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요한 May 08. 2024

<범죄도시4> 기록적 성공이 증명한 진짜 감점 사유

THE ROUNDUP : PUNISHMENT

기업은행의 독특한 영화투자 전략이 화제가 됐다. 연이은 성공이 아집으로 변모된 사례를 많이 겪어서일까. 여러 항목이 있었지만 ‘3연속 흥행하면 감점’에 많은 이들이 특히 공감을 표했다. <범죄도시4>는 감독보다는 제작자인 마동석 배우의 영향력이 큰 시리즈다. 기업은행의 공식을 적용한다면 투자를 꺼려야 할 작품이다. 그러나 4월 말 개봉한 영화는 벌써 1,000만 관객이 목전이다. 놀라운 건 <범죄도시4>가 기존작과 눈에 띄게 차별화된 지점은 없다는 사실이다.


“일단 큰 사건이 터진다. 인맥(?)을 이용해 근처의 잡범들을 하나씩 턴다. 잡범들의 협력(?)으로 사건의 실마리를 잡는다. 요란한 응징의 시간이 지나고 현장이 정리된 뒤에 도착한 동료들에게 ‘왜 이렇게 늦었냐’고 타박한다.” 시리즈 최고의 인기 캐릭터로 부상한 장이수, 한 번의 출연으로 배우의 인생캐가 된 초롱이의 개그를 고작 ‘잠법의 협력’이란 한 줄로 요약하기는 아쉽지만  <범죄도시3> 리뷰에서 썼던 부분을 그대로 옮겨 <범죄도시4>에 적용해도 크게 문제가 없다.


그래도 굳이 변화점을 찾아본다면 범죄자의 주 활동구역이 서서히 옮겨간다는 점이다. 장첸(윤계상)의 가리봉동, 강해 상(손석구)의 베트남. 주성철(이준혁)의 경찰서를 거쳐 이제 백창기(김무열)와 장동철(이동휘)은 디지털 세계에 소굴을 차린다. 마석도(마동석)는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인 주먹으로 문제를 해결하려하지만 컴퓨터를 때려 부순다고 범인이 튀어나오지는 않는다. 마석도를 피지컬로 괴롭힐 수는 없으니 뇌지컬이 필요한 범죄를 통해 괴롭히려는 제작진의 의도로 보인다.


■ 욕망의 거세, 카타르시스의 증발


필리핀 어딘가에 본부를 둔 온라인 도박단은 쉽게 정체를 드러내지 않는다. 실제로 수사는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선량한 피해자는 늘어만 간다. 그 과정에서 혼자 술을 마시거나 괜히 동네 불량배를 일망타진하는 등 이전에는 드러나지 마석도의 심리적 동요가 여러 차례 드러난다. 그러나 말이 어렵다는 거지 <범죄도시4>가 두뇌 플레이를 요구하는 추리극까지 뻗어가진 않는다. 장이수(박지환)를 평소처럼 못살게 굴어 꼬리를 잡고, 사이버수사대의 지원을 받아 마석도의 주먹에 범죄자들이 혼절한다.


문제는 범죄자의 소탕이 너무 손쉽게 이루어진다는 측면이다. 개봉 전부터 IT 천재 장동철이 서브 빌런으로 등장한다는 소개가 있었다. 자금력과 뛰어난 두뇌를 이용해 마석도가 힘을 내기 어려운 디지털 세계에서 신출귀몰하며 혼란스러운 모습을 기대했으나 퇴장은 너무 허무했다. 마석도와는 결국 일면식도 없었고 동업자에게 푼돈을 아까워하며 뒤통수를 치다가 되레 자기가 당한다. 서브 빌런의 퇴장은 <범죄도시> 시리즈에서 메인 빌런의 잔혹함, 강력함, 지독함 등을 연출하려는 수단으로 계속사용되었지만 이번작에서는 효 효용이 크지 않게 느껴진다.


<범죄도시2> 리뷰에서 장점으로 꼽은 건 범죄자에게 구구절절한 사연을 부여하지 않았던 부분이다. 메인 빌런인 백창기도 사연이 없다. 전사가 없는 것뿐 아니라 온라인 카지노로 돈을 벌어 무엇을 하겠다는 목적도 없다. 물론 돈 버는 것 자체가 목적일 수도 있겠으나 그보다는 욕망이 거세된 기계처럼 보인다. 연쇄살인이 이어지지만, 감정이 실리지 않으니 무심한 공무집행처럼 보일 지경이다. 심지어 자기 뒤통수를 친 장동철의 숨통도 직접 끊어놓지는 않는다.


두 번째로 꼽았던 장점은 <투캅스>에서 <공공의 적>으로 이어지던 부패 경찰의 고리를 끊은 것이다. 마석도는 범죄자를 때려잡는 ‘민중의 몽둥이’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그런데 온라인 카지노는 <범죄도시3>의 마약처럼 선량한 시민들과는 거리감이 느껴지는 아이템이다. 백창기와 장동철의 배신 릴레이도 범죄자끼리의 영역 다툼으로 보인다. 생활을 위협하는 범죄자가 아니고, 그마저도 한쪽은 자멸하는 탓에 몽둥이찜질에 통쾌함이 덜하다. 도박이 아니라 코인 사기였다면 와닿는 느낌이낌이 달랐을까. 아쉬운 부분이다.


■ 기록적 성공이 증명한 진짜 감점 사유


2004년 장첸, 2008년 강해상, 2015년 주성철, 2018년 백창기. 시리즈는 2017년에 시작됐지만 7년 사이에 영화는 14년의 세월을 건너뛰었다. 금천서에서 광역수사대로 옮긴 만큼 마석도가 상대해야 하는 빌런도 시장통을 공포에 몰아넣던 깡패에서 IT 재벌과 손잡은 국제적 도박집단으로 업그레이드 됐다. 마석도의 주먹은 아직 강력하지만 8편까지 계획된 시리즈는 노쇠해져 갈 모습을 담을 수밖에 없다. 세월을 진실의 방에 집어넣을 수는 없는 탓이다.


당장 이번 작에서부터 디지털 범죄에 뒤처져 젊은 경찰들의 도움을 받는 마석도의 모습은 스마트폰 조작법을 어려워하던 부모 세대의 모습과 겹친다. 화면 너머의 적들을 상대하는 건 노동자들의 존재가 물류센터의 택배 이동 현황 같은 한 줄의 문장과 픽셀로 치환되고, AI로 인한 생산성 대폭발이 예상되지만 과실을 나누기도 전에 그림자 노동 없이는 유지되기 어려운 우리 사회의 씁쓸한 일면 같기도 하다.


<범죄도시>와 마석도가 상징하는 바는 무엇보다 ‘참교육’으로 요약되는 즉각적인 응징이라는 시대정신이다. 송강호, 최민식도 성공하지 못한 3편 연속 천만 관객이란 진기록도 가시권이다. 하지만 도입부에서 말한 것처럼 3편 연속 성공은 감점 사유가 된다. 하나의 관점으로 좁아진 시선이 흥행에 독이 된다는 판단이다. 그렇다면 <범죄도시>의 연이은 성공은 참교육에 중독되어 버린 우리 사회에 대한 감점이라고 봐도 되지 않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