부케는 프랑스 플로리스트 까뜨린 뮐러의 디자인이다. 통짜로 떨어지는 장화(botte)의 목 부분을 닮았다고 보뜨부케라고 한다. 까뜨린 뮐러의 수업을 들은 적이 없으므로, 사진만 보고 아마도 이런 느낌이지 않을까 생각하며 만들었다. 어쩌면 구조는 틀렸을지도 모른다. 부케를 잡을 때 내가 알지 못하는 어떤 특별한 기술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화려해 보이지만 뜯어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 들꽃이 가지고 있는 조촐함이랄까, 수수함이 어떤 식으로든 드러난다. 리넨으로 만든 꾸뛰르 드레스를 입은 여자 같은 느낌이다. 강아지풀은 그동안 별로 매력을 못 느꼈는데, 보송보송한 이삭과 뾰죽한 잎사귀의 대비가 재미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따로 끈을 써서 묶지 않았다. 잘라 온 덩굴로 둘둘 감고 시계초를 한 번 더 둘러 주었다. 꽃가위만 있다면, 들꽃이 가득 피어 있는 풀밭만 있다면 언제든지 만들 수 있다. 만들어서 들고, 보고, 놀다가 풀밭에 두고 떠나면, 또 그대로 자연스럽게 흙으로 돌아갈 여름의 들꽃다발.




작가의 이전글 파주의 6월, 채집 바구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