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0.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기와 싫어하는 것에 대해 말하기. 어느 쪽을 더 자주 하나 돌아보면 후자가 근소한 차이로 앞서지 싶다. 그럼 어느 쪽을 더 선호하나 생각해 보니 전자다. 말하기가 아닌 듣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누군가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것보다 싫어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것을 듣는 경우가 더 많고, 그러나 누군가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걸 듣기를 더 선호한다. 굳이 부정적인 대화가 만들어가는 부정적인 에너지의 흐름을 떠올리지 않아도 우리의 마음은 그렇게 움직인다. 마음은 그럴진대 행동은 마음을 따르지 못하므로 세상엔 싫어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소리가 더 많이 떠돈다.
어느 쪽이 더 중요하고 필요한가는 다른 이야기다. 싫어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세상이 움직이기도 한다. 좋은 것을 말하는 것이 세상에 해가 되기도 한다. 중요한 건 호오의 근원을 파고 들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좋다 싫다 선언하기는 쉽다. 쉽지만 무책임하다. 선언하는 자신의 마음을 붙들고서 나머지 세상을 방기한다.
나는 누군가를 꽤 오랫동안 미워했다. 밉다는 감정은 그 사람이 싫다는 가치판단에서 시작된다. 나는 그 사람에 대해 말하기를 즐겼다. 말하면서 내 마음을 더 강하게 붙들었다. 공고해지는 증오와 한층 딱딱해지는 마음. 점점 방기되는 세상. 나는 완전히 사로잡혔다. 결국 방기되는 건 자신이다.
이런 경우 내가 싫어하는 누군가에 대해 말한 것은 세상에 하등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내가 그것을 말한 자리에는 부정적인 에너지만 넘쳤고 찝찝한 찌꺼기만 남았다. 무책임한 선언과 그것을 증명하기 위한 불순하고 편향된 증거만 수집되었다. 호오의 근원에는 초라한 내 마음과 그것을 비대하게 키우는 감정이라는 물뿌리개만이 존재했다. 완전한 순환의 고리. 공명은 같은 것들끼리 증폭되어 커지는 현상. 나는 세상에 해로웠다.
그리고 지금 여기에 있다. 나는 여전히 그 사람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앞선 문장이 과거형으로 서술되었듯이 싫어하는 마음은 더 이상 현재형이 아니다. 어쩐 일인지 감정은 다소 해소되었는데, 시선을 그 사람에게서 다른 데로 돌려버리자 서서히 그렇게 되었다. 그 과정은 뜬금없었고 체계적이지 않았으며 논리가 없었다. 문제를 회피했다고 볼 수도 있겠는데 웬일인지 그게 그리 잘못됐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문제가 실은 별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이리라. 내가 내린 가치판단이 문제였기 때문일 수도 있고. 그냥 그렇게 돼버렸다.
다른 때와 달리 나는 이 일에서 무언가를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나는 괴롭고 해로웠으므로 또다시 반복할 수는 없다는 걸 알았다. 그래서 이런 생각을 해보고 있다.
우리는 누군가를, 무언가를, 어떤 상태를, 좋아하거나 싫어하고, 좋아하거나 싫어한다고 말한다. 그 일은 무책임하게 일어나고 세상에 해롭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멈출 수 없다. 우리의 마음 한복판에서는 끊기지 않는 유전처럼 생각과 감정이 끊임없이 솟아난다.
호오의 근원을 파고들어 가는 일이 유용한 게 이때다. 무엇이 그것을 좋아하게 하고 무엇이 그것을 싫어하게 하는가. 딱 잘라 말하기 어렵다 해도 괜찮다. 근원이 모호하다 해도 그것을 찾아 들어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생각을 정리하고 마음을 살핀다.
한때는 이해가 가지 않는 일들이 많았다. 어린이 보호구역에 차가 아예 들어오지 못하게 하면 사고가 일어나지 않을 것 아닌가. 남의 재산을 조금 훔친 게 어째서 성폭행이나 강도보다 더 큰 처벌을 받는가. 잘못한 자를 법으로 처벌한다고 해서 피해 입은 자의 마음은 치유될 리 없는데 왜 세상은 할 일을 다한 듯이 구는가. 물론, 지금도 세상은 이해되지 않는 일들로 가득 차 있고, 나는 죽을 때까지, 아니 죽어서도 이해할 수 없을 거다. 세상은 원래 그렇다. 너무 많은 확신과 너무 많은 에고와 너무 많은 판단과 너무 많은 자아들이 너무 많은 가지를 치며 엮여있고 섞여있다. 그러니 여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세상이 그렇다는 건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됐다. 그런 이해할 수 없는 이해들의 이해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선에서 적당히 굴러가도록 하는 모든 활동이 ‘정치’라는 걸 이제는 이해한다. 작고 촘촘한 것에서부터 크고 거대한 것들까지 다양한 이해의 폭과 선을 결정하는 일. 딱 부러지듯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는 이 지저분하고 어수선한 세상에 나의 자리를 마련하는 최소한의 일.
싫어하는 것에 대해 말하는 건 우리가 일상에서 정치하게 하는 최소한의 일이다. 그러므로 필요한 일이다. 무언가를 싫어한다는 건 좋아하는 반대의 무언가를 상정한다. 나는 어린애들을 학원에 뺑뺑이 돌리는 게 싫어. 즉, 나는 어린애들이 학원에 뺑뺑이 돌지 않고 마음껏 뛰노는 게 좋아. 그런 세상이 됐으면 좋겠어, 하고 생각이 나아간다. 바람이 된다. 재미있게도 누군가를 ‘싫어하는 마음’의 근원도 잘 파고 들어보면 세상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과 가치관 때문일 수 있다. 나를 괴롭혔던 것은 나 자신이다. 이렇게 보나 저렇게 보나 그렇다. 누군가를 싫어하는 것보다 내 마음을 깊게 살펴 내가 원하는 세상을 실현하는 것이 낫다. 그 누군가를 바꿀 수 없다는 걸 우리는 너무 잘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또다시 세상은 정치다.
오늘은 국회의원 선거날인데 나와 아내는 지난 주말에 사전투표를 끝낸 터라 여유롭게 휴일을 즐기고 있다. 내가 싫어하는 것들을 좋은 것들로 바꾸겠다는 지향을 가진 정당에 오랫동안 투표해 왔고 단 한 번도, 정말 단 한 번도 내가 찍은 사람이 당선된 적이 없다. 나의 지향이 세상의 지향과 어긋나 있다는 뜻이라는 걸 잘 알고, 그것은 내가 싫다고 하는 것들을 좋다고 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으며,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 좋지 않다고 생각할 사람도 엄청나게 많다는 의미라는 걸 알기에 역시 이맘때가 되면 외롭다.
그럼에도 나는 이번에도 사표를 찍고 말았다. 현실정치의 냉혹함과 비열함, 그곳의 속내가 어떤지는 몰라도 내 마음속에 그려지는 좋은 세상이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리석게도 나는 그들의 말을 믿을 수밖에 없다. 그들 외에는 내가 좋아하는 세상을 입에 담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 최소한의 행위를 할 뿐인데도 마음이 만족스럽다. 쉬는 날 나가서 도장 하나 찍고 오는 일. 그 사소한 행위가 싫어하는 것에 대해 말할 권리를 나에게 부여한다. 나는 그로 인해 나와 세상 그 무엇도 방기하지 않을 수 있다.