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daBoxx Mar 27. 2023

토플 강사에서 미국 변호사까지

한국 출장

시작은 번역 알바였지만 금세 시간이 흘러 번역팀을 꾸리게 되었고 어느세 타이틀(게임) 2개가 번역을 마치고 미국에서 서비스 되기 시작했다.


세 번째 타이들도 미국 런칭을 앞두고 있었는데 미국 현지화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했다. 


다양한 의견과 수많은 회의가 오고 갔지만 반영된 변화는 1 도 없었다. ㅋㅋㅋ


지금 다시 돌이켜 생각해봐도 도데체 무엇을 위한 어떤 의미의 시간들이었는지 당췌 이해가 가질 않는다. 


새로운 타이틀의 책임이 되어 운영팀원을 뽑고 번역팀을 계속 돌리고 마케팅에서 온 요청에 따라 기사 자료를 만들고 정신없이 하루하루가 지나갔다. 


그러다 한국 출장이 잡히게 되었다. 보내준다니 간다했지만 그 때도 지금도 여전히 어떤 의미에서 다녀온건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어차피 작업은 파일로 이뤄지고 소통은 이메일/전화로 하고 내 업무는 영어로 해야하는 부분인데 대체 왜...




일과 상관없이 몇년만에 가보는 한국이었기에 설렘이 매우컸다. 그리고 또 본사건물을 보고나니 아주 약간의 파이팅도 생겼다. 미국지사야 사무실 하나였지만 한국에선 나름 업계에선 이름을 다 아는 회사여서 나 괜찮은 회사 다니나 보다 싶은 마음도 들었다.


매일같이 지옥철을 타고 인파에 휩쓸려 타고 내리고를 반복하다보니 시간이 금세 지나갔다. 본사에서 친해진 사람들도 많았는데 하나같이 다른 길을 찾는 걸 추천했다.


당시 가정형편 때문에 금전적으로 매달 제로썸 게임을 진행중이었기 때문에 사정을 알게된 친구들은 모두 입을 모아 영어 강사를 해보라 추천했다.


모르긴 몰라도 지금(당시)보다 배는 벌 수 있을 거야란 말에 마음이 많이 흔들렸다.




출장을 마치고 미국에 돌아와서 하숙집 (개인 2층집에 있는 2층 방 하나를 빌려서 살고 있었다) 침대에 누워 천장을 보며 계산을 시작했는데 몇년간 그곳을 탈출 할 수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지 않았다. 


삶의 기로에 놓인 순간이란 느낌이 들었다. 다음 한 번의 선택이 나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수 도 있을 것이란 운명적인 느낌? 


문득 고등학교 때의 랜선친구가 생각났다. 대학을 다니다가 공부는 본인의 길이 아님을 깨닫고 차에 짐을 챙겨 대륙을 횡단해서 뉴욕을 이사를 간 녀석. 거기서 삶의 터전을 잡고 살아간 모험가.


'그녀석도 했는데 나라고 못 하겠어?' 


한국으로 떠나기로 결정했다. 


마음을 먹은 후로 퇴근이후의 시간은 한국 영어강사관련 검색을 하는데 시간을 보냈다. 


한국가는 비행기표, 한국에 도착한 후 이동 경로, 체류 신분, 미국으로 송금하기 위한 방법, 미국내에 면허 살려두기, 주소지 변경 등. 막막하기만 했던 삶이었는데 탈출구의 빛이 멀리나마 보이니 곧 행동으로 이어져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마음 같아선 서프라이즈~ 내일 부터 출근 안해요~ 하고 싶었지만 그래도 예의상 2주 노티스를 줬다.


백수가 되었다.


2007년 1월 2일 한국에 도착했다. 


 


 

작가의 이전글 토플 강사에서 미국 변호사까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