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살고 싶다 살고 싶지 않다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

글쓰기를 직업으로 삼아버린 이상, 써야만 살아갈 수 있는 생을 절감하고 있었다. 그래서일까? 이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나를 위한, 나와 같은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다 읽은 지금, 이 책을 기획하고, 8명의 '쓰는 이'들을 모아준 기획자에게 감사한다. '쓰기'라는 행위에 대한 각기 다른 8인의 시선이, 그렇지만 8명의 글에서 일관되게 느껴지는 쓰는 삶에 대한 생각이 나에게 적잖은 위안과 용기를 주었기 때문이다.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는 다방면으로 일하는 각기 다른 8인의 에세이다. 그들은 배우, 음악가, 기자, 감독, 소설가 등 다양한 면모들을 가졌지만, 모두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책 지면에 모였다. 바로 쓰는 마음, 동기, 목적, 투정, 안도, 자신에게 건네는 격려 등이 그것이었다.


나(우리)는 왜 쓸까?

직업인 사람도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지만 느껴지는 공통점은 '글'이란 매체가 그들의 삶에는 어느정도 상당량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글로 지어지는 대본이 영상화가 되고, 음악 앨범을 글로 낸 이도 있다. 글을 써야 돈을 벌고. 글을 어려워 하지만, 누구보다도 글과 친해지고 싶을 것.


백세희 작가의 지면. 유심히 보면 '잘 쓰고 싶다'도 간간히 있다.

이 페이지야 말로 이중적인 자신의 마음을 엄청나게 잘 표현한 장면일 것이다. 쓰고 싶지만 쓰고 싶지 않은 마음을 단적으로 잘 보여주는 페이지라 할 수 있다.


쓰고 싶다는 마음은 내가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잘 정리해서 남들에게 공감을 일으키게 끔 쓰고 싶다란 말과 동일하다. 반면 쓰고 싶지 않다란 마음은 '내가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잘 정리할 자신이 없는데 공감마저 못 일으킬 까봐 두렵다'라는 말과도 같다. 이런 이중적인 마음은 브런치든, 메모장이든, 블로그든 어떤 상업적 일과 연관된 예술가라면 공공연히 느끼는 감정일 것이다. 그리고 누구보다도 잘 알 것이다. 이 두 마음이 공존하는 자신의 마음에 대해서. 검은 늑대와 흰 양이 공존하는 마음 속의 대 혼돈의 멀티버스처럼 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책을 다 읽고 나면 나도 쓰고 싶지 않은 마음에 대해서 쓰고 싶다란 생각이 들어버린다. 그래서 이 공간에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렇게 전하고 싶은 것이다. 나도 있어요! 이런 마음. 그리고 공감해요, 나눠 주셔서 감사해요. 내가 각기 다른 8인의 작가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다.



작가의 이전글 미운 오스트리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