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손병목 Jul 28. 2022

포기하는 아이, 도전하는 아이

고정 마인드셋 vs. 성장 마인드셋


1.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실패했을 때 도전하는 사람과 그대로 주저앉는 사람. 우리 아이가 어떤 사람이 되길 바라는가? 어떻게 하면 쉽게 좌절하지 않고 도전하는 아이로 키울 수 있을까? 


2. 재미있는 실험이 있다. 두 종류의 문제가 있다. 하나는 ‘새롭지만 어려운 문제, 배울 수 있는 문제’, 또 하나는 ‘이미 알고 있는 문제, 자신이 얼마나 똑똑한지를 보여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풀게 했다.


3. 어렵지만 배울 수 있는 문제를 선택하는 아이는 일명 ‘학습목표(learning goal) 성향,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이다. 배우기 위해 공부하는 아이다. 반면 지금까지 늘 풀어왔던 문제를 다시 풀고 싶어 하는 아이는 ‘평가목표(performance goal) 성향, 고정 마인드셋(fixed mindset)’이다. 시험을 잘 보기 위해, 평가를 잘 받기 위해 공부하려는 아이들이다. 


4. 평가목표 성향과 학습목표 성향은 누구에게나 공존한다. 배우려는 목적도 있지만 시험을 잘 보기 위한 목적이 더 강한 아이들, 시험도 시험이지만 배우는 게 더 재미있는 아이들이 있다. 어느 성향이 더 강하냐는 마인드셋의 영향이다.


5. 두 성향의 아이에게 모두 문제를 풀게 한 다음 실제 성적보다 일부러 많이 낮춰서 결과를 알려줬다. 평가목표 문제를 고른 아이는 만점을 받았지만 60점을 받았다고 알려줬고, 학습목표 문제를 고른 아이는 70점을 받았지만 30점을 받았다고 알려줬다. 자신감을 떨어뜨리기 위해 고의로 충격을 준 것이다. 


6. 다시 비슷한 문제에 도전하게 했다. 70점을 받았던 학습목표 성향의 아이는 한 문제를 더 맞혔다. 반면 만점을 받았던 평가목표 성향의 아이는 이내 포기하고 말았다. 다소 충격적인 결과였다. 도대체 왜 그랬을까?


7. 이 실험은 십여 년 전 EBS의 교육 다큐멘터리에 나왔던 장면 중 하나인데 저명한 심리학자인 캐럴드웩 교수의 연구 중 하나를 약식으로 재현한 것이다. 캐럴드웩 교수의 동기, 성격 분야의 연구 결과는 눈여겨 볼만하다. 똑같은 실패 상황에서 왜 어떤 아이는 도전하고, 어떤 아이는 포기하는가를 그녀는 거의 평생에 걸쳐 연구했다. 그리고 그 차이를 만드는 결정적 요인을 발견했다.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인듯셋의 차이가 바로 그것이다.



8. 고정 마인드셋을 평가목표 성향으로 표현한 까닭은, 이 부류의 사람들이 ‘평가에 집착하고 똑똑해 보이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성장 마인드셋을 학습목표 성향이라 지칭한 것은 ‘성장을 위해 배우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공부를 대하는 태도가 실은 삶을 대하는 태도가 될 수도 있다. 


9. 고정 마인드셋의 아이는 똑똑해 보이기 위해 공부를 한다. 시험을 잘 봐서 성적이 좋게 나오면 남들이 좋게 볼 것이기 때문에 공부한다. 어떤 일을 하든지 남의 눈을 지나치게 의식한다. 무슨 일을 하더라도 내가 좋아서 하기보다는 남의 평가를 먼저 의식한다. 인생은 배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똑똑해 보이기 위한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평가 결과에 지나치게 민감하다. 


10. 직장 생활을 하며 나는 이러한 사람들을 참 많이 보아왔다. 그들은 평가 결과를 곧 자기의 능력과 동일시한다. 결과가 나쁘면 자신이 능력이 거기까지인 줄 안다. 위 실험에서 만점을 받은 아이가 두 번째 시험에서는 이내 포기한 까닭도 그 때문이다. 다시 풀어보나마나 또 틀릴 것이라는 불안감이 도전을 포기하게 만든다. 이미 자신의 능력은 거기까지이고, 또 틀리면 바보처럼 보일까봐 걱정되는 것이다. 


11. 캐럴드웩 교수의 이론이 완전하여 사람을 오직 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초등학교 때부터, 더 빠르게는 유아 때부터 시작하는 학습지도가 아이가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확실해 보인다. 부모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모여 우리 아이가 세상을 대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이다.


12.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에게 쉽게 좌절하지 않고 스스로 노력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



2008년~2010년 현장 강의를 바탕으로 2011년에 처음 정리하고, 2022년 7월 28일 새벽에 고쳐 씀.


keyword
작가의 이전글 하면 된다 vs. 되면 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