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D Mar 08. 2021

06. 그림 그리는 기획자

설득을 하는 직업


기획자는 Negotiator


어떻게 보면 설득을 하는 일이 제품 관리자의 직업이다

채용을 위해서 기획자의 면접을 봐야 할 때

그리고 나 역시 면접대상자가 되어 들어갈 때

커뮤니케이션 스킬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저는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기획자입니다”

이 말을 듣지 못한 면접이 단 한 번도 없다

짧은 면접시간에서 어떻게 증명할 수 있나?

어려운 일이다

여러 가지 각자의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자신의 기획과 생각을

가장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방법은

결국 그림일 수 있다.

눈으로 보여 주는 것

기획자가 보여주는 그림의 종류는

아래의 것일 것 같다


Account 계정 플랫폼 기획에 대하여

글을 쓰는 중에 flow차트에 대하여 짧게 언급을 했었는데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를 하려 한다.


유저 플로우 차트

user flow chart

아래와 같은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도표가

될 수 있다. 사용자의 흐름이자 데이터의 흐름도가 될 수 있는데 제품의 개발, 분석 설계 과정에서 꼭 필요하다.

개발 설계에서는 각 개체 간 관계를 그림으로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개체라는 단어가 좀 딱딱한데 사람, 액션, 사건 등과 같이 고유하게 식별이 가능한 모든 것이다. 개체는 사각형 박스로 그린다. 플로우 차트 중에 마름모꼴로 그리는 부분은 Yes or No로 결과가 달라지는 케이스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데이터 플로우 흐름도

DFD(Data Flow Diagram: 데이터 흐름도)

사각형 박스는 터미네이터(terminator)라 하고 입출력  출원지, 목적지를 나타낸다. 또 화살표는 데이터 흐름(data flow)을 나타낸다. 화살표에는 입력되는 데이터 명을 적어준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에 발생하므로 데이터가 주고받는 경우에도 화살표는 각각 그려준다.

—> or <—

동그라미는(Process) 자료를 변환시키는 처리 과정 하나를 나타낸다. 평행선(아래위만 선이 그어진 사각형)은 자료 저장소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뜻한다.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입

wareframe, prototype


열 번의 회의와 수십 장의 ppt 프레젠테이션보다

단 하나의 그림이

그리고 사용해볼 수 있는 시제품이 낫다.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입은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그리는지는

Next로...

작가의 이전글 05. Account 계정 서비스 기획(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