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원용진 Jun 21. 2024

영끌 세대, 감가상각 세대

        

‘영끌 현상’은 2022년 대선에서 정권 교체에 일조를 했을 만큼 큰 사회 의제였다. 대선 후에 그 현상을 진정시킬 만한 긍정적 사회적, 정책적 조처가 있진 않았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 잠잠해진 느낌이다. 미디어에서도 좀체 언급하지 않는다.      

최근 한국 청년 세대에 ‘가장 큰 고민이 무엇인가’를 물은 설문이 있었다. 무려 41.6퍼센트가 주택 장만을 1위 고민으로 손꼽았다. 2위인 가족의 건강 걱정은 15퍼센트였음을 감안하면 집 장만은 온몸을 짓누르는 강박이라 말할 만하다.      


‘영끌’할 소지는 아직도 충분히 남아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마치 해결된 것처럼 ‘영끌 현상’이 소강 국면에 접어든 까닭은 무엇일까. 미디어에서도 전에 비해 성기게 언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답을 위해 ‘영끌 현상’을 겪지 않은 듯 보이는 일본을 잠깐 경유해 보자. 1970년대까진 일본 인구 약 25퍼센트가 주택을 임대해 살고 있었다. 1990년에 이르면 그 수치는 50퍼센트에 이른다.      


자가 장만에서 임대 형태로 주거 방식을 바꿔 간 셈이다. 사실 일본은 놀랄 정도의 저금리로 은행이 주택 대출을 해주고 있다. 0.5퍼센트 정도의 저금리로 집 장만에 필요한 돈을 빌릴 수가 있다. 그런데도 집 장만을 피하고 있다.      

일본의 젊은 세대에선 집 장만을 피하고 압도적으로 임대 형식을 선호한다. 저금리에도 불구하고 영끌은커녕 집 장만에 조금도 눈길을 주지 않는 데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 자가 마련에서 임대로 주거 형태가 넘어간 데는 어떤 사연이 있었던 것일까.         

일본 버블경제의 트라우마가 젊은 세대로 하여금 보수적 주택 태도를 갖게 만들었다. 일본의 청년 세대는 부모 세대가 집 장만으로 겪는 고통을 직접 지켜보았다. 집을 사는 순간 자산 가치가 하락하는 세상을 목도하였다.      


부동산 불패의 신화가 산산조각 난 세상을 살았다. 부동산은 자산 가치 증식 수단이 아닌 감가상각 자산인 시대를 일본 청년 세대는 전 생애에 걸쳐 경험했다. 아무리 싼 금리로 대출을 유도해도 그들을 주택 시장 안으로 끌어들이기 어렵게 되었다.      


부모 세대의 주택 경험이 현해탄 한 편의 젊은 세대에겐 ‘영끌’을, 다른 편인 일본의 MZ세대에겐 감가상각의 태도를 전수한 셈이다.       


트라우마 외 금융적인 요소도 주거 형태 변화의 주 요인으로 손꼽을 수 있다. 저금리 주택 대출 수혜는 의외로 한정적이다. 정규직 종사자가 아니고선 엄두를 내지 못한다. 비정규직 종사자에겐 그 혜택이 좀체 돌아가지 않는다.      

비정규직 종사자가 빠르게 늘어난 일본의 고용 형태가 주택 장만의 문화에 변화를 초래한 것이다. 집을 사는 대신 임대하면 훨씬 더 유연하게 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주택은 장만하는 것이 아니라 빌리는 것이라는 믿음이 사회를 지배하게 된다. 비정규직 증가라는 일본 고용 형태의 변화도 주거 양식 변화에 일조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어느 틈엔가 집 마련이 중산층 진입이며 행복 가정이라는 상징성이 줄어들었다. 오히려 집이 줄 기능적 혜택을 더 강조하고 있다. 도심에서 편하게 출퇴근하고 피곤한 몸을 눕히되 은행에 꼬박꼬박 이자를 물지 않아도 되는 그런 주거 생활을 보편적으로 받아들인다. 버블 경제의 트라우마와 고용 형태의 변화가 가져온 결과다.      


최근 한국의 주택 사정과 일본을 대비해 보자. 집 값은 떨어지고, 미분양 사태가 늘며, 비정규직 고용형태는 크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금리 인상의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이런 사정을 감안하고 일본 이야기에 대입해 보면 ‘영끌 현상’이 잠잠해진 것처럼 보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일본 젊은 층이 보이는 주택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한국에서 반복될 여지가 크다. 많은 여건들이 일본을 닮아가기 때문이다. 일본의 인식 변화가 합리화 과정으로 보이긴 하지만 한 번 더 비틀어 설명하면 비극적 해석도 가능하다. 조금 더 열심히 살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희망과 멀어지고 있다는 비극으로 설명 가능하다.      


그래서 ‘영끌 현상’이 잠잠해진 것을 두고 고민스러운 사회 의제가 해결되었다고 말하긴 어렵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주택과 관련해 큰 희망을 품기는커녕 좌절을 일상화하며 살고 있음을 ‘영끌’이 아닌 다른 말글로 논의하는 일이 절실해졌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