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OBINGO Jun 08. 2021

분홍빛깔 프로슈토

Food and the City 프로슈토 / 햄과 이탈리아

유럽에 와서 자주 먹게 된 것이 햄과 소시지이다. 


원래 가공된 육류를 좋아하지 않았던 내 식성으로 그다지 즐기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빵에 넣어 먹거나 술안주로 치즈와 함께 먹으면서 슈퍼에 가면 꼭 햄과 소시지 코너에 들리게 된다. 슈퍼에 가면 이런 햄이나 소시지 코너가 아주 길게 들어서 있고, 가격대도 싼 것은 1000원대에서 비싼 것도 5000원 정도의 가격으로 가볍게 먹기 편한 가격대와 잘 포장되어 상당한 기간 보관 가능하기 때문에 장바구니에 항상 들어가기 쉽다.

그 외에도 우리나라 정육점처럼 신선한 햄을 큰 덩어리로 놔두고, 점원에게 부탁을 하면 그램 단위로 팔기도 한다. 그 종류도 몇십 가지 종류라서 맛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무래도 자주 먹는 것을 주문하게 된다.


하몽? 프로슈토? 

우리가 가장 잘 아는 유럽산 생 햄이라 하면 하몽과 프로슈토 정도 일 것이다. 하몽은 스페인에서 만드는 스페인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반 건조 생 햄을 지칭한다. 하몽 세라노와 하몽 이베리코 등이 유명하고, 이베리코 돼지로 만든 하몽은 매우 고급으로 그중에도 빠따 네그라라고 하는 베요타 검은 돼지를 쓰는 하몽은 입에서 살살 녹는다. 스페인에 가서 타파스를 먹게 되면 꼭 시키게 되는 메뉴이다.


프로슈토는 건조한다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이탈라이의 반 건조 생 햄으로. 하얀 돼지의 뒷다리 허벅지는 소금에 절여서 9개월에서 2년간 숙성해서 만든다. 특히 파르마산 프로슈토가 유명하다. 스페인은 흑돼지를 사용하고 이탈리아는 하얀 돼지를 사용하는데, 맛도 사실 조금 차이가 난다. 스페인의 하몽 쪽이 조금 더 기름지고 프로슈토 쪽이 조금 더 담백한 맛이다. 물론 하몽 세라노는 흰 돼지를 사용해서 거의 프로슈토와 맛이 비슷하다.


파르마의 피자

출장으로 이탈리아 파르마 근처에 방문하게 되었을 때 내 머리는 파르마 생 햄으로 가득했다. 이름을 많이 들었었지만, 지금까지 자주 먹지는 못했기 때문에, 많은 기대를 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다지 음식을 먹을 시간은 많지 않았고, 미팅을 마친 후 다음 미팅을 위해 밀라노로 돌아갈 시간 때문에 시간이 빠듯했다.

미팅 내용도 그다지 만족할 만하지는 않았고, 시간도 많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 가라앉은 마음으로 차로 이동하기 전 길가에 있는 피자집으로 발길을 옮겼다. 보통 출장을 가면 하루에 5-6시간 정도 운전하는 것은 일반적이라서 며칠간의 긴 운전으로 인하여 나는 몸과 마음이 지쳐 있었다. 특히 이탈리아 운전자들의 난폭한 운전과 열악한 도로 사정으로 이번 여행은 조금 더 힘들었다.


하지만, 피자집으로 들어가 주문한 피자는 루꼴라와 파르마산 치즈 그리고 파르마산 프로슈토가 올라가고 올리브 오일을 충분히 뿌려서 매우 먹음직스러워 보였다. 가격 또한 7천 원 정도로 매우 저렴했다. 피자의 빵 부분은 매우 얇고 바삭하게 구워져서 고소한 냄새가 내 코를 자극했다. 한 입 물었을 때의 짭짤한 프로슈토의 맛은 치즈와 함께 입안에 들어와서 미팅과 운전으로 지쳐있는 나에게 충분한 만족감과 영양을 주었다. 단 10분 정도의 짧은 식사를 마치고 다시 차에 올라 밀라노까지의 2시간 정도의 운전을 시작하면서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봄이 눈에 들어왔다.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한국의 심야 라디오를 들으며 녹색 산과 강들을 지나치고 있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