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수민 라이트랩 Sep 25. 2024

모네는 결코 같은 대상을 여러 번 그리지 않았다.

모네의 연작으로 바라본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각


클로드모네(Claude Monet)가 연작을 통해 동일한 대상을 여러번 그렸다는 말은 잘못되었다. 애초에 모네는 시간과 계절에 따라 매번 달라지는 ’자연의 빛‘을 그렸다. 자연의 빛은 한 순간도 같은 순간이 없었기에 그가 담은 대상 역시 단 한 번도 같은 적이 없었다.



모네의 연작을 보며 많은 이들이 오해한다. "아, 모네는 건초더미를 몇 번이고 반복해서 그렸구나." 이는 모네의 예술을 철저히 오독한 것이다. 모네가 붓으로 쫓았던 것은 결코 고정된 대상이 아니었다. 그의 진정한 목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빛이었다.




모네의 건초더미 연작. 같은 건초더미를 그려 '연작'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사실 그거 그린 대상은 같지 않았다.



우리는 건초더미 연작을 본다. 하지만 모네의 눈에 비친 것은 매 순간 다른 모습으로 반짝이는 빛의 향연이었다. 아침의 은은한 광채, 정오의 강렬한 햇살, 황혼의 부드러운 색조. 겨울의 차가운 빛, 여름의 뜨거운 빛. 모네에게 이 모든 순간은 전혀 다른 세계였다. 그는 결코 같은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아침의 은은한 광채, 정오의 강렬한 햇살, 황혼의 부드러운 색조. 겨울의 차가운 빛, 여름의 뜨거운 빛. 모네에게 이 모든 순간은 전혀 다른 세계였다. 그는 결코 같은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하지만 그림 속 대상은 분명 건초더미 아닌가?" 라고 반문할 수 있다. 그렇다. 하지만 그것은 마치 빛을 담기 위한 그릇에 불과했다. 모네의 진정한 주제는 언제나 빛 그 자체였다. 건초더미는 단지 빛의 변화를 포착하기 위한 도구였을 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모네의 예술은 전혀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풍경화가 아니다. 그것은 빛의 본질을 캔버스에 옮긴 위대한 실험이었다. 모네는 붓끝으로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의 빛을 붙잡으려 했던 것이다. 모네가 빛을 그린 화가라 불리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우리는 여기서 중요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우리가 보는 모든 것은 사실 빛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대상 자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에 반사된 빛을 보고 있는 것이다. 모네는 이 진리를 그의 그림을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예술적 통찰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 자체를 뒤흔드는 철학적 혁명이다. 우리가 보는 것은 공간이나 대상 이전에 사실 빛이라는 것을 깨달을 때, 우리의 세계관은 어떻게 변할까?



아침에 일어나 창밖을 바라본다. 우리가 보는 것은 단순히 나무나 건물이 아니다. 우리는 그들에 반사된 빛을 보고 있는 것이다. 그 빛은 매 순간 변화한다. 구름의 움직임, 태양의 각도, 대기의 상태에 따라 우리가 보는 세상은 끊임없이 달라진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모든 순간에도 조명의 밝기, 그들의 위치, 주변 환경에 따라 우리가 인식하는 장면은 계속해서 변화한다.



이렇게 세상을 바라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우리의 인식이 더욱 섬세해진다. 빛의 미묘한 변화를 감지하게 되면서, 우리는 세상을 더욱 풍부하게 경험하게 된다. 예술적 감각이 깊어진다. 빛의 본질을 이해하게 되면, 우리는 모네처럼 세상의 아름다움을 더 깊이 있게 포착할 수 있게 된다.



모네는 우리에게 이런 새로운 시각을 가르쳐주고 있다. 그의 그림은 단순한 예술 작품이 아니다. 그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에 대한 제안이며, 더 깊고 풍요로운 인식으로의 초대장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빛의 속도는 80억 가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