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난 Dec 10. 2022

2025년, 35% 이상 IT 예산이 OO주장으로 발생

2023 인사이드 IT 트렌드


2025년까지 IT, 데이터 자산 35% 이상에 달하는 직원, 예산 및 운영 프로세스 전환 비용이 디지털 주권(Digital sovereignty) 주장에 의해 발생합니다.
- IDC FutureScape: Worldwide IT Industry 2023 Predictions

35% 이상의 IT 및 데이터 자산 전환 비용이 "디지털 주권(Digital sovereignty)" 주장에 의해 지출된다는 예측입니다. 2025년이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생소하게 느껴지는 디지털 주권 주장에 이런 엄청난 비용이 지출될 수 있다는 예측이 잘 와닿지 않습니다. 우리들에게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심각한 예측도 있습니다.

- 2024년까지 45%의 국가 정부는 디지털 주권이 국가 인프라스트럭처 보호 및 국가 존립(nation survivability)에 매우 중요. - IDC
- 2024년까지 65% 기업은 선제적 데이터 프로텍션과 개인정보보호법 요구사항 준수를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데이터 주권 제어(data sovereignty controls)를 의무화할 것. - IDC

2024년이면 1년 후입니다. 얼마 남지도 않았는데, 디지털 주권, 국가 존립, 법안 의무화 이런 무시무시한 키워드가 난무합니다. 



디지털 주권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주권은 데이터의 저장뿐만 아니라, 모든 디지털 에셋, 데이터를 포함한 컴퓨팅 파워와 네트워크 등에 대하여 자국 내 서비스 이용을 강제하는 규제를 의미합니다.


이미지: Microsoft cloud for sovereignty


이미 10년 전, 제가 작성했던 글 - 클라우드 보안 무엇이 이슈인가? - 클라우드와 보안 (1/3) 부터 계속 이어지는 스토리이기도 하며,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자국 우선 주위, 공급망 재배치, 리쇼어링과 같은 트렌드가 디지털로 옮겨오면서 더 강력하게 진화했습니다.  


아니 이거 예전 유럽의 GDPR이나 중국의 사이버 보안법(Cybersecurity law) 같은 것 아닌가요?

지난 10년 동안 GDPR이나 사이버 보안법에 맞춰 여러 클라우드 벤더와 플랫폼 기업들은 데이터 저장 위치에 대해 고민하고, 데이터 센터를 짓거나 현지 업체와 합작/인수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우리는 이런 클라우드나 플랫폼 기술 벤더들의 어깨에 올라타면 그만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정도 대응으로는 이제 디지털 주권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디지털 주권은 기존 법안에서 의미하는 데이터 보호 범주를 훨씬 넘어서고 있으며, 그 범위 역시 증가하는 중입니다. 



디지털 기술과 국가의 대치

그렇다면, 왜 이런 디지털 주권이 대두되었을까요? 멀리 갈 필요도 없습니다. 대한민국 역시 이러한 흐름에 나름 주도적입니다. 


대한민국의 2022년 뉴스입니다. "구글·애플 시장지배력 남용해 인앱 결제 강제…과기정통부 강력 대응 필요" 애플과 구글이 가만히 당하겠습니까? 정부 vs 정부로 확전을 시도합니다. 구글·애플, 美정부에 한국 '인앱 결제법' 저지 촉구. 우리에게도 익숙한 스웨덴의 대표 음원 서비스 기업 스포티파이-애플 소송에서 유럽 집행위원회(EC)가 스포티파이의 손을 들어줍니다. 미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美 FCC '틱톡 금지' 촉구…"中 공산당에 데이터 유출 막아야 한다면서 2022년까지 2년 넘는 시간 동안 미국 정부 차원에서 규제와 제한을 지속합니다. 국가 간 경쟁과 견제가 현실 세계를 넘어 디지털 세계에도 만연합니다.



국가는 왜 이 경쟁에 참전하는가? 

그냥 기업 논리에 맡기면 안 될까?
기업과 조직의 자율적인 경쟁을 통해 결국 기술적 성장을 기업과 국가 모두가 이룰 수 있지 않을까?
왜 국가가 이런 디지털 주권을 둬서, 비즈니스를 해야 하는 우리 기업과 개인이 그 대가를 치러야 하는가?

지정학적인 이유는 물론 지속적으로 나오는 클라우드 벤더의 성장과도 맞물려 있습니다. 

이미 몇 번 소개한 것처럼, IDC 리포트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2000대 기업은 총수익의 40%가 디지털 제품, 서비스, 및 경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향후 성장하는 디지털 비즈니스가 가져올 수익은 기업의 성장과 함께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죠.


앞으로 막대한 부를 가져올 디지털 비즈니스는 이제 모두 어디 위에서 만들어지나요?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디지털 비즈니스의 핵심이 되는 이러한 클라우드라는 플랫폼 터는 이미 한 국가가 이미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비즈니스의 중요성이 커질수록, 국가의 핵심 디지털 경쟁력과 기저가 되어야 할 기술들은 이제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속을 알 수 없는 블랙박스가 되어 버립니다. 

디지털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기업은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의 내부 구조는 모르지만 잘 사용하고 있고, 어떻게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해야 할지 알고 있습니다.

개별 기업에게 클라우드는 축복이지만, 국가 차원에서 보면 핵심 기술 역량 없이 비즈니스만 성장하는 기술 부채가 급증하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제 국가 차원에서 독립적으로 디지털 비즈니스를 수립하려 해도 불가능한 시기가 2024년에 찾아옵니다. 국가가 주도하는 거대 디지털 프로젝트의 성공이 특정 국가(의 클라우드 플랫폼 기업들)에 의해 좌우되는 시대가 곧 온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글로벌 차원에서 디지털 비즈니스가 벤더나 기술이 아니라 "한 국가에 락인(Lock-in)" 되는 사태로 국가 차원의 기술 헤게모니가 이동합니다. 디지털 트랜스폼(Digital transformation) 위기가 국가 단위로 찾아옵니다. 이제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폼처럼, 국가도 변하지 않으면 디지털 분야에서 존속을 걱정해야 할 시기가 오고 있습니다. 이것이 많은 국가가 디지털 주권을 주장하는 배경입니다.



비트 위의 패권 전쟁

유럽의 국가들은 이 상황을 매우 심각한 자결, 자급, 생존과 비유하면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프랑스와 독일이 주도해 "가이아-X" 데이터 센터를 추진해 독자적인 유럽 플랫폼을 만들고 유럽 내 기업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 독일과 프랑스, 클라우드 종속성을 피하기 위한 가이아X 프로젝트 추진

중국이야말로 이 디지털 주권 분야의 선구자입니다.  2017년 '사이버 보안법'(中华人民共和国网络安全法)'을 발표하면서 폭넓은 디지털 주권 주장을 더 공고히 하고 있으며, 중국의 보호정책으로 성장한 알리 클라우드나 텐센트 클라우드는 2022년 12월 현재 각각 4위와 7위로 글로벌 스케일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 역시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 중국 데이터센터에 미국 시민과 기업 데이터 저장을 금지하는 선제적 클린 네트워크(Clean Network Initiative)를 지난 2020년 발표해, 중국 기업의 미국 사업은 미국 현지 파트너를 통해 운영하도록 압박을 넣고 있습니다. 그간 중국이 했던 방식을 그대로 미러링 하며 복수하는 것입니다. 글로벌 역학관계가 비트 위에서도 패권 다툼을 열었고, 때로는 동맹관계를, 선전포고를 선언하면서 계속 영토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선제적 대응과 위험 완화 방안

남의 집 싸움 구경은 재미있지만, 우리 집까지 피해가 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이런 디지털 주권 주장은 미국-중국-유럽의 패권다툼처럼 보였지만, 이곳에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성장해야만 하는 우리들에게는 심각한 리스크입니다. 당장, 디지털 주권 주장에 따라 해당 국가나 지역의 생소한 클라우드에 워크로드를 전개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하는 방안만으로도 골치가 아파옵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기업은 전사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대응을 수립해야 합니다.

- 디지털 주권 제한으로 인해 일부 클라우드 워크로드를 지역기반 클라우드 벤더로 이전시키는 전환 작업이 다수 발생할 수 있음.
- 멀티 클라우드 또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IT 시나리오에 디지털 주권 제한을 적용하면, 기존 조직의 IT 환경 복잡도가 더 높아짐.
- 현지 국가 클라우드 플랫폼 벤더에 서비스를 구축할 때 계약한 기술 공급업체에 비즈니스가 종속될 위험이 높아지고, 광범위한 글로벌 표준 인프라스트럭처 구성에 위협이 될 수 있음. IT 인프라 표준화 지표를 높일 방안을 고려해야 함.
- 디지털 주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IT 운영 조직은 가장 폭넓은 법률 및 규정을 따르는 관할권을 솔루션에 우선 적용해야 함.
- 전사적 관점에서 디지털 주권 원칙을 조직의 장기적인 프로세스에 통합시키고 인프라스트럭쳐, 거버넌스 및 기술 영역에 명시해 적용해야 함.
- 디지털 주권을 보장하고 지속적으로 이를 유지하며 적용하는 벤더/파트너와 우선적으로 협업합니다.


2025년까지 IT, 데이터 자산 35% 이상에 달하는 직원, 예산 및 운영 프로세스 전환 비용이 디지털 주권(Digital sovereignty) 주장에 의해 발생합니다.
- IDC FutureScape: Worldwide IT Industry 2023 Predictions


참고 링크:

https://wire19.com/it-industry-predictions-by-idc/


https://www.cio.com/article/410720/10-future-trends-for-working-with-business-leaders.html


https://cwongproductions.com/blog/f/idc-predictions-for-connectedness-in-2023-and-beyond


https://www.techrepublic.com/article/idc-it-predictions/


https://blogs.microsoft.com/blog/2022/07/19/microsoft-cloud-for-sovereignty-the-most-flexible-and-comprehensive-solution-for-digital-sovereignty/


이미지 출처: 

https://pixabay.com/


이전 04화 2023년, OO% 기업의 클라우드 도입이 지연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