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논문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변재현 Jul 30. 2024

논문 리뷰 : 다양한 반응의 다양한 이유

탄소 집약적 산업에서 기존 기업들의 적응에 대한 검토

Different Reasons for Different Responses: A Review of Incumbents’ Adaptation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https://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1086026619893990


• 연구 목적 조직의 다양한 반응과 그 이유를 이해하여 조직 적응 및 성과 이질성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함.

 

• 조사 대상 탄소 집약적 산업의 기존 기업들이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환경 압력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 방법론

    - 문헌 검토를 통해 목표, 타이밍, 범위의 세 가지 차원을 제안.

    - 다섯 가지 조직 반응 유형의 전형화.

 

• 결론

   - 제한된 이질성의 이유를 식별.

   - 연구 결과가 조직 적응 및 지속 가능성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



초록(Abstract)

조직들은 공통된 외부 충격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Organizations often respond in different ways to common external shocks. 


조직 적응 및 성과 이질성에 관한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조직 반응의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To advance theorie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performance heterogeneit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different reasons for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우리는 탄소 집약적 산업에서 기존 기업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환경 압력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검토합니다.

We examine how incumbents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adapt to heightened environmental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는 조직 반응을 효율적으로 매핑할 수 있는 세 가지 차원을 제안합니다: 목표, 타이밍, 범위.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we propose three dimensions along which diverse organizational responses can be efficiently mapped out: goal, timing, and scope. 


제안된 차원을 바탕으로, 우리는 다섯 가지 다른 조직 반응의 유형을 개발합니다.

Building on our proposed dimensions, we develop a typology of five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Keywords: 조직 적응, 조직 이질성, 기후 변화, 탄소 집약적 산업, 지속 가능성 

Keywords: Organizational Adaptation, Organizational Heterogeneity, Climate Change, Carbon-intensive Industry, Sustainability 



서론(INTRODUCTION)

환경 변화에 대한 조직 적응은 생존과 번영에 중요합니다.

Organizational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 is critical for survival and prosperity. 


따라서 서로 다른 조직 반응과 이러한 차이의 이유를 이해하는 것은 조직 및 전략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였습니다 (Durand, Hawn, & Ioannou, 2019; Oliver, 1991; Raaijmakers, Vermeulen, Meeus, & Zietsma, 2015).

Therefore, it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organization and strategy research to understand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and the reasons behind these differences (Durand, Hawn, & Ioannou, 2019; Oliver, 1991; Raaijmakers, Vermeulen, Meeus, & Zietsma, 2015). 


이전 연구의 주요 초점은 정책 변화와 제도적 조치(예: 탄소 배출 거래)가 관련 산업의 기존 기업들에게 미치는 성과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습니다 (Cadez & Czerny, 2016; Gasbarro, Rizzi, & Frey, 2013; Okereke & Russel, 2010). 

One primary focus of prior research has been on the firm-level performance implications of policy changes and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carbon emissions trading, for the incumbents in the related industries (Cadez & Czerny, 2016; Gasbarro, Rizzi, & Frey, 2013; Okereke & Russel, 2010). 


그러나 실증 연구는 결과가 종종 혼재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Orlitzky, Schmidt, & Rynes, 2003).

However, empirical studies have found that the results are often mixed (Orlitzky, Schmidt, & Rynes, 2003). 


성과 영향 및 기업 간 이질성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환경 변화에 대한 기존 기업의 적응 차이와 그 이유를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To better explain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and inter-firm heterogeneity therein, we ne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in the incumbents’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the reasons behind it. 


최근 조직 적응에 관한 연구는 서로 다른 조직 반응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지만 (Battard, Donnelly, & Mangematin, 2017; Eggers & Park, 2018; Vergne & Depeyre, 2016), 조직이 어떻게 반응하고 왜 다르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제한적이고 분절되어 있습니다.

While recent studie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Battard, Donnelly, & Mangematin, 2017; Eggers & Park, 2018; Vergne & Depeyre, 2016), our understanding of how organizations respond and why they respond differently is still limited and fragmented.


이 논문에서는 이 격차를 메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In this paper, we attempt to fill this gap. 


우리는 (1) 기존 연구에서 탄소 집약적 산업의 기존 기업들이 적응한 사례를 검토하고 서로 다른 조직 반응을 매핑하고 비교하기 위한 세 가지 차원을 식별하며, (2) 이 세 가지 차원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 조직 반응 유형을 개발하고, (3) 서로 다른 반응 뒤에 있는 이유를 제도적, 조직적, 개인적 수준에서 식별하고 클러스터링합니다.

We (1) review the related cases from prior studies of the incumbents’ adaptation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and identify three dimensions to map and compare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2) based on these three dimensions, we develop a typology of five organizational responses, and (3) identify and cluster the reasons behind different responses at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 


우리의 검토는 심지어 단일 산업 내에서도 조직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압력 증가에 매우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Our review clearly shows that there are substantially different ways that organizations, even in a single industry, respond to the increased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문헌에서 흩어진 관찰을 통합하고, 미래 연구를 위한 더 나은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조직 반응을 효율적으로 매핑할 수 있는 세 가지 차원을 식별합니다: 목표(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키거나 비지속 가능성을 줄이는 것), 타이밍(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또는 늦게), 그리고 범위(집중된 활동 또는 광범위한 활동을 가지는 것).

To integrate the scattered observations from the literature, and to provide a better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we identify three dimensions along which diverse organizational responses can be efficiently mapped out: goal (to enhance sustainability or to reduce unsustainability), timing (earlier or later than others), and scope (having focused or extensive activities). 



탄소 배출 감소에 대한 환경 압력 

기후 변화로 인해 조직이 직면할 수 있는 결과는 다양합니다: 평판 및 규제 위험 외에도, 특히 탄소 집약적 산업의 기존 기업들은 상당한 비즈니스 위험에 직면합니다 (Backman et al., 2017; Lenox and Eesley, 2009; Slawinski et al., 2017).

The consequences organizations may face from climate change are diverse: Besides reputational and regulatory risks, organizations, especially incumbents from carbon-intensive industries, face significant business risks (Backman et al., 2017; Lenox and Eesley, 2009; Slawinski et al., 2017).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이러한 환경 압력 증가는 다양한 부문에서 경쟁 기업들에게 공통된 외부 충격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Such elevated environmental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could be perceived as a common external shock to competing firms in various sectors. 


기업의 환경 전략, 특히 탄소 전략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는 조직 반응을 반응적(reactionary)과 적극적(proactive)인 연속선으로 구분합니다 (Aragon-Correa & Sharma, 2003; Hart, 1995; Kolk & Pinkse, 2005; Sanjay Sharma & Vredenburg, 1998). 

Much of the research examining firms’ environmental strategies, in general, and carbon strategies, in particular, differentiate organizational responses on the continuum between being reactive and proactive (Aragon-Correa & Sharma, 2003; Hart, 1995; Kolk & Pinkse, 2005; Sanjay Sharma & Vredenburg, 1998). 


반응적 전략은 규제 및 표준 산업 관행에 대한 순응과 관련이 있으며, 적극적 전략은 환경 보호를 위한 자발적 행동으로 간주됩니다 (S. Sharma, 2000). 

While reactive strategies are associated with conformance to regulations and standard industry practices, proactive strategies are seen more like voluntary action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S. Sharma, 2000). 


우리는 조직 반응이 다양할 수 있는 차원을 제시합니다. 

We present the dimensions along which organizational responses may vary. 


기존 분류(예: Kolk & Pinkse, 2005; Weinhofer & Hoffmann, 2010), 사례 연구(예: Gulbrandsen & Stenqvist, 2013; Slawinski & Bansal, 2012; Wahyuni & Ratnatunga, 2015), 대규모 데이터 세트 연구(예: Jeswani et al., 2008; Sprengel and Busch, 2010)에서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통합합니다. 

We analyze and integrate ideas from the existing categorizations (e.g., Kolk & Pinkse, 2005; Weinhofer & Hoffmann, 2010), case studies (e.g., Gulbrandsen & Stenqvist, 2013; Slawinski & Bansal, 2012; Wahyuni & Ratnatunga, 2015), as well as studies on large data sets (e.g., Jeswani et al., 2008; Sprengel and Busch, 2010).  



조직 반응의 차원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RESPONSE)

기후 변화가 조직에 미치는 결과는 다양합니다: 평판 및 규제 위험 외에도, 특히 탄소 집약적 산업의 기존 기업들은 상당한 사업 위험에 직면합니다 (Backman et al., 2017; Lenox and Eesley, 2009; Slawinski et al., 2017).

The consequences organizations may face from climate change are diverse: Besides reputational and regulatory risks, organizations, especially incumbents from carbon-intensive industries, face significant business risks (Backman et al., 2017; Lenox and Eesley, 2009; Slawinski et al., 2017).


이들은 주로 탄소 기반 자원에 의존하며, 탄소 배출을 줄이려면 상당한 변혁적 변화가 필요합니다 (Ferraro et al., 2015).

They mostly depend on carbon-based resources, and reducing carbon emissions will require substantial transformational change (Ferraro et al., 2015).


이와 같은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환경 압력의 증가는 다양한 부문에서 경쟁 기업들에게 공통 외부 충격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Such elevated environmental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could be perceived as a common external shock to competing firms in various sectors.


우리는 다양한 조직 반응과 이러한 이질성의 여러 이유를 연구합니다.

We study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and various reasons for such heterogeneity.


많은 연구가 일반적으로 기업의 환경 전략과 특히 탄소 전략을 조사하며, 조직 반응을 반응적과 적극적의 연속선상에서 구분합니다 (Aragon-Correa & Sharma, 2003; Hart, 1995; Kolk & Pinkse, 2005; Sanjay Sharma & Vredenburg, 1998).

Much of the research examining firms’ environmental strategies, in general, and carbon strategies, in particular, differentiate organizational responses on the continuum between being reactive and proactive (Aragon-Correa & Sharma, 2003; Hart, 1995; Kolk & Pinkse, 2005; Sanjay Sharma & Vredenburg, 1998).


반응적 전략은 규제와 표준 산업 관행을 준수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반면, 적극적 전략은 환경 보전을 위한 자발적인 행동으로 간주됩니다 (S. Sharma, 2000).

While reactive strategies are associated with conformance to regulations and standard industry practices, proactive strategies are seen more like voluntary action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S. Sharma, 2000).


그러나 탄소 집약적 산업의 기존 기업들의 관련 사례에 대한 우리의 검토와 분석은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환경 변화에 대한 조직 반응이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를 맵핑하기 위해 다양한 차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Our review and analysis of the related case firms of incumbents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however, suggest that organizational responses to the environmental change to reduce carbon emissions are so diverse that we need various dimensions to map them out.


다음 섹션에서는 조직 반응이 다양할 수 있는 차원을 제시합니다. 우리는 기존 분류 (예: Kolk & Pinkse, 2005; Weinhofer & Hoffmann, 2010), 사례 연구 (예: Gulbrandsen & Stenqvist, 2013; Slawinski & Bansal, 2012; Wahyuni & Ratnatunga, 2015) 및 대규모 데이터 세트 연구 (예: Jeswani et al., 2008; Sprengel and Busch, 2010)에서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통합합니다.

In the following sections, we present the dimensions along which organizational responses may vary. We analyze and integrate ideas from the existing categorizations (e.g., Kolk & Pinkse, 2005; Weinhofer & Hoffmann, 2010), case studies (e.g., Gulbrandsen & Stenqvist, 2013; Slawinski & Bansal, 2012; Wahyuni & Ratnatunga, 2015), as well as studies on large data sets (e.g. Jeswani et al., 2008; Sprengel and Busch, 2010).



조직 반응의 차원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RESPONSE

우리는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환경 압력 증가의 결과를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문헌에서 이 증가된 압력에 대한 조직 반응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조직 반응의 이질성에 대한 분야의 이해가 아직 잘 개발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Our interest is in understanding the consequences of the increased environmental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Despite the prominence of organizational responses to this elevated pressure in the literatu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ield’s understanding of the heterogeneity of organizational responses is not yet well developed.


이 배경에서, 이 연구는 그러한 공통 환경 변화에 대한 조직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여 이 주장을 입증하고 조직의 이질성에 빛을 비추고자 합니다. 우리는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환경 압력에 대한 기존 문헌을 검토하여 이를 수행합니다.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eks to substantiate this allegation, to cast light on organizational heterogeneity by examining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responses to such a common environmental change. We do so by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responses to the environmental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우리의 검토와 분석을 위해, 우리는 관련 문헌에서 사례 기업을 검색했습니다. 우리가 사용한 데이터베이스와 검색 기준은 부록 A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기존 사례를 사용하여 다음 과정을 통해 차원을 개발했습니다.

For our review and analysis, we have searched for case firms in prior studies in the related literature. The database and the search criteria we used are outlined in Appendix A. We developed the dimensions from the existing cases using the following process:


사례 기업 간의 유사성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는 조직 반응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는 차원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차원은 경험적 사례, 개념적 기사 (예: Busch, 2011; Dahlmann & Brammer, 2011) 및 개발된 차원을 오가는 반복적 과정에서 개발되었습니다.

By examining similarities between the case firms, we developed dimensions along which organizational responses could be clustered. These dimensions were developed in an iterative


Table 1은 우리가 분석한 사례 기업과 세 가지 차원에 대한 위치를 세부 사항 없이 제시합니다. 첫 번째 열은 특정 기업 또는 기업 그룹의 이름을, 두 번째 열은 사례 기업이 언급된 기사를, 마지막 열은 세 가지 차원에 대한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을 자세히 설명하고 기후 변화의 맥락에서 다양한 조직 반응의 위치를 설명합니다.

Table 1 presents the case firms we analyzed and the positions on the three dimensions without further details: the first column presents the names of the specific firm or group of firms, the second column states the articles the case firms are taken from, and the last column presents the position on the three dimensions. In this section, we describe these three dimensions in detail and the positions of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목표지속 가능성 향상 또는 비지속 가능성 감소? 

Goal: To Become More Sustainable or To Reduce Unsustainability?

관련 문헌에서 연구된 사례 기업들을 검토한 결과, 우리는 조직 반응이 그들의 전략적 목표에 따라다양하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예: Kolk & Pinkse, 2005; Weinhofer & Hoffmann, 2010). 

Reviewing the case firms studied in the related literature, we observe that organizational responses vary by their strategic goal (e.g. Kolk & Pinkse, 2005; Weinhofer & Hoffmann, 2010). 


이러한 조직 반응의 차이를 포착하기 위해, 우리는 이 차원을 사용합니다. 조직은 더 지속 가능해짐으로써경쟁 우위를 창출하려고 할 수도 있고, 반면에 다른 조직은 단지 비지속 가능성을 줄여 경쟁 열위를덜어내려고 할 수도 있습니다. 

To capture the observed difference between organizational responses, we use this dimension. Organizations may aim to be more sustainable and thereby may generate a competitive advantage, whereas others may only aim to reduce unsustainability and have less competitive disadvantages. 


우리는 이 전략적 목표를 비지속 가능성을 줄이려는 시도로 정의합니다. 반면에, 탄소 배출을 줄이거나심지어 탄소로부터 독립하려고 하는 기업들은 더 지속 가능해지려는 전략적 목표를 따릅니다. 

We refer to this strategic goal as trying to reduce unsustaina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nies that aim to reduce carbon emissions or even try to become independent from carbon are referred to as following a strategic goal to become more sustainable. 



시기이른 반응 또는 늦은 반응? Timing: Early or Late?

조직 반응의 차이를 조사할 때, 우리는 조직 반응이 다른 선두 기업들의 반응보다 더 일찍 시작되었는지또는 더 늦게 시작되었는지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예: Jeswani et al., 2008; Lee, 2012). 

In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the organizational responses, we observe that organizational responses also vary in terms of whether the response started earlier or later than other incumbents’ responses (e.g. Jeswani et al., 2008; Lee, 2012). 


이 차원에서는 일부 조직이 이미 오래 전부터 탄소 관리 활동을 수행해왔는지, 아니면 최근에 이러한 활동을시작했는지를 포착하고자 합니다. 

On this dimension, we aim to capture that some organizations have already conducted carbon management activities for a long time, whereas others started such activities more recently. 


이 시기 차이는 ‘이른’과 ‘늦은’으로 분류됩니다. 이른 조직은 대개 해당 분야에서 선구자들입니다. 늦은조직은 초기 조직만큼 헌신적이지 않지만, 환경 선도자들을 따라가려 합니다(Jeswani et al., 2008). 이들은 특히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제 막 일부 운영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These differences in the dimension timing are classified as early and late. Often those early organizations have been among early movers in the field. Late organizations are not as committed as early ones, but try to follow those environmental leaders (Jeswani et al., 2008). They have only just started some operational activities, especially to enhance energy efficiency. 


이러한 반응은 종종 ‘기다리고 보기’ 접근법이라고 합니다(Berkhout et al., 2006; Lee, 2012). 

This kind of response is often referred to as a ‘wait and see’ approach (Berkhout et al., 2006; Lee, 2012). 


이 ‘이른’ 대 ‘늦은’ 반응의 차원은 환경 성과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며, 종종 환경 관리의 질과 관련이있습니다(Aragon-Correa & Sharma, 2003; Hart, 1995). 

This dimension of early versus late responses has often been used in the research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often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ragon-Correa & Sharma, 2003; Hart, 1995). 



범위집중적 또는 광범위? Scope: Focused or Extensive?

마지막으로, 우리의 검토 결과 조직 반응은 활동 범위에서도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예: Backman et al., 2017; Lee, 2015). 

Lastly, our review shows that organizational responses also vary in their scope of activities (e.g. Backman et al., 2017; Lee, 2015). 


이 차원에서는 다양한 활동의 통합, 다른 기업들과의 협력, 제도적 맥락에 대한 영향력 행사와 관련된다양한 범위를 포착하고자 합니다(Slawinski & Bansal, 2012; Backman et al., 2017; Berkhout et al., 2006; Lee, 2015; Dorado, 2005; Pinkse & Kolk, 2007). 

With this dimension, we aim to capture different scopes that are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diverse activities (Slawinski & Bansal, 2012), the cooperation with other firms (Backman et al., 2017; Berkhout et al., 2006; Lee, 2015), and exertion of influence on the institutional context (Dorado, 2005; Pinkse & Kolk, 2007). 


범위와 관련된 차이는 집중적 범위와 광범위한 범위로 구분됩니다.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 scope are referred to as focused or extensive scope. 


조직 활동의 범위는 관련된 활동의 수와 활동이 조직 활동 시스템의 중심에 있는지 주변에 있는지에 따라다를 수 있습니다(Backman et al., 2017). 

The scope in terms of organizational activities may vary by the number of organizational activities involved and whether the activity is at the core or periphery of the organizational activity system (Backman et al., 2017).



조직 반응의 이질성과 그 이유 

HETEROGENEITY IN ORGANIZATIONAL RESPONSE AND THE REASONS

우리의 검토는 조직들이 공통된 외부 충격에 어떻게 반응하고 왜 다르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조직 반응의 성과적 의미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 문헌에서 다룬 선행 연구 및 사례 기업들을 검토한 결과, 조직 반응이 목표, 시기, 범위의 세 가지 차원에서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Our review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how organizations respond and why they respond differently to a common external shock. This will help to better understand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Reviewing prior studies and case firms covered in the related literature (see Appendix B for a summary), we find that organizational responses vary along the three dimensions discussed above - goal, timing, and scope.


모든 조직 반응에 대해, 우리는 세 가지 차원에서의 위치를 표시했습니다: 지속 가능성을 높이거나 비지속 가능성을 줄이는 것(목표), 일찍 또는 늦게(시기), 집중적 또는 광범위한(범위). 그런 다음, 모든 유사한 패턴을 하나의 ‘반응’ 유형으로 그룹화했습니다. 총 다섯 가지 다른 반응을 관찰했으며, 그 중 일부는 더 자주 나타나고 일부는 덜 나타났습니다.

For every organizational response, we marked the positions on the three dimensions: to become more sustainable or to reduce unsustainability (goal), early or late (timing), and focused or extensive (scope). We then group all observed similar patterns into one type of ‘Response’. In total, we observe five different responses, out of which some appear more frequently and others less frequently.



논의 및 향후 연구 기회 DISCUSSIONS AND OPPORTUNITIES FOR FUTURE RESEARCH

탄소 배출의 맥락에서, 이 연구는 조직이 공통된 환경 변화(즉, 탄소 배출 감소 압력 증가)에 어떻게 반응하고 왜 다르게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는 기존 문헌에서 제한적이고 단편적으로 발견되었습니다(Vergne & Depeyre, 2016).

In the context of carbon emissions, this study aim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ow organizations respond to a common environmental change (i.e., increased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and why they respond differently, which is found to be limited and fragmented in the extant literature (Vergne & Depeyre, 2016).


관련 문헌에서의 조직 반응을 통합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더 나은 개념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조직 반응을 효율적으로 맵핑할 수 있는 세 가지 뚜렷한 차원을 개발했습니다: 목표(지속 가능성을 높이거나 비지속 가능성을 줄이는 것), 시기(다른 조직보다 일찍 또는 늦게), 범위(집중적 또는 광범위한 활동).

To integrate the scattered observations of organizational response in the related literature, and to provide a better conceptual base for future research, we developed a typology of three distinctive dimensions, along which diverse organizational responses can be efficiently mapped out: goal (to become more sustainable or to reduce unsustainability), timing (earlier or later than others), and scope (having focused or extensive activities).


이러한 더 정교한 범주는 이전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단일 차원 범주와 비교할 때, 조직 반응을 더 잘 맵핑하고 비교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반응과 그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This more fine-grained categorization, as compared to the uni-dimensional one often used in prior studies, enables us to better map and compare organizational responses, and help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different responses and the different reasons behind them.


첫째, 우리의 유형론에서 식별된 다섯 가지 뚜렷한 반응은 탄소 집약적 산업의 기존 기업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환경 압력 증가에 대해 더 다양하게 적응하려고 시도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관련 문헌에서 경험적으로 연구되고 이론적으로 가정된 것보다 더 다양합니다.

Firstly, the identified five distinctive responses of our typology suggest that the incumbents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have attempted to adapt to the heightened environmental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more diverse ways than has been empirically studied and theoretically assumed in the related literature.


또한, 우리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탄소 배출의 맥락에서 조직 반응의 성과적 의미를 연구하는 문헌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는 주로 단일 차원 연속체에서 조직 반응을 구분하는데, 종종 혼재된 결과를 보입니다(Orlitzky, Schmidt, & Rynes, 2003).

Moreover, we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studying performance implications of organizational responses in the context of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carbon emissions.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mainly differentiating organizational responses on a one-dimensional continuum, are often mixed (Orlitzky, Schmidt, & Rynes, 2003).


둘째, 사례 기업들의 검토에서, 우리는 그들의 위치가 세 가지 차원에서 상관 관계가 있어 관찰된 조직 반응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제한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특정 조직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거나 조직 반응 간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탄소 배출의 맥락에서 조직 적응 연구에 흥미로운 의미를 제공합니다(Hart, 1995; Kolk & Pinkse, 2005).

Secondly, in our review of the case firms, we found that their positions on the three dimensions tend to be correlated so that the observed diversity of organizational responses is somehow limited. This suggests that some organizational responses might be less likely to occur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between organizational responses, which reveals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arbon emissions (Hart, 1995; Kolk & Pinkse, 2005).


기존 기업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하는 이유와 성과의 이질성이 어떻게 발생하고 지속되는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조직 반응의 세 가지 차원 간의 상호 의존성(예: 상호 보완성 또는 내부 적합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Porter & Siggelkow, 2008) – 예: 다중공선성, 내생성 또는 생략 변수와 같은 문제.

To better understand why the incumbents adapt in different ways and how the performance heterogeneity emerges and persists, it is crucial to consider such interdependence (e.g., complementarity or internal fit) across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response (Porter & Siggelkow, 2008) – e.g., issues such as multicollinearity, endogeneity, or omitted variables.


셋째, 이전 섹션에서, 우리는 조직적, 제도적, 개인적 수준에서의 다양한 조직 반응의 이유를 검토하고 논의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이전 섹션에서와는 달리 개별적으로 보기보다는 다양한 반응과 이유를 비교하기 위해 더 넓은 관점을 취합니다.

Thirdly, in the previous section, we reviewed and discussed the various reasons for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responses at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We now take a broader perspective to compare the different responses and the different reasons instead of looking at them separately as done in the prior section.


검토 결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늦고 광범위한 반응이 비지속 가능성을 줄이는 늦고 집중적인 반응과 차이가 나는 중요한 이유로 강한 생존 또는 선택 압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기업 지속 가능성 문헌이 종종 재정 자원의 부족이 기업이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흥미로운 대비를 이룹니다(Jeswani et al., 2008; Lee, 2012).

From our review, we found the presence of strong survival or selection pressure as an important reason why sustainability-enhancing, late and extensive response deviates from the unsustainability-reducing, late and focused response. This is an interesting observation because the corporate sustainability literature often claims that a lack of financial resources prevents firms from pursuing sustainability (Jeswani et al., 2008; Lee, 2012).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늦고 집중적인 반응의 이유를 비지속 가능성을 줄이는 늦고 집중적인 반응의 이유와 비교하여 연구한 결과, 또 다른 흥미로운 관찰이 있었습니다. 문헌에 따르면, 조직이 탄소 감소 조치에 대한 경험이 적으면(늦게 시작한 경우) 탄소 배출 감소에 참여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Lee, 2012; Sprengel & Busch, 2010).

Another interesting observation came from studying the reasons behind the sustainability-enhancing, late and focused response as compared to that behind unsustainability-reducing, late and focused response.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if organizations have little experience with carbon reduction measures (started late), they tend not to engage in reducing carbon emissions (Lee, 2012; Sprengel & Busch, 2010).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일찍이고 집중적인 반응의 이유를 연구한 결과, 세 번째 흥미로운 관찰이 있었습니다. 검토된 맥락에서, 조직 내 개인들은 경쟁 우위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Okereke & Russel, 2010; Wahyuni & Ratnatunga,2015).

Our third interesting observation was gained from examining the reasons for sustainability-enhancing, early and focused response. In the reviewed contexts,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seem to have diverging views of what generates a competitive advantage (Okereke & Russel, 2010; Wahyuni & Ratnatunga, 2015).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세 가지 차원에 따라 조직 반응을 맵핑하고 그 이유를 세 가지 수준으로 클러스터링함으로써, 우리는 반응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 간의 상호 의존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특정 수준의 관련 문헌(예: 조직 생태학, 조직 학습 및 사회 심리학)과 관련시킴으로써, 이 연구는 공통된 환경 변화에 대한 기존 기업들의 적응에서 이질성의 원천과 지속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As discussed so far, mapping organizational responses along the three dimensions and clustering their underlying reasons at the three levels enables us not only to comp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but also to understand the interdependence of them. By relating them to the relevant literature at a specific level (e.g., organizational ecology,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ocial psychology),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ources and the persistence of heterogeneity in incumbents’ adaptation to common environmental change, especially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그림 1은 탄소 집약적 산업에서 기존 기업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왜 다르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주요 통찰을 요약합니다. 밑줄 친 부분은 위에서 논의된 향후 연구의 기회를 강조합니다.

Figure 1 summarizes the main insights from our review on how incumbents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respond and why they respond differently. The points underlined highlight the opportunities for future research that are discussed above.



결론 CONCLUSION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환경 압력 증가에 적응하는 탄소 집약적 산업의 기존 기업들이 어떻게 적응하고 왜 다르게 반응하는지를 통합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문헌에서 탐구된 관련 사례 기업들을 검토했습니다.

To integrate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how incumbents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adapt to the heightened environmental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and why they respond differently, we reviewed the related case firms explored in the literature.


우리는 탄소 배출 감소 압력 증가에 대한 기존 기업들의 반응에 관한 주제와 관련된 연구를 광범위하게 검색했습니다.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를 소홀히 다루지 않았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검토된 사례들이 집합적으로 포괄적이라고 주장하지도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다른 사례에서도 조직 반응을 맵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차원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We widely searched for studies related to the topic of the incumbent’s responses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to the heightened pressure to reduce carbon emissions. We are not aware of having neglected important studies in this field, but neither would we claim that the reviewed cases are collectively exhaustive. Nevertheless, we were to develop generally applicable dimensions that could be used to map and analyze organizational responses from other cases as well.


기후 변화는 여러 주체들의 협력적이고 집단적인 노력이 필요한 긴급한 글로벌 사회적 도전 과제입니다(Howard-Grenville et al., 2014). 기업 조직은 이러한 거대한 도전 과제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데 너무 소극적인 것으로 보입니다(Clément & Rivera, 2017; Whiteman, Walker, & Perego, 2013).

Climate change is a pressing global, societal challenge that requires coordinated and collective efforts of multiple actors (Howard-Grenville et al., 2014). Business organizations are often seen as too reluctant to address these immense challenges in an appropriate way (Clément & Rivera, 2017; Whiteman, Walker, & Perego, 2013).


이 연구는 탄소 집약적 산업에서 기존 기업들의 적응에 대한 다양한 이유에 대한 기존 지식의 관련 개요를 제공합니다.

This study provides a relevant overview of existing knowledge on different reasons for different responses of incumbents’ adaptation in carbon-intensive industries.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논문리뷰 : 딥러닝에서 데이터 수집 및 품질 문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