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채식주의자로 맨부커상을 받은 후, 지금처럼은 아니지만 그때도 꽤나 떠들썩했던 것 같다.
김창완과 만나 대화하는 프로그램에서 김창완이 질문했다.
글을 쓴다는 것, 작가는 어떤 것인가요?
한강은 아주 개인적인 일이라고 대답했다.
혹시라도 글쓰기에 실패하더라도 건강을 해칠뿐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일은 아니라고,
하지만 이번 노벨문학상 사태로(?)작가는 당황했다고 한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니 아주 개인적인 일이지만, 노벨문학상 을 받을만큼 유명해지면 누군가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일까?
나는 한강의 책은 한 권도 읽지 않았다.
현대문학 작품들, 주목받는 작가들은 대부분
아프고, 시니컬하고,잔인하고,아이러니하고
한강도 그런 부류 중 하나일거라는 생각에 거부감이 들었다.
그런 글을 쓸 수 밖에 없고,
그런 글이 주목받을 수 밖에 없는 시대라는걸 알면서도
황순원의 소나기 같은 문학작품을 기대하는
바보같은 독자이기 때문에 그랬던 것 같다.
뭔가 발랄해서 하마터면 열심히 살뻔했다는 글도 싫고,
생각정리의 기술이나 럭키드로우 같은 글도 싫고,
부자아빠 같은 글도 싫고,
어느 순간 모든 글이 다 싫어져서,
동네 도서관을 한 시간쯤 돌기만 하다가
세계문학 전집에서 백년동안의 고독을 집어 들었었다.
왜 책을 읽어야하지? 왜 글을 써야하지?
부정적인 생각으로 가득해 그저 생존하고 있던 요즘이었다.
그러다 한강 이슈를 들었다.
글을 좀 쓴다는 사람들은 더 난리가 났다.
그걸 보면서 거부감이 들기도 했다.
역시 우리나라 사람들은 인정에 목말라있는거였나?
좋으면 좋은게 아니라 세계의 인정을 받아서 좋은건가?
물론 한강작가를 좋아하던 사람들도 많고,
그녀의 글을 사랑하는 사람들도 많았겠고,
몰랐는데 이제라도 알게되어서 열광할 수도 있겠지만,
서울대 메이커를 달게된거 처럼 노벨문학상 메이커에 열광하는게 아닌가?
서울대는 인재가 없다거나 연세대는 한강 고려대는 사대강이라며 좋은 대학에서 좋은 인재를 배출한다는 급을 나누는 댓글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한강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사람들이 아닌가
인간이란? 우리의 존재는?
상처받기 쉬운 여리고 여린 작가가 담담히 풀어내는
이야기들에 열광하면서 인간의 잔혹함을 느끼면서
인간들은 순수해질 수 있을까? 더 잔혹해져야만
세상을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할까?
100만부를 곧 돌파한다지만,
이 책을 읽고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다시는 그런 잔인한 행위들을 반복하지 않을까?
전쟁을 멈출 수 있을까?
폭력을 멈출 수 있을까?
상처를 안줄 수 있을까?
지금도 서로 물어뜯을 궁리만 하는
그런 사람들을 보며 세상은 조금 더 나아질 수 있을까?
어쩌면 우연한 이 작은 사건으로,
세계 평화가 올 수 있을까?
엉뚱한 생각을 해본다.
개인적인 공간을 만들어 준 브런치에도 감사하며,
이렇게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들을 쏟아내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래도 혼자 나쁜 생각을 하는것보다
세상이 조금 살만해질까? 솔직해질까? 생각하며
오늘의 잡생각을 마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