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 보석사는 금산(錦山)의 진산인 진악산(進樂山)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885년(신라 헌강왕 11)에 조구(祖丘)스님이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에 절 앞산에서 채굴한 금으로 불상을 주조하였기 때문에 절 이름을 보석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창건 뒤 자세한 역사는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고종 때 명성황후가 중창하여 원당(願堂)으로 삼았으며, 1912년부터는 31 본산의 하나로서,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일원의 33개 말사를 통괄하였던 대사찰이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 · 진영각 · 등운선원(심검당·尋劒堂) · 승병장 영규대사 외 아홉 분의 영정을 모셨던 의선각(毅禪閣) · 산신각 · 응향각(凝香閣) · 기허당 · 요사채 · 일주문 등이 있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 관세음보살, 문수보살의 좌상(坐像)을 모셨는데, 조각 수법이 정교하고 섬세하며, 상호가 원만하고 자비로워 조선시대 불상 중에서는 극치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 주불전의 오른쪽에서 뒤로 약간 물러선 자리에는 진영각인 기허당이 위치하고 있다. 기허당은 휴정(休靜) · 유정(惟政) · 영규(靈圭)의 영정을 모셨던 곳이나 근래에 영정을 도난당하였다고 한다. 영각의 이름을 ‘기허당’이라 한 것은 기허당 영규대사의 법명을 따서 지은 것으로 영규대사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지은 집이기 때문이다. 영규대사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병 1천 명을 모집하여 왜군에 맞서 싸웠으며, 특히 청주성 싸움에서 청주 방어사 이옥의 관군이 무너졌으나 승군을 이끌고 이옥의 잔류 군사와 의병장 중봉조헌 등과 함세하여 청주성을 공략하여 수복하였다. 영규대사는 서산대사, 사명대사와 함께 임진왜란의 3대 승장으로 추앙되었으나 금산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전사하였다.
보석사 입구의 의병승장비(義兵僧將碑)는 공주의 청련암(靑蓮庵)과 보석사에서 수도하며, 무예를 익힌 뒤 임진왜란 때 왜병과 싸우다가 전사한 승병장 영규대사의 순절비로서, 1839년 5월에 금산 군수가 절 입구에 세운 것이다. 영규대사가 순국한 내용을 적은 이 비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에 의해서 자획이 뭉개지고 땅에 묻혔던 것을 1945년 정요신(鄭堯臣)이 찾아서 다시 세웠으며, 높이는 약 4m이다.
금산 보석사에는 남다른 보석이 5개가 있다. 그중의 하나는 절 입구에 있는 둘레가 높이 34미터에 둘레가 10.72미터에 이르는 천년이 넘는 나이의 은행나무다. 천연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다. 이 나무는 창건주 조구스님이 제자 5인과 더불어 육바라밀(六波羅蜜)을 상징하는 뜻에서 둥글게 여섯 그루를 심은 것이 하나로 합해졌다고 한다. 6(六)은 불교의 육바라밀 수행을 뜻한다. 이 나무는 나라와 동리에 큰 이변이 있을 때 운다고 한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1945년 해방 때도, 1950년 전쟁 때도 울었다고 한다. 단순히 우는 것만이 아니라 나무가 흔들리면서 진동도 느껴졌다고 한다. 큰 가뭄이 들었던 1992년에도 울었다고 한다. 매년 10월에는 절에서 은행나무 대신제를 지낸다. 이 나무에는 신령한 기운이 있어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는 영험이 있어 많은 사람이 대신제 전후로 와서 소원지를 걸고 기원을 드리기도 한다.
보석사의 두 번째 보석은 앞의 의병승장비다. 제2차 금산전투에서 의병장 조헌과 함께 순국한 의병장 영규대사와 승병들을 추모하기 위해서 1839년에 보석사에 세운 비다. 일제강점기에 왜경에 의해 훼손되어 땅에 묻힌 것으로 해방 후에 다시 세웠고, 비를 보호하는 비각을 세우고 비의 내용을 한글로 새긴 국역비를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보석사의 또 다른 보석은 입구의 전나무 숲길과 꽃무릇 숲이다. 전나무 숲길은 200미터 정도로 짧고 소나무가 같이 있기는 하지만 평시에는 호젓하니 마음의 군더더기를 빼주기에 충분하고, 10월경 은행나무 대신제가 열릴 즈음에는 전나무 숲길 그늘아래에 100만 송이의 꽃무릇이 장관을 이룬다고 한다. 이것이 보석사의 3번째, 4번째 보석이다.
다섯 번째 보석은 보석사의 경내 곳곳에 숨겨진 스님의 자상함이다. 사중 곳곳에 대웅전 상량문의 해설은 물론 주련의 뜻, 화엄경 사구게 등이 세세하게 걸려있다. 그것을 통해 스님이 살피시는 마음을 볼 수 있다. 시간이 허락하면 스님께 차라도 한잔 얻어먹게 된다면 금상첨화다.
아래 사진은 보석사 은행나무 앞에 걸린 임제의현스님의 글이다.
시시비비도불관 是是非非都不關 /옳거니 그르거니 상관하지 말아라.
산산수수임자한 山山水水任自閑 /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 두라.
막문서천안양국 莫問西天安養國 / 서쪽 하늘에 극락이 있냐고 묻지 말라.
백운단처유청산 白雲斷處有靑山 / 흰 구름 걷힌 곳에 청산이 있을지니
사찰의 장점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있다. 물론 엄청난 규모의 불사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나무 하나라도 거기에 얽힌 이야기를 통해 스토리텔링이 결합되어야 하고 그곳을 통해서 원래의 목적인 깨달음으로 인도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석사의 새로운 보석은 모두가 그대로의 의미가 있다. 그런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금산군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마침 10월에 열리던 꽃무릇 축제를 이번 주에 한다고 해서 급히 적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