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블라인드 와인 테이스팅으로 매너리즘 탈출하기

와인으로 얻는 고통과 유희

블라인드 테이스팅이라 함은 말 그대로 어떤 와인인지 알려주지 않은 채 마시는 것을 말한다. 


뭐 하러 그런 짓을 하느냐고 물을 수도 있겠지만, 와인을 자주 즐겨마시고 어느 정도 공부를 할 만큼 나름의 애정을 쏟는 사람들에게는 이게 또 쏠쏠한 재미요소가 될 수 있다. 


나는 와인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부터 시작해서 나의 내공은 어느 정도일까 등등을 가늠해 보려는 노력 어린 자발적 고통유발의 시간이다.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말이지.



최근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믈리에중 한 분의 가이드 아래 이뤄졌던 블라인드 테이스팅은 모처럼 시음이라는 행위에 상당한 집중을 할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다. 평소에는 와인을 마실 때 이렇게까지 눈, 코, 입, 그리고 지식까지 더듬어가며 내 눈앞에 놓여있는 한 잔의 액체에 대해 탐닉할 새가 없기 때문이다. 


그뿐이랴, 나의 생각과 다른 이의 생각 그리고 우리 모두의 생각이 각자 따로 또 같이 정답을 찾기 위해 허우적대고 있는 소통의 시간은 즐거움을 배가시키는 요인이었다. 저 사람은 왜 저렇게 생각했을까, 정말 괜찮은 표현력인데? 등등 블라인드 테이스팅에는 단순히 와인을 가리고 마시는 것으로 끝나지 않아야만 의미가 있다. 


와인도 결국 음식의 한 종류라 자신만의 취향이 생기고 호불호가 갈리기 마련인데, 그래서 편식을 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그러기엔 와인의 세계는 넓고 맛의 스펙트럼은 고정되어 있지 않기에 언제나 다채롭다. 같은 와이너리의 같은 와인 상품도 매해 빈티지마다 조금씩 달라지는 차이를 매기는 것이 와인의 상식인데 오죽하겠는가. 


새로운 것을 맛본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그러나 이미 안다고 생각한 것에서 어떤 새로움을 발견한다는 것은 첫 경험 이상으로 행복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잘 준비된 블라인드 테이스팅은 자칫 식상해질지도 모르는 나의 편협된 와인 선택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지도 모른다. 




박준영 소믈리에의 - Please don't tell


작가의 이전글 몸부림치는 가운데 선택한 와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