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ihyang Eun Apr 20. 2022

누워서 적기

새벽에 3시간 가량 일한 여파로 오후부터 내내 하품을 해대다가 초저녁에 결국 잠들고 말았다. 초저녁잠은 결국 밤잠을 방해하고 불규칙한 밤잠은 다음날에 영향을 준다는 걸 알지만, 그럼에도 가장 이겨내기 어려운 것이 초저녁잠인 것 같다.


결국 자다 깼다. 일찍 잠들어버려 못 놀아준 그니와 으니랑 놀아주고 영양제 챙겨먹고 어제 읽던 책을 마저 읽었다.


어제의 일기에서 “미래의 피해자들은 이겼다”라는 제목이 자극적이라고 썼는데 오늘은 또 조금 다른 생각이 들었다. 이긴다는 말을 떠올리는 순간 그 반대편에 있는 진다는 말이 떠올라서, 이기거나 혹은 지거나 하는 프레임 안에 갇히는 것이 싫어서 나도 모르게 조금 거부감을 느꼈던 것 같다. 그런데 천안함 사고 원인 규명이나 희생장병에 대한 추모에 가려져 있었던 천안한 생존장병과 그들의 고통, 고통을 말하기 어렵고 말하더라도 인정받지 못하는 데서 더하여 뒤따르는 또다른 고통에 집중하면, 그들에게는 이후의 삶 자체가 싸움이고 투쟁이었을 거다. 그래서 그들이 그 투쟁에서 이겼으면 하는, 아직 그러지 못했더라도 미래에는 반드시 이기는 것으로 미리 정해두고 싶은 마음이 되었다.


가끔 내가 쓴 소설이나 그 소설들을 모아 만든 소설집이 꼭 필요한 책이었을까, 생각한다. 분명한 건 나 자신에게는 필요한 책이었다는 거고, 불분명한 건 다른 이에게도 필요한 책일까 하는 건데, 김승섭 교수의 이 책은 두 번 고민할 것도 없이 필요한 책이라는 것이다. 그들을 위한 이야기가 쓰여져야 그 이야기 속의 그들에 대해서도 그들이 겪은 일, 앞으로 겪어야 할 일에 대해서도 비로소 이야기가 시작될 수 있다. 모든 사고로부터 생존한 피해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언제고, 하고 싶을 때까지, 마음껏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두서없어도 적어보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