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나무 Sep 28. 2020

닭이 커가는 과정

자연이 웅장한 자연.

높은 산과 맑은 공기 그리고 좋은 사람들.

평화롭고 시골적인 분위기의 낭만적인 곳.


처음 캐나다에 갔을 때 엄청 큰 나무들에 놀라고 넓은 들판에 놀랐다.

울퉁불퉁한 길은 또 얼마나 매력적인지.

잘 포장된 도로가 아니어서 더 정감가고 잠깐 차만 타도 여행하는 기분이었다.


자연과 어울어져 살아가는 하루하루들은 또 매일 다르게 흘러갔다.

평화로웠지만 단조롭지 않았고

조용했지만 지루하지 않았다.


집 옆에 조그마한 곳간이 하나 있었다.

어느날 곳간에 새로운 생명체가 들어왔다.

아주 작고 귀여운 병아리들이었다.

그 병아리들은 하루가 다르게 컸다.


처음 들어왔을 때는 손바닥에 올려놓을 수 있을 정도였는데

한 달 정도 지나자 두 손으로 들어올려야했고 흰색 깃털이 나기 시작했다.

솜털에서 점점 뻣뻣하고 억센 털들이 나기 시작했다.

삐쭉삐쭉 털들이 좀 무섭기도 하면서 귀엽기도 했다.

아 그리고 점차 발도 굵어졌다.


병아리들이 있는 곳은 병아리의 냄새가 났다.

콤콤하면서도 톱밥냄새 같은 것들이 섞여서 났고

어느샌가 그 냄새가 익숙해졌다.


두세달이 지나니 이제는 처음 왔던 그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고

병아리가 아닌 닭의 모습이 되었다.


사실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

이 아이들은 키울 목적이 아니라 우리의 배를 채우기 위해 키우는 닭들이었다.


곳간 옆으로 가면 닭장이 있었는데 거기에는 

병아리들이 들어오기 전부터 닭들이 있었다. 

그 닭들을 달걀을 낳기 위해 길렀다.

하지만 새로 병아리로 들어와서 몇 달 만에 쑥쑥 크는 닭은

반년 정도 길러서 바로 잡아먹을 닭이었다.


병아리 때부터 키워서 먹는 닭.

마음 속에 무서운 마음도 들었고 불쌍한 마음도 들었다. 


사실 도시에 살면 모르고 먹는 치킨 한 마리도 누군가 애지중지 기른 닭이지 않을까.

손수 키우고 가꾸고 기르는 삶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Oma와 Oppa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