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염소 Apr 24. 2024

조동사 2탄

염소의 영어공부 이야기 62

shall: 주로 제안이나 의무, 의지를 나타낼 때 쓰이는데, 내가 보통 보는 패턴은 

Let’s start. Shall we? 형태로 많이 봤다. 

Let us start.이라고 쓰이고 뒤에 그럴래? 하는 청유형으로 많이 봤다. 


should: 조언이나 의무, 예상을 나타낼 때 쓰인다.

You should get some coffee. 너 커피 좀 마셔야겠다.

I should say yes. 예라고 해야 했어.

You should be nice. 너 좀 친절했어야 했어.

이런 식으로 쓰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이런 의미를 다 하나하나 알고 쓰는 것보다는 뭐랄까 자주 쓰이는 문장들을 접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어떤 느낌이 날 때 해당하는 조동사를 쓰게 되는 것 같다.

좋은 점은 머리로 조동사를 일부러 끄집어내서 써야겠다고 생각하지 않는 점이고, 

나쁜 점은 매번 쓰는 패턴으로 쓰게 된다는 점이 있다.


선호는 본인의 선택이다.


조동사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이야기를 해봤다. 

여기서 조동사와 비슷한 두 가지를 더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다들 아시겠지만, be going to 동사원형, be able to 동사원형이다.

be going to 동사원형은 will과 가까운 말이고, be able to 동사원형은 can과 가까운 말이다. 

be going to 동사원형은 will보다는 좀 더 가까운 시일 내에 발생할 경우 쓰인다. 

I will go. 보다는 I am going to go. 가 더 빨리 일어날 확률이 높다. 

그리고 좀 더 확신이 들어있는 말이기도 하다.


be able to 동사원형은 can은 사실 나는 차이를 잘 모르겠다. 

그냥 매번 쓰다 보면 말이 잡히게 되는 게 사실이고, 나도 거기까지 밖에 말을 못 해주겠다. 

다만, 이 두 가지가 쓰이는 이유 중 하나는 정확히 말할 수 있다.

can과 will을 다른 조동사와 함께 써야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해야 하는 게 좋을 거야.라는 말을 쓸 때 해야 한다는 can과 좋을 거야(조언)는 should를 쓸 수 있다. 그럼 can should 두 가지를 한꺼번에 써야 하는데, 이건 불가능하다. 왜냐면 조동사 뒤에는 항상 동사원형이 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발한 방법이 바로 should be able to 이렇게 쓰는 것이다.

You should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report with your background. 

당신은 이 리포트를 당신의 배경지식을 이용해서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I will be able to attend the meeting next month. 저는 다음 달 미팅에 할 수 있을 거예요. 

이렇게 말이다.


실제 입으로 말할 때는 어려울지 모르겠으나 적어도 다른 사람이 말할 때나, 글로 쓰여있는 말을 이해할 때 필요하고, 실제 쓰게 된다면 금상첨화인 부분이다. 




작가의 이전글 조동사 1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