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기 우편을 받았다. 입영 통지서 한 장이 뜬금없이 튀어나왔다. 아들이 제대한 지 벌써 10년이 넘어가는데 마른하늘에 날벼락을 쳐도 유분수지.
‘군대를 다시 오라고?’
자세히 들여다보니 아들이 아닌 남편 이름이 떡하니 적혀 있는 게 아닌가. ROTC를 마치고 최전방 양구 백두산 부대에서 헌병 장교로 복무했던 사람을 다시 호출하다니. 인생은 60부터라고 말들 하지만 노인한테 나라를 지키라는 게 도대체 될 말인가. 병무청 직원의 실수려니 했으나 기분이 썩 좋지는 않았다.
가만히 남편의 기분을 살폈다. ‘입영’이라는 말에 화들짝 놀라고 팔짝 뛰어야 정상인데 아무 동요가 없는 게 이상하다. 소리를 지르거나 머리를 쥐어뜯어도 모자랄 판에 명상이라도 하듯 고요한 표정이라니. 그런 법이 어디 있냐고 국방부에 따지러 가자는 내 입도 틀어막는다. 우리같이 힘없는 소시민은 나라에서 시키는 대로 따르는 게 도리라나 뭐라나.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을 듯 호들갑을 떨어야 하는 건 언제나 내 몫이다.
더 이해할 수 없는 건 툴툴거리던 내가 부대로 가기 위해 시외버스를 함께 탔다는 사실이다. 수십 명의 노인과 가족들은 하나같이 입을 꾹 다문 채 차창만 뚫어지라 바라봤다. 휙휙 지나가는 산천초목의 덧없음을 삼키고 있는 건지, 앞날에 대한 두려움을 삭이고 있는 건지 알 수는 없었다.
어젯밤 서둘러서 짧게 자른 남편의 머리가 더없이 초라했다. 장교 복장을 한 사진 속 그는 머리숱 많은 멋진 군인이었다. 울창한 산림으로 빽빽하던 시절은 어디 가고 희끗희끗 민둥산이 되어버린 걸까. 그 대답은 바람만이 알고 있을 듯하다. 옆을 봐도 뒤를 봐도 입대하는 노인들의 외모는 얼추 비슷하여 자연스레 측은지심이 생겨나게 했다. 누가 잘났는지 못났는지 알 수도 없고, 알 필요조차 없었다.
부대 코앞으로 승객들을 풀어놓은 버스는 초원 너머로 쏜살같이 사라져 버렸다. ‘노인 입대 환영’이라 쓰인 플래카드가 열렬하게 펄럭이며 사람들의 시선을 낚아챘다. 가족들과 일일이 포옹을 마친 늙은 입영자들이 한 명 두 명 연병장 안으로 들어서기 시작했다. 연단에 선 대장이 인사말을 할 때도 내 신경은 온통 구부정하게 서 있는 남편한테 가서 꽂혔다.
"우리 부대에 잘 오셨습니다. 여러분의 패기와 애국심에 존경을 표합니다. 부디 내 집처럼 편안하게 잘 지내시기 바랍니다."
군가 소리 하나 들리지 않고 환영사조차 군기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분위기에 집처럼 편안히 지내라니 묘한 기분이 들었다. 엄격한 규율과 고된 훈련 대신 개인의 인격과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겠다니 다행스러웠다. 이어서 빨간 모자를 쓴 구릿빛 얼굴의 교관 셋이 올라와 경례를 했다.
"복창하십니다! 한번 군인은 영원한 군인이다."
"한번 군인은 영원한 군인이다."
복창이 끝나자마자 뒤로 돌앗, 하는 구령이 떨어지면서 조용하던 연병장이 술렁거리기 시작했다. 뒤통수를 보이며 이동 행군의 첫발을 뗀 남편이 나의 시야 밖으로 튕겨 나가려 했다. 나는 연병장을 향해 냅다 뛰어내리며 소리를 질렀다.
“미안해. 가지 마!"
외마디소리에 놀라 눈을 번쩍 떴다. 이마에서는 식은땀이 흘러내렸고, 나의 두 팔은 허공에서 훠이훠이 새를 쫓고 있었다.
‘어쩜이리도 생생할 수가.’
도대체 왜 이런 꿈을 꾸게 되었을까. 곰곰이 짚어보니 얼마 전에 있었던 문학 토론이 원인이었던 것 같다. 작가의 필요조건인 상상력을 높이기 위해 상식적인 것도 한번 비틀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노인이 군대 가야 하는 이유’가 그날의 토론 주제였다. ‘군대는 젊은이가 가는 곳’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뜨릴 만한 타당성 있는 의견들이 쏟아졌다. 노인의 특성과 세태를 반영한 재치 있는 발상에는 모두가 혀를 내두르기도 했다.
‘노인은 할 일이 적어서’라는 것을 필두로 ‘입맛이 없어 군량미가 적게 드니까’라는 말도 얼핏 맞는 말 같았다. ‘잠은 없고 시간은 많아 보초 서기에 안성맞춤’이라고 할 때는 한 목소리로 웃었다. 요즘 군인월급도 많이 올랐으니 노후 걱정을 안 해도 된단다. 나는 다른 어떤 의견보다 ‘애국심이 많아서’라는 이유가 마음에 와닿았다.
우리나라 노인의 범주는 65세부터 시작이다. 정신으로 보나 육체로 보나 내가 무슨 노인이냐며 억지를 부려봐도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은 어쩔 수 없다. 저출산으로 인해 국가 존망의 위기에 처한 이 시대에 혈기왕성한 젊은이들을 군대에 보내느니 노인에게 기회를 주는 게 상생할 수 있는 길일 수도 있다. 세태를 대변하는 여러 의견에 지혜라는 훈장을 받아 놓은 분들의 자존감에 자칫 흠집이라도 낼까 염려스럽기도 했다.
토론이 끝나갈 즈음해서 나는 모깃소리만 하게 중얼거렸다. 하루 세끼를 꼬박 안 챙겨 먹으면 천지가 뒤집히는 줄 아는 우리 집에 딱 어울릴 만한 이유가 번쩍 스쳤기 때문이다.
"삼시 세끼 밥 안 해서 좋아요."
꿈이란 자고로 현실을 반영한 잠재적 의식의 발로가 아니던가. 삼시 세끼에서 벗어나려고 남편을 진짜로 군대 보내고 싶었나? 웃자고 한 얘기를 혼자 심각히 받아들여 꿈에까지 나타나게 했으니 미안한 일이다. 그러잖아도 요즘 기력이 없어 보인다며 보약 좀 지어 먹이라는 엄마의 성화가 있었는데. 약은 고사하고 군인 할아버지를 만들 뻔했으니 내 죄가 크다.
머리로 냉장고 안을재빨리 스캔하면서 침대를 박차고 일어났다. 비록 꿈이지만 사과하는 뜻에서특별히 성찬을 차리기 위해 앞치마를 둘렀다. 생선을 꺼내 비늘을 긁다가 군대 짬밥 먹는 남편 얼굴이 떠올라 쿡, 하고 웃음이 터졌다. 꿈속에서 성급히 헤엄쳐 나온 게 조금은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