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숫자의 의미
공감의 클릭 숫자가 남기는 것
유튜브 세상에서 브이로그를 처음 접했을 때 신기했다.
'자기 삶을 이렇게도 기록하는구나'싶기도 했고, '이렇게까지 사생활을 노출하는 이유가 뭘까' 궁금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보다 즐겨보는 콘텐츠로 내 삶 깊숙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요즘은 거의 기존의 대중 미디어 성격의 콘텐츠는 안 보는 것 같다.)
오늘도 브이로그를 본다. 많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유튜버는 아닌데 차분하게 일상을 담아낸다.
일을 할 때 배경으로 깔아 두듯 놓아두면 '백색 소음'이 되어 나쁘지 않다.
조회수가 많지 않은데도 꾸준히 업로드하는 그 사람의 마음에 이끌려 보는 것 같기도 하다.
무엇인가를 지속하는 힘이 약한 나의 모습에 비춰보면 그저 대단하게 여겨질 따름이기에.
응원의 메시지를 보내고픈 마음에 항상 클릭을 한다.
오늘의 브이로그를 보던 중 우연히 지난 동영상을 보게 되었다.
업로드된 동영상 중에서도 조회수가 꽤, 높은 콘텐츠들이 있다. 섬네일을 살펴보니 언박싱 혹은 랜선 집 투어, 유행하는 장소나 음식.. 뭐 이런 것들이다.
군중들이 좋아하는 콘텐츠의 성격이 확연하게 드러나는 순간이다.
이전과 달리 지금 우리가 소비하는 미디어 환경은 다수 대 다수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퍼 나르기'와 '좋아요'로 콘텐츠를 소비한다. 그리고 새로운 관계망으로 콘텐츠를 유통하고 또 다른 콘텐츠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오가닉 미디어>라는 책을 보면 '좋아요' 자체가 콘텐츠가 된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다고 한다.
예전처럼 콘텐츠를 소비하고 유통하는 데 있어 '의도'와 '영향'을 깊이 따지지 않는 듯하다.
'좋고', '싫음'으로 즉각적인 가치 판단을 내려 버린다. 그래서인지 조금은 무섭기도 하다. 편중된 사고와 감정에 빠져들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취미나 취향이 소소한 브이로그가 좋다.
소소하다는 단어가 왜, 떠오르는지 모르겠지만 자기만의 삶이 자리한 모습이 좋다는 의미이다.
조회수가 많은 브이로그를 보면 드러내 보이기에 편중된 경향이 눈에 띈다. 타자의 시선을 너무 의식하거나 유행하는 요소들에 너무 과하게 집착하는 것이다.
거의 비슷한 옷, 식기, 요리 재료, 가구 등 남부럽지 않은 자신의 취향을 드러내 보이려 한다.
부르디외에 의해 우리가 사용하기 시작한 '취향'은 프랑스 사회에서 파생된 현상이기도 하겠지만 지금 우리의 삶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요소이기도하다.
취향으로 계급이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인데 오늘날 삶의 취향은 너무나도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블로그 포스팅이든, 유튜브 브이로그 등 편중(향)된 취향이 드러나지 않는 요소들에 끌리는 것 같다.
수많은 콘텐츠가 유통되고 있는 시대에 현명한 소비가 필요함을 절감하는 저녁이다.
책을 읽고 난 후, 왜? 유튜브를 클릭했는지.갑자기 궁금해 졌는데.
오디오북 들으며 집 정리를 하다 옆길로 빠져버렸다.
구글의 알고리즘과 연속 재생이 나의 시간을 삼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