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ojjung Aug 25. 2021

계영배(戒盈杯)

채우면 채울수록 넘치다.

재상평여수(財上平如水) 인중직사형(人中直似衡)

                         재물은 평등하기가 물과 같고 사람은 바르기가 저울과 같다.

                                           조선시대 거상 임상옥(1779~1855)

계영배(戒盈杯), 넘침을 경계하는 잔


사람의 바르기는 저울과 같다.

"재물은 공평하기가 물과 같아서 노력한 대가에 따라 그 재물이 정해지고, 사람도 이와 같아서 그 신용을 쌓고자 한 사람에게 저울처럼 바르게 돌아간다."

재물은 밥그릇에 밥 푸듯이 산봉우리처럼 봉긋하게 고봉高峯으로 쌓아 올릴 수 없듯이 모름지기 더 쌓으려 과욕하지 말고, 그보다는 사람됨이나 재물을 담을 그릇을 더 키워야 한다.

사람의 바르기는 저울과 같기에 저울을 속일 수 없듯이 사람도 속여서는 아니 된다.

속임에 있어 상대를 위한 선한 거짓말이란 없다, 결국 그 또한 나를 위한 위선인 것이기에 바를 수 없다.


삶은 만족을 7할만 채우듯 산다면...

계영배(戒盈杯)를 풀이하자면 '넘침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뜻이다.

이 잔으로 술을 마시려면 반드시 7할까지만 따라야 한다.

그 이상은 아무리 채워도 밑으로 새어버린다.

아무리 귀한 술이라도 채우면 채울수록 흘러버려 귀한 술 또한 버리게 되니 '지나침은 모자람보다 못하다'는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떠오는 '인생 술잔'이다.

사람을 평가할 때 이문을 계산하여 대하여서는 안된다.

사람이란 누구나 실수를 하는 것이고 일도 실패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사업 수단이 좋지 않고 가진 것이 없다고 하여 그릇된 사람이랴...

"이문을 남기는 것은 작은 장사요, 사람을 남기는 것은 큰 장사다."

장사꾼은 눈앞에 이익을 보고 기업인은 보이지 않는 곳의 가치를 본다.

사람은 사람마다 그 사람이 가진 고유의 가치가 있기에 장사꾼 속으로 대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존경은 상대에 대한 존중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다.


사업 관계에서 상도(商道)를 지키며 사람 관계에서 정도(正度)를 행하는 바른 도리의 삶을 바라며..


작가의 이전글 삶의 방정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