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열심남 Sep 11. 2016

조성진, 손열음 누구일까요?

내가 좋아하는 연주자

'조성진', '손열음' 이란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도 조성진에 대해서는 귀에 익을지도 모른다.

손열음은? 그냥 독특한 이름이구나 이 정도로 생각한다면 나와 비슷한 거다. 조성진의 경우 작년 말 쇼팽 콩쿠르에 아시아계에서는 처음으로 우승한 친구-엄밀히 친구는 아니지만-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디서 1등, 그것도 세계에서 1등 이런 거 하면 그 열풍이 장난이 아니다. 그래서 당신도 들어봤을 거다. 조성진~

조성진

나 역시 잘 알지 못한 연주자인 조성진을 쇼팽 콩쿠르의 연주 영상을 그 시점에 유튜브에서 보고 알게 되었다. 하필 우승 경연곡이 내 귀에 와서 확 꽂혀버렸던 피아노 곡이다.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1번!

조성진의 필 받은-이걸 뭐라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다. 

영감을 받은 얼굴, 곡과 한 몸이 된듯한 물아일체의 경지 등등으로 표현하고 싶다- 코 찡그리는 모습과 함께 피아노의 선율이 오케스트라의 전주 다음에 얻혀지는 그 순간의 감동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사실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처음 들은 거라 고백해야겠다. 클알못이니까)

조성진 (2015년 쇼팽콩쿠르)


아무튼 너무 멋있었다. 그 뒤로 조성진에게 관심을 많이 갖게 된 것 같다. 아마 언론에서도 많이 노출되고, 게다가 5년 만에 1번 열리는 세계적인 콩쿠르에서 우승까지 했으니, 그 관심도가 높은 것도 사실일 거다.


손열음

그리고 손열음~ , 사실 손열음의 연주하는 모습을 먼저 보거나 피아니스트로서 들어본 게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김동조 님(@hubirs2015)이 손열음이라는 연주자의 칼럼과 음악에 대해서 자주 언급해줘서 알게 되었다. 기억나는 손열음의 칼럼 내용 중에 랑랑이라는 세계적인 중국계 피아니스트와 함께 사사를 받던 시절에 대해서 얘기한 게 있었다. 그래서 물론 랑랑이라는 연주자도 알게 되었지만. 그래서 손열음이란 여자 사람이 피아니스트이구나 정도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녀 역시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콩쿠르에 2위를 한 역시 유명한 피아니스트였다.


그러고 보니 둘 다 피아니스트이구나.  조성진도 잘생겼지만, 개인적으로 손열음도 실물이 훨씬 이쁜 것 같다. 사진에 찍힌 모습이나 동영상의 손열음은 이상하게 이쁘지 않게 찍힌 거 같다. 실제 보면 꽤 이쁜데... (아마 품절녀 이나영과 같은 과인 거 같다. 실물은 이쁘나 광고 프린트 물에는 영 안 이쁘게 보이는, 지극히 주관적인 내 생각)


임동혁

그리고 내가 가장 처음으로 음반을 구입했던 또 다른 피아니스트 임동혁.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하면 떠오르는 사람은 글렌 굴드라는 전설적인 피아니스트가 있다. 내가 산 첫 음반이 바로 임동혁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이다. 임동혁 역시 조성진이 1위 한 쇼팽 콩쿠르의 2005년(무려 10년전)의 3위 입상자이다. 아마 그래서 내가 가장 먼저 알게 된 피아니스트일 것 같다. 나에겐 한 가지 로망이 있다. 피아노 치는 남자에 대한~. 그래서 남자인데 피아노를 잘 치는 사람엑 뻑가는 경향이 좀 있다. 그런 범주에 가장 첫 번째 들어온 연주자 임동혁. 임동혁의 삘 받는 모습 역시 인상적이다.


김수연

임동혁을 통해 알게 된 연주자, 바이올리니스트(그렇다 이번에 바이올린이다.) 바로 김수연이다.

작년에 아마 임동혁과 김수연이 같이 슈베르트 포 투라는 음반을 내면서 음반의 곡들을 한국에서 순회공연을 한적도 있다. 아쉽게도 내가 지금 살고 있는 부산에는 오지 않아서 공연을 보진 못했지만, 음반은 바로 사서 정말 무지 많이 들었던 것 같다. 그러면서 김수연이란 바이올리니스트도 알게 되었다. 역시 둘의 컬래버레이션을 하는 공연 프리퀄 영상이 꽤나 인상적이었다. 결국 그 영상을 보고 음반을 구매하게 되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베르트 환상곡이 들어간 이 음반 슈베르트 포투도 내가 아끼는 음반이다.


노부스콰르텟

그리고 최근에 통영 국제음악당에서 연주회를 하게 된 노부스 콰르텟(사실 손열음 공연을 알아보다가 알게 된 공연이다) 4명의 젊은 실내악 연주자들 그리고 함께한 손열음. 그 공연을 보기 위해 그나마 부산에서 가까워서 통영까지 찾게 되었다. 나중에 노부스콰르텟과 손열음의 쇼스타코비치 현악 4중주와 피아노 5중주 공연에 대한 리뷰는 따로 하겠지만, 아무튼 엄청난 공연이었다. 잘 모르는 쇼스타코비치라는 작곡가의 곡을 실연으로 듣게 되면서 꽤 나 어려워(듣기에) 보이는 곡 역시 실연으로 들으면 다를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계기였다.

그나저나 이 4명의 남자들도 왜 이리 잘생긴 건지 모르겠다. 2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콰르텟!


클라라주미강 & 손열음

그리고 요즘 한창 듣고 있는 '오천만의 클래식'에 소개된 클라라주미강

손열음과도 꽤 친하고, 그래서인지 2014년 평창 국제음악제에서 함께 공연도 하고(이건 유튜브에서 카르멘 환상곡 연주 모습을 볼 수 있다) 오는 10월에 마포아트센터에서 또 협연을 한다고 한다. 음 클래식 연주자의 미모 중에는 역대급이 아닌가 싶다. 연주를 잘하는 이들이 미모까지 출중해도 되는 건가? 아님 연주를 잘해서 이쁘고 잘생겨 보이는 건가?


지금까지 소개한 사람들은 모두 한국의 젊은 연주자들이 되겠다. 이제 막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고 한참 활동을 하는 이들. 콩쿠르가 끝이 아니고, 이제 시작임을 보여주는 멋진 연주자들이다.


이런 연주자들의 연주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 그들이 하는 음악들에게도 자연 관심이 가고 , 좋아하게 되는 것 같다. 내가 조성진이 쇼팽 콩쿠르 파이널에서 연주했던  쇼팽 피아노 협주곡에 꽂힌 것처럼....


한국의 젊은 연주자들, 이들이 국제적으로 커나가는 모습을 계속 지켜보고 싶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그들의 연주를 좀 더 자주 보고 싶은 게 내 바람이다.


오늘은 이걸로 끝.




함께 보면 좋을 영상

1. 조성진 쇼팽 콩쿠르 파이널 영상 :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

2. 임동혁 & 김수연 슈베르트 환상곡 C장조

3. 손열음& 클라라주미강 카르멘 환상곡

매거진의 이전글 클래식 음악은 고상한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