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곽지영 Jul 17. 2022

동네 가게의 미래

영남일보 [금요광장] 칼럼

코로나 바이러스가 가져온 사회 변화 중 가장 안타까운 것의 하나는 우리 경제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에게 불어닥친 한파이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자영업자 매출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동기 대비 반토막이 났고 부채는 무려 3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의 부채는 도산이나 폐업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금융시스템, 나아가 사회 전반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우리 집만 하더라도 코로나 전과 후의 변화가 뚜렷하다. 예전 같으면 슬리퍼에 편한 옷차림으로 어머니와 마실 가듯 걸어 나가서 야채가게, 생선가게 등등 동네 한 바퀴 쓱 돌며, 저렴하면서도 신선한 저녁 찬거리를 그때그때 사 오곤 했었다. 지금은 웬만한 생필품, 심지어 먹거리까지도 스마트폰으로 배송 주문하는 일이 익숙해져, 동네 가게에 들를 일은 거의 없어져 버렸다. 사람들의 소비행태와 시장판도 변화의 이유를 분석해보면 그 차이는 바로 ‘비대면 역량’에 있다. 


전문가들은 이제 코로나 바이러스가 팬데믹(Pandemic)을 넘어 새로운 개념의 엔데믹(Endemic), 즉, ‘감염병의 주기적 유행’으로 진화하여 우리 곁에 한동안 머물게 될 것이라 예고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는 동네 가게들을 감염병으로 인한 거리두기 상황에도 타격 없이 거뜬할 뿐 아니라, 오히려 전세계에서 입소문 난 ‘핫플(유명한)’ 가게로 변신시킬 수 있는 ‘비대면 역량 강화 방법’에 대해 본격적인 투자가 필요하지 않을까. 미래에 나가 있는 김미래 리포터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네, 저는 지금 지난달 미래시에 새로 문을 연 한 전통한과 가게 앞에 나와 있습니다. 겨우 두세 평 남짓한 크기의 이 가게는 오프라인 점포의 개점에 앞서 이미 ‘지역 메타버스 장터’에서 가게를 ‘베타 오픈’하여,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살피거나,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지적사항 등을 수집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 메타버스 가게를 방문한 소비자들은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수제 전통한과를 초고화질 실감 영상으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실에서는 상품이 훼손되어 시도 불가능한 손으로 집어보거나 잘라보는 등의 조작이 허용되어, 촉감과 바삭바삭하는 소리를 직접 느껴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별도의 후각/미각 표현장치로 구성된 제품 음미 키트를 갖춘 소비자의 경우, 한과의 냄새와 맛까지 느껴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명인이 수제 한과를 디자인하고 제조하는 과정이나, 순수 친환경 재료를 자체적으로 직접 재배하고 손질하는 과정 등을 모두 현장 상황처럼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도 있어, 실제 매장을 방문하기 전 이 메타버스 가게를 먼저 둘러볼 것을 소비자들께 권하고 있습니다. 지역 메타버스 장터에 가게를 등록한 덕분에 이 전통한과 가게는 오픈 한달이 채 안 된 지금 이미 전 세계인의 관심을 모으는데 성공했으며, 이번 달에는 단기간 내 글로벌 매출 신기록까지 기록했습니다. 미래시의 새로운 핫플레이스 전통한과점에서 미래뉴스 김미래기자였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헬스케어의 미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