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쓰지 Nov 02. 2020

대기업 재무팀의 관리회계/재무회계 용어 1

DIO, DPO, DSO, AR, AP, Inventory 등

나의 처음을 생각해보면 용어를 받아들이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 그도 그럴 것이 경영학과를 나온 나에게도 익숙지 않은 관리회계 용어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특히, 영어로 되어있는 용어들은 한 번에 느낌으로 캐치하기 어렵다. 또한 회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여겼던 지표들도 별로 사용치 않는 경우도 있었다. 많은 계정이 기억나지 않아서 먼저 간단한 계정부터 설명을 해보려 한다.

*Debit / Credit : 차변 / 대변


1. 계정 용어

1) AR(Account Receivable) : 매출채권 (D)

   - 기업의 일반적 영업활동으로 발생되는 채권을 기록하는 계정. 상대 계정으로는 매출을 발생시킨다.

   - 일반적인 매출이 아닌 자산매각 등 비경상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채권은 AR이 아닌 기타매출채권으로 구분한다.

   - AR이 증가하면 Cashflow는 악화된다.


2) AP(Account Payable) : 매입채무 (C)

   - 기업의 일반적 영업활동으로 발생되는 채무를 기록하는 계정. 상대계정으로는 원재료를 발생시킨다. (상품매입의 경우 상품)

   - 일반적인 매출이 아닌 투자 등의 비경상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채무는 기타채무로 분류한다.

   - AP가 증가하면 Cashflow는 개선된다.


3) Inventoty Asset : 재고자산 (D)

   - 판매, 생산 투입 목적의 유형자산. 일반적으로는 제품,상품,원재료로 구분하며 기타 저장품 등이 있을 수 있다.

   - 재고자산이 아닌 유형자산은 투자로 인해 발생되는 설비,건물 등이 있다.

   - 재고자산의 가치는 원가로 평가하며, 매월 결산시 해당 재고자산의 생산원가와 시가를 비교한 저가평가감, 시간흐름에 따른 재고가치 감소를 반영한 노후화평가감, 샘플이나 불용재고의 가치 감소 등을 반영해주어 재고자산의 가치를 매월 변동시켜 관리한다.

   - 재고자산이 증가하면 Cashflow는 악화된다.


4) PL/IS(Profit&Loss Statement, Income Statement) : 손익계산서

   -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경영성과를 나타낸 재무제표의 한 종류. 주로 연간 손익계산서를 작성함

   - 기업의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매관리비, 영업이익, 영업외손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당기순이익 정보가 포함되어있다.


5) BS(Balance Sheet) :  재무상태표

    - 일정 시점에서 기업의 자원 운영 / 자원의 출처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의 한 종류.

    - 자산 / 부채, 자본으로 표현되며 부채와 자본으로 자원을 조달하면 차변의 자산에서 이를 어떻게 운영했는지 보여준다.

    - 예를들면, 기업이 현금 100원을 은행에서 조달했다면 자원의 출처인 부채는 대변에 기표되고 그 결과로 생긴 현금 100원은 차변에 기표한다.


6) Statement of Cashflow : 현금흐름표

     - 일정기간 동안에 기업에서 발생한 현금흐름 변동사항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의 한 종류

     - Dart를 찾아보면 영업활동현금흐름, 투자활동 현금흐름, 재무활동 현금흐름의 세 분류로 현금흐름표를 나타낸다고 하는데

        현업에서는 주로 영업활동, 투자활동 현금흐름만 사용하는 것 같다.(재무팀 기준)


2. 지표 용어

1) DSO(Days Sales Outstanding)

   - 계정 용어 1)의 AR의 금액이 회수될 때까지 소요되는 일수를 표현한 Operation 지표

   - DSO가 길수록 매출채권이 회수되는 데에 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의미다. DSO가 길면 자연스럽게 Cashflow는 악화된다.


2) DPO(Days Payable Outstanding)

   - 계정 용어 2)의 AP금액을 지불할 때까지 소요되는 일수를 표현한 Operation 지표

   - DPO가 길수록 매입채무를 지불하는 데에 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의미다. DPO가 길면 Cashflow는 개선된다.


3) DIO(Days Inventory Outstanding)

   - 계정 용어 3)의 재고금액이 매출될 때까지 소요되는 일수를 표현한 Operation 지표

   - DIO가 길수록 재고가 매출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의미로, DIO가 길면 Cashflow는 악화된다.


4)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 : 투하자본수익률

   -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세후이익을 투하자본으로 나눈 지표로, 투입한 자본대비 수익률을 측정하는 지표다.

   - ROIC가 높을수록 회사는 좋은 성과를 냈다고 볼 수 있다.

   - ROIC의 세후이익은 I/S를, 투하자본은 B/S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대기업 숫자쟁이의 제품별 수익성 예측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